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장수군의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만난 거대석불입상. 장수군 산서면 마하리 477번지 원흥사 미륵보전 안에 모셔진, 전북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된 원흥 석불입상이다. 이 석불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나, 그 형태로 보아서는 고려시대의 거대석불입상에 속하는 것 같다.

 

원흥 석불입상은 현재 이곳에 있는 원흥사 미륵보전 안에 소재하고 있는데, 그 전체 높이가 4m나 되는 거대석불이다. 이 석불은 문화재청 소개에는 삼국시대의 석불, 장수군청의 소개에는 고려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소개를 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석불입상의 무릎 아랫부분이 땅에 묻혀 있다고 소개를 하고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땅속에 묻힌 부분이 또 있다는 것인지

 

문화재청 안내에도, 장수군청의 소개와 절에 세워진 문화재 안내판에도 현재 1m 정도가 땅 속에 묻혀 있다라고 소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원흥 석불입상은 땅 속에 묻힌 부분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서로가 맞지 않는 이러한 문화재 안내문들 때문에, 종종 혼란을 겪기도 하는 것이 우리 문화재의 현실이다.

 

 

이 석불입상을 보려고 원흥사를 찾아가 사진을 좀 찍겠다고 부탁을 했다. 절의 공양주 인 듯한 분이 나와 곤란하다는 듯 이야기를 한다.

 

우리 스님은 부처님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세요.“

신문에 내려고 하는데, 사진 몇 장만 찍을게요.”

지금까지 수도 없이 그런 소리를 들었어요. 홍보를 해주겠다고

그랬나요?. 저는 꼭 소개를 하겠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이 너무하지. 사진만 찍어가고 나온 대는 없어요.‘”

 

이런 경우는 참 난감하다. 요즈음은 문화재답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꽤 많아 진듯하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이곳에도 그동안 꽤 많은 사람들이 다녀간 듯한데, 소개가 되지 않아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하다니. 이런 경우 내 잘못은 아니지만, 괜히 미안한 생각이 들기도 한다.

 

 

둔탁한 느낌이 드는 거대석불

 

원흥 석불입상은 머리가 큰 편이다. 소발에 이마에는 백호가 있고, 목에는 삼도가 있으나 분명하지가 않다. 큰 얼굴에 비해 눈과 입은 작고 코는 큰 편이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늘어져 있다. 이 석불입상은 노천에 방치가 되어 있던 것을, 1904년 마을에 사는 이처사 부부가 꿈을 꾼 뒤 전각을 조성해 모셨다고 한다.

 

그 뒤 1972년 주지 김귀수씨가 법당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안치하였는데, 석불의 머리 위에는 모자가 얹혀 있었다고 한다. 현재의 석불은 모자가 없으며, 몸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다. 신체의 어깨와 몸의 너비가 같은 것이 전체적으로는 둔해 보인다. 더욱 목이 매우 짧게 표현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더 드는 것만 같다.

 

 

고려시대 거대석불로 추정되는 입상

 

어깨에 걸친 법의는 통견으로 옷 주름이 다리부분까지 늘어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싼 법의는 가슴이 거의 노출되었고, 양 소매와 배 아래쪽으로는 형식적인 옷주름을 표현하였다. 배 부분에 댄 손은 양 소매에 넣어 감추고 있으며, 배 아래쪽으로 표현한 옷 주름은 양편으로 갈라져 있다.

 

형식적으로 표현한 옷 주름은 무릎 아랫부분에서 마무리를 하였고, 그 밑으로는 안치마를 겹쳐 입었다. 현재 놓여있는 발은 원래의 것이 아닌 듯하다. 석불입상의 크기나 표현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거대석불로 추정되는 원흥 석불입상. 찍을 수 없다고 하면서도 문까지 열어주는 바람에 촬영을 할 수 있었지만, 바로잡지 않은 안내판으로 인해 썩 기분이 좋지는 않다. 그래도 부처님의 마음으로 이해를 하고 다녀야 하는 것인지.


 

문화재청 설명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마하리 팔공산 기슭에 있는 원흥사 법당 안에 모셔져 있는 높이 4m의 거대한 석불입상이다. 원래 노천에 방치되어 있었는데, 1904년 이 마을에 살던 이처사 부부가 꿈을 꾼 뒤 불상을 만들어 모셨으며, 그 뒤 딸 청신과 손자 김귀수가 현재의 원흥사를 세웠다고 한다.

 

얼굴은 살찐 모습이며 눈과 입이 작은 편이나 코는 큰 편이다. 목은 매우 짧게 표현되었으며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는 분명하지 않다. 신체는 어깨와 하부의 너비가 같아 둔한 느낌을 준다.

 

양 어깨를 감싼 옷을 입고 있는데 가슴이 거의 노출되었고, 양 소매와 배 아래쪽으로는 형식적인 옷주름을 표현하였다. 손은 양 소매에 넣어 감추고 있으며, 무릎 이하는 땅속에 묻혀 있다. 머리 위에 모자가 얹혀져 있었다고 하는 이 불상은 손모양이 특이하며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진다.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자석리 51에 소재한 용화사. 그 경내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1호인 ‘이천자석리석불입상’ 한 기가 서 있다. 이천시 설성면 자석리의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 용화사 경내 노천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불입상이 자리한 곳은, 예로부터 미륵당이라고 전해진다.

 

전체 2개의 돌로 이루어진 이 석불은 머리에 원형의 넓은 갓인 개석을 쓰고 있으며, 긴 타원형의 얼굴에는 이마 중앙에 백호가 표현되었다. 양눈썹과 는, 돌출된 코와 입이 작게 표현되어 전체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잃고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간략하게 표현된 옷주름은 양 손의 표현과 더불어, 마멸이 심해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용화사의 주존불

 

이 불상은 얼굴과 더불어 짧은 목, 몸체에 비해 좁은 어깨와 간결하게 처리가 된 옷주름 등을 볼 때 고려 후기의 불상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용화사(龍華寺) 경내에 주존불로 노천에 봉안되어 있는 이 석불입상은, 높직한 석축을 쌓고 그 중앙에 석불을 모시고 있다. 뒷면은 아무런 조각이 없이 평평하게 조성을 하였다.

 

 

기단이 이 석불입상을 조성할 때 있던 것이 아니다.  새로 조성을 한 것이다. 가슴 아래에 커다란 하나의 동과, 가슴 위 부분과 얼굴이 하나의 돌로 조성된 이 석불입상은, 모든 것이 간략하게 처리가 되어있다. 이는 고려 말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천시의 경우 이러한 석불과 마애불 등이 딴 지역에 비해 많은 편이다.

 

시장의 번영을 위해 세웠다고?

 

일설에는 고려 현종 9年인 1018年, 장호원읍 선읍리에 감무를 두어 그 아문을 설치하였을 때 시장의 번영을 기원하는 뜻에서 건립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 석불입상을 시장의 번영을 위해 조성을 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납득하기가 어렵다. 대개 시장이나 마을의 안녕 등을 위한 것이었다면 석장승을 세웠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석리는 본래 음죽군 근북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새롭게 조성된 지역이다. 여주군 소개면의 흑석동 일부와 가서면의 자은동 일부를 병합하여, 자은과 흑석의 일부를 따서 자석리라 하였으며, 설성면에 편입되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석불입상을 시장의 번영을 위해 조성했다는 것은, 타당하지가 않다.

 

화강암의 두 개의 석재를 이용하여 조성을 한 용화사 석불입상. 일반적으로 석불의 경우 몸에 팔을 조각하는 것이 통례인데 비해, 이 석불입상은 그저 통으로 두 개의 돌을 포개놓고 얼굴의 형상을 조각한 것처럼 보인다. 비록 팔은 찾아볼 수 없고, 균형은 맞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당한 모습이다.

 

 

많은 석불을 만나보았지만, 그 중에 가장 약식화 된 석불입상이었다는 생각이다. 한창 더위가 기승을 떨 때 찾아갔던 용화사 자석리 석불입상. 올 가을이 짙을 때 이곳을 다시찾아, 가을의 풍취와 어울리는 또 다른 모습이 보고 싶다.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가면 견우직녀가 된 석불입상이 서 있다. 200m의 거리를 두고 마주하고 있는 이 석불입상은 일 년에 단 한 번 12월 해일 자시에 만난다고 한다. 두 석불은 일 년간의 회포를 풀다가 새벽 첫 닭이 우는 소리가 나면 제 자리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 석불입상은 석불이라기보다는 마을 입구에 세우는 장승이나, 묘 앞에 서 있는 석인과도 같은 모습이다. 다만 이 석불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머리에 4각형의 높은 관과 보개를 쓰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보물 제4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석불입상을 보기 위해 비가 부슬거리는 날 길을 나섰다. 익산 왕궁리 터와 1k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왕궁리 석탑도 볼 겸 겸사겸사 길을 나선 것이다.

 

빗길에 만난 고도리 석불입상

 

부슬거리는 비를 맞으며 서로 마주하고 서 있는 두 기의 석불입상. 보기만 해도 마음이 찡하게 만든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석불입상이 어떤 이유에서 이렇게 멀리 있게 되었는지는 몰라도, 마을에서는 예전에 이곳에 커다란 수문이 있어, 수문의 허를 보완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거리에 수문의 허를 막았다고 보기에는 맞지가 않다. 그런 커다란 수문이 있었다면 아직도 흔적이 있었을 것이다. 또한 수문의 허를 보완하기 위해 석불입상을 세웠다는 것도 이해가 가질 않는 부분이다. 만일 그렇다고 하며 이 석불입상은 불상이기보다는 석장승으로 보아야 타당하다. 아마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이 두기의 불상이 옥룡천을 사이에 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두기의 석불입상은 견우직녀처럼 일년에 단 한 번 12월 해일 자시에 만난다고 전해진다.
  
사다리꼴의 화강암에 지극히 절제된 수법으로 표현을 하였다. 눈은 가늘게 떴으며 입은 약간 벌리고 있어 웃는 상이다.

 

두 석불입상이 부부라는데

 

높이가 4,24m에 화강암 세로 사다리꼴로 조성이 된 이 석불입상은 마을 안쪽에 있는 서 있는 불상이 여성이고, 왕궁리 쪽으로 서 있는 것이 남성이라고 한다. 두 기의 석불입상은 조각을 한 수법이 동일하다. 사다리꼴의 몸체에 팔이 따로 없으며, 마주한 두 손을 깍지 낀 모양만 주변을 파서 돋을새김한 것처럼 조각을 하였다. 웃음을 띤 얼굴은 두 눈이 가늘게 표현을 하였고, 입은 약간 벌어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보아서는 석불이라기보다는 마을의 수호신의 역할을 하는 석장승에 가깝게 표현이 되었다. 다만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석불의 조각기법이 표현을 절제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남 석불입상과 마주하며 마을 안쪽에 서 있다.

 

두기의 마주하고 있는 석불입상. 부슬부슬 내리는 비가 흡사 두 석불입상의 마주하고도 만나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는 듯하다. 올 12월 해일에는 동고도리에 가서 두 석불입상의 해후를 보아야겠다는 미련한 생각을 하면서 돌아선다. 아마도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이렇게 이별이라는 아픔을 수도없이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아픔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전북 장수군의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만난 거대석불입상. 장수군 산서면 마하리 477번지 원흥사 미륵보전 안에 모셔진, 전북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된 원흥 석불입상이다. 이 석불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나, 그 형태로 보아서는 고려시대의 거대석불입상에 속하는 것 같다.

 

원흥 석불입상은 현재 이곳에 있는 원흥사 미륵보전 안에 소재하고 있는데, 그 전체 높이가 4m나 되는 거대석불이다. 이 석불은 문화재청 소개에는 삼국시대의 석불, 장수군청의 소개에는 고려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소개를 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석불입상의 무릎 아랫부분이 땅에 묻혀 있다고 소개를 하고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땅속에 묻힌 부분이 또 있다는 것인지

 

문화재청 안내에도, 장수군청의 소개와 절에 세워진 문화재 안내판에도 현재 1m 정도가 땅 속에 묻혀 있다라고 소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원흥 석불입상은 땅 속에 묻힌 부분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서로가 맞지 않는 이러한 문화재 안내문들 때문에, 종종 혼란을 겪기도 하는 것이 우리 문화재의 현실이다.

 

 

 

이 석불입상을 보려고 원흥사를 찾아가 사진을 좀 찍겠다고 부탁을 했다. 절의 공양주 인 듯한 분이 나와 곤란하다는 듯 이야기를 한다.

 

우리 스님은 부처님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세요.“

신문에 내려고 하는데, 사진 몇 장만 찍을게요.”

지금까지 수도 없이 그런 소리를 들었어요. 홍보를 해주겠다고

그랬나요?. 저는 꼭 소개를 하겠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이 너무하지. 사진만 찍어가고 나온 대는 없어요.‘”

 

이런 경우는 참 난감하다. 요즈음은 문화재답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꽤 많아 진듯하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이곳에도 그동안 꽤 많은 사람들이 다녀간 듯한데, 소개가 되지 않아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하다니. 이런 경우 내 잘못은 아니지만, 괜히 미안한 생각이 들기도 한다.

 

 

 

둔탁한 느낌이 드는 거대석불

 

원흥 석불입상은 머리가 큰 편이다. 소발에 이마에는 백호가 있고, 목에는 삼도가 있으나 분명하지가 않다. 큰 얼굴에 비해 눈과 입은 작고 코는 큰 편이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늘어져 있다. 이 석불입상은 노천에 방치가 되어 있던 것을, 1904년 마을에 사는 이처사 부부가 꿈을 꾼 뒤 전각을 조성해 모셨다고 한다.

 

그 뒤 1972년 주지 김귀수씨가 법당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안치하였는데, 석불의 머리 위에는 모자가 얹혀 있었다고 한다. 현재의 석불은 모자가 없으며, 몸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다. 신체의 어깨와 몸의 너비가 같은 것이 전체적으로는 둔해 보인다. 더욱 목이 매우 짧게 표현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더 드는 것만 같다.

 

 

 

고려불로 추정되는 석불입상

 

어깨에 걸친 법의는 통견으로 옷 주름이 다리부분까지 늘어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싼 법의는 가슴이 거의 노출되었고, 양 소매와 배 아래쪽으로는 형식적인 옷주름을 표현하였다. 배 부분에 댄 손은 양 소매에 넣어 감추고 있으며, 배 아래쪽으로 표현한 옷 주름은 양편으로 갈라져 있다.

 

형식적으로 표현한 옷 주름은 무릎 아랫부분에서 마무리를 하였고, 그 밑으로는 안치마를 겹쳐 입었다. 현재 놓여있는 발은 원래의 것이 아닌 듯하다. 석불입상의 크기나 표현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거대석불로 추정되는 원흥 석불입상. 찍을 수 없다고 하면서도 문까지 열어주는 바람에 촬영을 할 수 있었지만, 바로잡지 않은 안내판으로 인해 썩 기분이 좋지는 않다. 그래도 부처님의 마음으로 이해를 하고 다녀야 하는 것인지.

임실군 삼계면 학정리 36번지에 가면 성문사라는 절이 있다. 이 절에는 전북유형문화재 제 87호로 지정이 된 석불입상이 있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석불상은, 발견 당시에는 성문안마을 밭 가운데에 있었다고 한다. 발견 당시 하반신이 땅에 묻혀있고, 대좌와 광배가 각각 떨어져 있었단다.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에는 전설이

 

2002년에 석불의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높이 245㎝, 너비 98.8㎝, 두께 35.4㎝의 석불입상으로 밝혀졌다. 석불입상의 얼굴은 넙적하고 크다. 귀는 볼 아래까지 내려와 있어 풍만하다. 얼굴의 전면과 길고 큰 귀에 비해, 가는 눈과 작은 입은 어딘가 조금은 부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이 석불입상의 목에는 희게 붙여 놓은 것이 조금은 눈에 거슬린다. 머리 부분이 6ㆍ25때 떨어졌던 것을 다시 붙인 것이라고 한다.

 

 

이 석불입상의 코는 떨어져 나가 부자연스러운데, 그 이유를 마을 주민들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한다. 어느 날 마을에 사는 한 농부가 소에게 풀을 먹이고 있는데, 소가 달아났다는 것이다. 화가 난 농부가 소를 향해 돌을 던졌는데, 그 돌이 하필 석불의 코를 맞혀 석불의 코 한쪽이 떨어져 나갔단다. 그런 연유에서인가 그 농부는 그날부터 병을 앓기 시작하더니, 급기야는 그 길로 일어나지를 못하고 죽었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농부의 죽음이 석불에게 해를 입힌 벌이라고 하여, 석불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인간의 고통을 없애주기 위해 세상에 왔다는 부처인데, 그런 일로 인해 농부를 죽였을 리가 없겠지만, 그런 마을에 전해지는 이야기로 인해, 마을주민들은 이 석불입상이 효험이 있다고 믿는다는 갓이다. 전설이야 늘 그렇듯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고 나면, 더해지면서 전해지는 것이니 마을 주민들의 입을 통해서 전해지다가 과장이 된 듯도 하다.

 

 

어울리지 않는 광배가 오히려 문화재를 망쳐

 

현재 성문사 대웅보존에 모셔진 학정리 석불입상은 모습이 특이하다. 목에는 이어 붙인 밑으로 삼도가 보인다. 그리고 법의는 통견으로 했으며, 가슴부분에 U 자형의 주름이 잡혀있다. 두 손은 풍성한 법의 안에서 두 팔을 마주했다. 발밑까지 흘러내린 법의는 발목 부분에서 다시 U자형의 줄이 있고, 그 아래는 주름을 잡은 형태이다. 발은 법의에 가려 보이지가 않는데, 밑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법상으로 가려져 있어 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현재 이 학정리 석불입상의 광배는 새로이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뒤에 하얀색으로 마련한 광배가 어딘가 어색하다. 발견 당시 대좌와 광배가 떨어져 있었다고 하는데, 그 광배는 어디로 간 것일까? 다시 조성한 광배가 영 딴판이다. 물론 석불입상의 격에 맞는 광배를 갖다 놓은 것이라고 하겠지만, 보기에도 영 어울리지가 않는다.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보면 이런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목이 떨어진 석불좌상에 새롭게 조성해 올려놓은 머리가 영 딴판이라든가, 석불입상에 회칠을 해 문화재의 품위를 떨어트리는 등, 우리 문화재의 보존이라는 행위가 오히려 문화재를 망치고 있는 경우이다. 학정리 석불입상도 제 광배가 조금 쪼개지고 떨어져 나갔다고 해도, 원래의 것을 함께 놓았다면 그 가치가 지금보다 나았을 것 같다. 우리 문화재를 보존하는 일은, 새로 만들어 우스꽝스런 모습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제 것을 잘 지켜내는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