설악산, 한 겨울에 보면 정말 설악이란 말이 실감이 나는 산이다. 속초에서 3년 정도를 머무는 동안 참 수도 없이 발걸음을 했던 곳이지만, 내가 본 것은 그 광활한 설악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그만큼 설악산은 수많은 비경을 숨기고 있는 곳이다. 난 설악산을 보면서 늘 이런 생각을 했다.

 

새색시가 몸 전체를 장옷으로 감추고, 겨우 눈만 뭇 남성들에게 보여주고 있는 곳같다고. 그만큼 설악산은 우리에게 많은 곳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그래도 감출 곳은 다 감추고 있는 듯하다. 설악산에 8기가 있는 것도 그만큼 이곳은 감추고 있는 곳이 많다가 보니, 사람들이 그렇게 명명한 것이나 아닐까?

 

 

설악산의 기이한 현상이라는 8(八奇)

 

설악산에는 팔기팔경이 있다. 여덟 가지의 기이함과, 여덟 가지의 절경이 있다는 소리이다. 그 중 팔기는 첫째 천후지동(天候地動)이라고 하여서 여름철이면 비가 많이 내려 뇌성벽력이 칠 때, 땅이 갈라지고 지축이 흔들리는 소리를 꼽았다. 두 번째는 기암동석(奇巖動石)으로 흔들바위와 같이 흔들리는 괴이한 돌이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백두구혈(百斗九穴)이라고 했다. 인제군 북면 용대리 외가평에서 백담사로 가는 길목의 백담계곡에 하식작용에 의한 구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네 번째는 전석동혈(轉石洞穴)로 외설악의 계조암은 대표적인 전석동혈이다. 바위와 바위가 서로 맞대 생긴 굴을 말한다. 다섯 번째는 수직절리(垂稙節理)로 암질과 구조의 차이에 의해 차별침식으로 생겨난 내설악의 하늘벽, 외설악의 천불동처럼 절리현상에 의해 생겨난 천태만상의 형상을 말한다.

 

 

여섯 번째는 유다탕폭(有多湯瀑)이다. 12선녀 탕과 같이 쏟아지는 물로 인해 바위가 패여 마치 탕처럼 생긴 것을 말한다. 일곱 번째는 금강유혈(金剛有穴)로 비로봉의 금강굴과 같이 큰 석산에 바위가 생긴 것을 말한다. 그리고 여덟 번째는 동계설경(冬季雪景)으로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려 11월부터 이듬해 음 3월이 지나도록 백설이 만연한 것을 말한다.

 

주변조차 둘러보기 버거운 설악산

 

아침 일찍 길을 나섰다. 설악산 입구에 있는 신흥사를 지나 천천히 산길로 접어든다. 길옆에 선 이정표를 보니 비선대 2.5km, 금강굴 3.1km라고 적혀있다. 그저 흰고무신을 신고 나들이 겸 금강굴을 오르고 싶었을 뿐이다. 바쁠 것도 없지만 그렇다고 주변 경관을 살펴보지 않을 수가 없는 길이다.

 

 

이른 시간인데도 벌써 많은 사람들이 숲길을 걷고 있다. 아마 이 너른 설악의 어디를 찾아가는 것이겠지? 설악에서는 궁금한 것이 없다. 모든 것이 그저 다 궁금하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를 들어 궁금증을 갖는다면, 어디 한 곳 돌아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숲속 냄새가 짙다. 숨을 깊게 들이쉬면서 돌들이 삐죽 고개를 내민 길을 걷는다.

 

그렇게 걷다보면 비선대를 만난다. 커다란 암반에 누군가 커다랗게 비선대라고 음각을 해놓았다. 그리고 주변에는 잡다한 글들이 보인다. 비선대를 지나면 길이 갈라진다. 오른편 산길로 들어서면 금강굴로 가는 길이고, 왼편 숲길로 들어가면 천불동을 지나게 된다. 금강굴을 향해 걸음을 옮긴다.

 

 

원효대사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금강굴은 신라의 원효스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했던 곳이라고 전한다, 왜 스님은 이곳 설악산 비로봉 아래 굴에서 정진을 하셨을까? 금강굴이라는 명칭도 원효스님의 금강삼매경 중 앞 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금강굴은 외설악의 가장 아름다운 경치를 만날 수 있다는 곳이다.

 

길이 점점 가팔라진다. 이제는 뒷짐을 지고 여유를 부리기에는 버겁다. 새로 조성한 듯한 층계가 하늘 높은 줄을 모르고 위로만 치솟는다. 계단을 오르니 다시 암벽에 겨우 달라붙은 수직계단이 나온다. 비로봉 수직절리에 매달린 듯한 철계단. 그 위에 원효스님이 정진하셨다는 금강굴이 있다.

 

원효스님은 저 곳을 어찌 오르셨을까? 그 때는 이런 구조물도 없었을 텐데. 설마 날아오르지는 않았을 테고. 위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올 수도 없는 곳인데.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철계단을 오른다.

 

금강굴에서 천불동을 바라보다

 

 

금강굴. 1300년 전 원효스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하셨다는 곳이다. 스님 한 분의 독경소리가 비로봉 벽을 타고 계곡으로 쏟아져 내린다. 그 계곡 밑에 바로 비선대가 보인다. 그리고 건너편에 천불동 솟은 바위들이 가득 시야에 들어온다. 이곳에 서면 누구나 시인이 된다고 했던가?

 

죽 일렬로 선 것 같은 천개의 봉우리들이 저마다 자태를 뽐내고 있다는 천불동. 그 천불동의 장관이 눈앞에 펼쳐진다. 원효스님은 이곳을 어찌 아셨을까? 아무리 우리가 모르는 것이 많다고 하지만, 이 자리에서니 모르는 것 투성이란 생각이다. 이곳에서 천불동을 백날만 바라보고 있어도 무엇인가를 깨달을 것만 같다.

 

 

이른 아침 원효스님의 체취를 만나기 위해 오른 금강굴. 굴 입구에 서서 이곳이 왜 설악 8기 중 한 곳인가를 깨닫는다. 아마 스님도 이곳에서 그런 깨우침을 얻은 것은 아니었을까? 원효스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한 것도, 알고 보면 천불동에 서 계신 천분의 부처님 때문이었을 것을.

 

우리나라에 지정된 천연기념물 중 가장 넓은 지역을 가진 것 중 한 곳은 바로 천연기념물 제171호인 설악산 천연보호구역(雪嶽山 天然保護區域)’일 것이다. 사실 천연기념물이라고는 하지만 광대한 지역의 자연보호 구역이기 때문에, 천연기념물인 아닌 보호구역으로 설정을 해놓았다.

 

설악산 천연보호구역은 강원도 속초시와 인제군, 양양군, 고성군에 걸쳐 넓게 펼쳐져 있다. ‘설악(雪岳)’이란 이름은 주봉인 해발 1708m의 대청봉이 1년 중 56개월 동안 눈에 덮여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름 그대로 눈에 덮힌 큰 산이라는 뜻으로 삼산오악 중 오악에 한 곳이다.

 

 

화강암 암반으로 조성된 수려한 경관

 

설악산은 연평균 기온이 10를 넘지 않는 저온지대에 속하며, 연 강우량은 내설악이 1,000정도, 외설악이 1,300정도이다. 설악산의 웅장하고 아름다운 경관은 대규모의 화강암 관입과 더불어, 암질과 절리의 차이에 따른 차별침식의 결과로 보고 있다. 곳곳에 화강암이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절경을 만들어 내고 있는 최고의 풍광을 자랑하고 있다.

 

설악산은 사계절에 따라 그 느낌이 다르다. 발길 닿는 곳마다 절경을 이루고 있어, 각 지역마다 계절별 풍광이 다르다고 한다. 가장 많은 등산객들이 설악산을 선호하는 이유는 이런 아름다운 경치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 설악산이 가을 단풍이 들면 설악이 불이 붙었다.’고 할 정도로 아름답다. 눈산이라는 설악이 단풍까지 아름답다는 것은, 그만큼 이 산의 다양성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동식물의 보고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내의 식물은 약 1,013종의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등의 활엽수림과 소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섞여 숲을 이룬다. 그 밖에 금강배나무, 금강봄맞이, 금강소나무, 등대시호, 만리화, 눈설악주목, 설악아구장나무, 설악금강초롱, 솜다리 등 특산물 65, 눈측백 노랑만병초, 난쟁이붓꽃, 난사초, 한계령풀 등 희귀식물 56종이 보고되고 있다.

 

천연보호구역 내의 동물은 1,562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반달가슴곰(천연기념물 제329), 사향노루(천연기념물 제216), 산양(천연기념물 제217), 수달(천연기념물 제330),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 황조롱이(천연기념물 제323-8),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2), 열목어(천연기념물 제73), 어름치(천연기념물 제259) 등은 별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자연 그대로 보존해야 할 설악산

 

천연기념물인 설악산 천연보호구역은 특별히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곳이다. 이 곳의 지질과 지형 및 동물과 식물 자원이 풍부하며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 또한 전통 사찰 등 많은 문화유산들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 중의 하나이므로, 설악산 전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산에 오르면서 그 산에 대한 고마움을 잘 모르는 경우도 있다. 산은 그저 경치나 구경하고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오르는 곳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적어도 산 전체가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이 되어있는 설악산의 경우는 신령하기까지 하다고 한다. 이 산에서 돌맹이 하나 풀 한 포기를 훼손하는 행위는 곧 천연기념물을 훼손하는 행위이다. 자연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준다. 받은 만큼 우리가 돌려줄 것은 바로 자연 그대로의 보전이다.

속초는 행정구역상 고성군, 양양군, 인제군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태백산맥의 주요한 산인 설악산으로부터 동쪽 방향으로 흐르는 세 하천에 의해 3분된다.

 

가장 북쪽에 있는 장천천이 영랑호로, 그 중간에 청초천이 청초호로, 제일 남쪽에 있는 쌍천이 동해로 유입된다. 이들 동서방향의 하천은 각각 작은 유역 분지를 이루게 되고 산지에서 많은 흙과 모래를 운반하여 하구에 퇴적시키고, 흙과 모래의 일부가 동해의 연안류를 따라 흘러가다가 하구 입구를 메워 영랑호와 청초호 등의 자연 호수를 이루었다.

 

동서로 발달한 이들 하천은 동서방향의 인구 이동에는 유리하지만 남북 간의 이동에는 별로 유리하지 않았다. 남북 간의 이동은 육로로 이들 유역분지를 넘어 가는 것보다는 오히려 동해안의 연안류에 의하여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였다. 따라서 속초지역은 농업 지역의 확대와 함께 동서로 발달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하천의 근원지인 설악산은 태백산맥 줄기 중 최고봉인 대청봉(1,708m)이 남서 경계에 위치하고, 마등령·화채봉·칠성봉 등 높이 1,000m 이상의 높은 봉우리들이 서부와 남부의 자연적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설악산은 웅장한 산세와 기암괴석, 계곡의 맑은 물과 수많은 폭포 및 숲, 그리고 신흥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 등이 조화를 이루어 사철 경관이 뛰어나다.

 

 

이러한 지형적 여건은 지역의 중요한 문화기반이다. 문화라고 하는 것은 삶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속초 문화를 규정짓는데 있어 지형적 여건은 그 어느 것보다도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건은 농경문화와 어촌문화, 산촌문화를 생산해 내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수령 500년의 천연기념물 설악동 소나무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20 일대, 신흥사로 들어가는 길목 좌측에 보면 노송 한 그루가 자리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51호로 지정 된 속초 살악동 소나무이다. 이 소나무는 속초에서 설악동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으며, 나이는 5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설악동 소나무는 높이 16.5m, 둘레 4.03m의 크기로 지상 2m에서 분지한 큰 가지 2개는 고사했고 지상 8m에서 크게 2개의 가지로 갈라져있다. 나무의 밑동에 돌을 쌓으면 오래 산다는 전설이 있어서인지 나무밑동 근처에는 돌이 많이 쌓여 있다. 전설을 믿고 사람들이 근처에서 가져다가 쌓은 돌이다.

 

설악동 소나무는 마을을 지켜주는 서낭나무로서의 민속적 가치와 함께 오래되고 큰 나무로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주변은 아름다운 단풍으로 덮여있어

 

이 소나무에서 설악산 신흥사 방향으로 올라가다 좌측을 보면, 가을에는 눈을 제대로 뜰 수가 없을 정도이다. 붉은 단풍이 사람들의 혼을 빼놓기 때문이다. 아마 지금까지 가을에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단풍을 보았지만, 이곳의 단풍처럼 붉은 빛을 띠고 있는 단풍은 보지 못한 듯하다.

 

흡사 붉은 물감을 그대로 숲에 던져버린 듯한 붉은 숲. 이런 단풍이 있어 가을이면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가 보다. 설악동의 단풍, 푸른 소나무의 싱그러움을 보았다면, 조금 위에 붉은 단풍의 열정을 만난다. 그래서 설악산은 늘 좋은 곳으로 내 기억 속에 있는 것인가 보다.

 

 

설악산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 아디일까? 사람마다 다르지만 나는 천불동과 금강굴, 그리고 울산바위를 먼저 떠올린다. 그 중에서도 울산바위는 3년 가까이 속초에서 생활을 하면서 늘 보아왔던 곳이다. 내가 묵던 곳은 소나무 숲이 있는 곳이다. 그 곳으로 난 산책길을 늘 걷고는 했는데, 그 위에 올라가면 울산바위가 바로 바라다 보인다.

 

물론 동해도 보이고 멀리 금강산의 줄기도 볼 수가 있다. 하지만 울산바위만큼 자주 본 곳은 없을 듯하다. 매일 바라다 본 울산바위. 날마다 바라보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참 희한하다는 생각을 한다. 왜 설악산에 울산바위라는 바위 이름을 붙인 것일까? 전설이야 그렇겠지 하면서도 머리를 끄덕이는 것은, 그것이 울산바위이기 때문이다.

 

 

그 전설일랑 참 묘하게도 맞아 떨어지네

 

울산바위가 설악산 한 편에 커다랗게 자리를 하고 있는 것은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의 대소 산에는 모두 산신령이 있다. 물론 울산에 있는 산에도 있을 테고, 금강산에도 산신이 있아. 하루는 금강산에 산신이 금강산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전국 각처에 있는 산신들에게 사발통문을 보냈다는 것이다.

 

전국 각 처의 산신령들은 자신이 있는 산의 돌을 들고 와 금강산에 12천봉을 만들어 달라는 통문이다.

전국 각처에 있는 산신령들은 돌을 한 자루씩 들고 가 금강산에 봉우리를 하나씩 만들기 시작했다. 작은 산까지 하면 일만 이천 개 뿐이겠는가? 산신령들은 각각 자신의 돌로 아름다운 봉우리를 만들기 시작했고, 12천봉이 다 완성이 되었다. 봉우리 조성을 마친 산신령들은 각각 자신의 산으로 돌아가고.

 

 

뒤늦게 도착한 울산 산신령

 

딴 곳의 산신령들이 다 봉우리 조성을 마치고 돌아가고 있는데, 한 여산신령이 치마폭에 돌을 가득 담아 끙끙대며 오는 모습이 보였다.

 

거기 어디서 오시는 산신령이십니까?”

, 저는 울산에서 오는 중입니다.”

늦었습니다. 이미 12천봉이 다 조성이 되었습니다.”

이런 낭패가 있나. 오다가 소피가 마려워 잠시 쉬었더니 그 동안에 다 완성이 되다니.”

 

 

울산에서 온 여산신령을 들고 온 바위를 다시 갖고 갈 수 없다고 그 자리에 놓고 갔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울산바위라고 한다. 울산의 여산신령이 늦지만 않았어도, 우리는 설악산에서 아름다운 울산바위를 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 대신 금강산 어딘가에 자리하고 있는 울산바위를 보았겠지만.

 

불티 붙는 울산바위는 장관

 

전설이 재미있다는 것은 바로 이런 점이다. 반전의 반전을 거듭한다. 그렇게 해서 설악산에 남게 된 울산바위. 울산바위는 언제나 보아도 아름답다. 사시사철 언제 보아도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겨울의 울산바위는 그대로 설경이 아름답다. 봄에는 봄대로, 비가 오면 오는 대로 아름다운 곳이다.

 

 

가을이 되면 울산바위는 불이 붙는다. 미시령 옛길로 가면서 만날 수 있는 울산바위는 불이 붙는다. 장관이 따로 없다. 내가 설악산을 즐겨 찾는 것도, 울산비위를 좋아하는 것도 그만큼 절경이기 때문이다. 흡사 바위 밑으로 불이 붙는 듯한 장관. 울산바위가 아니면 어디서 이런 절경을 볼 것인가? 그래서 깊은 가을이 더욱 좋다.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4번지에는 사지가 전한다. 강원도 기념물 제5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사지를 ‘한계사지’라고 한다. 11월 14일 오후에 찾아간 한계사지. 그러나 일반인들에게는 출입이 제한되어 있는 곳이라, 안으로 들어가려면 관리사무소의 허락을 받아야만 한다. 미리 공문을 보내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다는 한계사지를 둘러보았다.

한계사에 대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다만 통일신라시대 때 세워진 이 절은, 조선시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한계사가 있던 자리라고 본다. 1984년의 발굴 결과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금당터와 부속 건물터 등을 확인하였다.


강원도 인제군 한계령을 오르는 고갯길에서 만나는 한계사지. 그러나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한계사

이 사지의 발굴 당시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인 석탑과 석등, 석불 등의 재료와, 고려와 조선시대의 명문기와가 많이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이런 점으로 유추해 볼 때 한계사는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중건을 거듭하며 이어져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한계사가 누구에 의해서 창건이 되었는지, 정확히 언제 적에 사찰이 사라진 것인지 알 길이 없다. 인제에서 원통을 지나 미시령과 한계령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에서, 한계령 방향으로 길을 잡아 올라간다. 좌측 길 아래 장수대라는 정자가 보이는 도로 우측에 설악산 국립공원 관리사무소가 자리한다.



한계사가 서 있던 곳 뒤로는 기암괴석으로 된 봉우리들이 서 있어, 한계사가 얼마나 아름다운 절이었는지 가늠이 간다.(위)  한계사에서 발굴된 각종 석조물들과(가운데) 전각터(아래)  


어렵게 허락을 얻어 들어간 한계사지, 놀라워

관리사무소에서 한계사지 뒤편을 보면 기암괴석이 솟아있다. 앞으로도 마치 뾰족한 원뿔모양의 산봉우리들이 첩첩히 놓여있다. 한계사지로 오르는 길에는 굳게 철문이 막히고 ‘출입금지’라는 푯말이 덜려있다. 사전에 관리사무소의 허락을 받은지라, 철문을 열고 낙엽이 가득 쌓인 길을 걸어 오른다.

조금 올라가니 밑에서 보이던 기암괴석이 조금 더 자세하게 보인다. 오악(五嶽) 중 한 곳인 설악이 아니던가. 바라다만 보아도 그 장엄함에 눈을 땔 수가 없다. 폐가가 서 있는 뒤로 한계사지가 펼쳐진다. 한계사지 안에는 보물인 삼층석탑 두 기가 경내에 자리하고 있다.(석탑의 이야기는 다음에 하기로 한다)




눈앞에는 많은 석물들이 철책 안에 자리한다. 각종 주추들이며 문 자귀틀, 그리고 석조로 조형한 짐승(사자인 듯하다)과 여러 조각으로 난 석물들이 즐비하다. 그 한편에는 삼층석탑 한 기가 서 있고, 그 주변으로는 옛 전각 터들이 보인다.

석물로만 보아도 옛 한계사를 그려볼 수 있어

석물 중에는 딴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것들도 보인다. 이것저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많은 석물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아마도 이 석조물들로만 보아도 한계사라는 옛 절이 그리 조그마한 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에는 안상을 새긴 네모난 돌이 보이는데, 아마도 배례석인 듯하다. 그러나 위에 문양을 돋을새김으로 새겨 넣은 것이 특이하다.

금당터 등은 석축이 남아있어 알 수 있지만, 여기저기 돌 축대 흔적으로 보아 많은 전각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석좌나 다양한 문양으로 새겨진 주춧돌만 보아도, 이 한계사가 여러 번에 걸쳐 중창이 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런 한계사가 언제 적에 누가 창건을 하였는지, 그리고 언제 사라졌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다만 석조물과 기와 등 명문으로 살펴볼 때, 신라시대에 창건된 절로 조선조에 와서 폐사가 되었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발길도 멈춘 인제 한계령 고갯길 한편에 남아있는 한계사지. 출입이 금지된 곳이라 다음을 기약할 수가 없어, 더욱 찬찬히 살펴본다. 그러나 말없는 석조물들은 그런 나그네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무심한 세월만 보내고 있다. 기암괴석 위에 걸린 늦가을의 푸른 하늘과 함께.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