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산(七寶山), 수원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239m의 높지 않은 산이다. 조선시대에는 치악산으로 불렸다고 하며, 화성지에는 칠보산을 화산의 주맥으로 기술하고 있다. 칠보산은 원래 여덟 가지 보물이 있다고 하여 팔보산이었으며, 그 여덟 가지의 보물은 산삼, 맷돌, 잣나무, 황계수탉, 범절, 장사, , 황금 닭이 있었다고 한다.

 

그 여덟 가지 보물 중에 하나인 황금 닭을 가져가버려 칠보산으로 변한 것이라고. 이 칠보산에는 용화사라는 크지 않은 절이 자리하고 있다. 칠보산을 오르는 등산로 중 제2코스인 용화사 길은 산중의 정취를 마음껏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905에 자리한 용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용주사의 말사이다.

 

 

용화사는 절이 언제부터 이곳에 자리하고 있었는지, 또 누가 중창을 한 것인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고 한다. 다만 구전에 의하면 용화사는 조선조 후기에 세워진 절이라는 것이다. 이 절의 대웅전에는 마애불을 주물로 모시고 있는데, 그 마애불의 형태나 가장 오래된 전각인 대웅전을 보면 200년 정도 지난 절로 추정된다.

 

지방 장인의 솜씨로 보이는 투박한 마애불

 

17, 칠보산으로 길을 잡았다. 칠보산 등산로를 몇 곳 돌아보고 난 뒤 당수동 시민주말농장도 함께 돌아볼 생각으로 길을 나선 것이다. 용화사는 칠보맷돌화장실에서 천천히 걸음을 옮겨도 채 10분이 걸리지 않는다. 절 입구는 공사를 하느라 부산한데 그곳을 피해 대웅전으로 향했다.

 

 

대웅전은 처마가 약간 뒤틀린 듯하다. 주초를 보니 잘 다듬어진 원형 주초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초의 형태로 보아 이 대웅전이 지어진 것은 100년이 조금 지났을 듯하다. 이 대웅전 안을 들여다보니 정면에 마애불 한 기가 놓여있다. 선주형으로 다듬은 돌에 마애불을 선각했는데 조금은 투박한 형태이다.

 

이런 형태로 보아 이 마애불도 조선조 후기에 지방 장인에 의해서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선각이 된 마애불은 육계가 크고 귀는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눈은 좁고 길게 표현했으며 입이 작은 편이다. 전제적으로 보면 잘 조형되지는 않았지만 깊게 판 선각으로 인해 무게가 있어 보인다.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제작연대 알아보았으면

 

마애불을 조성한 바위는 우측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법의는 양 어깨에서 흘러내렸는데 가슴이 깊게 파여 있다. 하반신은 가려져 있어 정확한 형태를 알아볼 수가 없어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만 마애불을 조성한 바위의 크기로 보아 좌상으로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머리 주변에 두광은 후에 누군가에 의해 다시 조성된 듯 둥그렇게 파 놓았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했는데 삼도치고는 그 간격이 너무 넓어 이상하게 보인다. 오른 손은 가슴께로 들어 올렸으며 왼손은 정확하게 알아볼 수가 없다. 용화사 종무소에 들려 혹 연대를 알아볼 수 있을까 해서 물어보았지만 알 수가 없다는 대답이다.

 

 

비지정문화재이긴 하지만 현재 대웅전에 모셔진 마애불이고 보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조성연대라도 알아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투박하게 조성은 되었지만 나름 힘이 있어 보이고 아직은 형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으로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은 이런 비지정 문화재를 만나는 일이 생긴다.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그런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답답하기 일쑤이다. 조금 더 자세하게 소개를 하고 싶지만, 알고 있는 식견이 짧은 것을 어찌하랴. 그저 답답한 마음을 털어버리려고 그 앞에 머리를 조아려 무능함을 다시 탓할 수밖에.

재인청에 대해서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한다. 자칫 재인청이라는 곳이 어떤 특정한 전통예술을 하던 것처럼 포장이 되기도 하는 것을 보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것이 어떤 것이 되었던지 재인청에 속한 수많은 기예인들이 있었고, 한 때는 모든 전통예술분야를 총괄하던 곳이 재인청이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재인청은 무부들의 집단이었나?

 

물론 재인청은 ‘무부(巫夫=화랭이)’들이 자신들의 공동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이다. 재인청이라는 명칭을 붙인 것도 고려조부터 전해진 교방청(敎坊廳)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재인청은 무부들의 조직이면서도 그 안에 화랭이, 광대, 단골, 재인 등 수 많은 예인들이 속해 있었으며 아주 엄한 규제가 있었다.

 

 

재인청은 경기도를 비롯해 충청과 전라도에도 있었으며, 각 군마다 군 재인청이 있었다. 각 도 재인청의 수장을 대방이라고 하고, 군 재인청의 수장은 장령이라고 불렀다. 재인청에서는 선생 밑에 제자들을 두어 학습을 하게 하였으며, 전국에 산재한 많은 예인들이 이 재인청에서 학습을 하거나 재인청에 적을 두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재인청의 수장은 대방이라고 하였으며 3도(경기, 충청, 전라)의 재인청을 당시 화성재인청에서 총괄을 했던 관계로, 화성재인청의 대방을 ‘도대방’이라고 하였다. 대방과 도대방의 선출은 3명을 추천을 하고, 그 이름 밑에 권점이라는 점을 찍어 다수표를 얻은 사람이 맡아보는 직선제 선출을 하였다.

 

 

까다로운 규제 속에 생활을 한 재인청

 

재인청은 그 규제가 까다로워 스스로의 천시 받는 형태를 벗어나기 위해 당시에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스승에게 예를 갖추지 않거나 주정을 하면 태장을 칠 정도로 엄한 규제 속에서 조직을 이끌어 갔다. 1920년대 일제의 문화말살 정책에 의해서 재인청이 폐청이 될 당시, 재인청에 속한 인원이 3만 여명에 이르렀다는 것으로 보아도 당시 재인청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지금도 경기도 내의 여러 곳에 보면 광대마을, 혹은 재인마을로 불리는 곳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지난 날 군 재인청이 있던 곳으로 보인다. 재인청이라는 곳이 춤을 추거나, 단지 소리를 하거나 하는 예인의 집단이 아니다. 재인청이란 한 마디로 3도에 있던 모든 예인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거대 기, 예능조직이었다.

 

 

‘경기재인청’의 부활을 기대한다.

 

경기도의 모든 전통예술을 총 망라할 수 있는 경기재인청의 부활. 이제는 경기도 내의 재인청에 대해서 새롭게 조명이 되어야 할 때이다. ‘화성재인청’을 ‘경기재인청’이라고 부르는 데는 그만한 사유가 있다. 그것은 당시 화성에 재인들을 관리하던 수장인 도대방이나 무부들이 다수의 인원이 있었고, 아마도 재인청의 소재지가 화성 내에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경기도 전체를 아우르는 그러한 대단위 재인청이 필요할 때이다.

 

그것은 재인청이 어느 특정 종목이 아닌, 전통예술 전 종목에 걸쳐 수많은 기예인들이 있었던 곳임을 깨달아야 하기 때문이다. 재인청의 부활은 이 시대에 우리가 반드시 이루어야 할 사안이다. 그 길만이 경기도 내의 8만 전통예술인들이 하나의 커다란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힘에 대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날 경기도의 전통문화를 화려하게 꽃피우던 재인청. 그 재인청을 재조명 하는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고대한다. 재인청은 굿을 하던 무부들이 자신들의 공동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조직한 기구였던 것이, 120여 년 동안 전국의 많은 예인들이 몰려들면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꽃피웠던 것이다. 그 재인청의 몰락은 전통예술의 혼란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충북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 산21에 소재한 광덕사. 이 절에 대한 자세한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1949년 한 보살은 석불의 꿈을 꾸고, 석불 옆에 세 칸의 작은 암자를 지은 뒤 광덕사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곳에는 고려 초기인 10세기를 전후해 조성이 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 한 기 서 있다. 석불입상의 내력으로 보아, 고려 때 이곳에 절이 있지는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광덕사는 도안면 소재지에서 충주 방면으로 36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도안농공단지입구에서 작은 고개를 넘어 1km 쯤 접어들면 도안면 광덕2리 마을회관이 나온다. 마을회관에서 700여m쯤 더 들어가면 농경지를 지나 산기슭에 외따로 떨어진 작은 절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광덕사다.


어쩌다가 쇠 머리띠까지

광덕사는 작은 절이다. 절 경내에는 모두 3동의 전각이 있다. 절로 들어서면 우측에 석불입상이 보인다. 석불입상은 전체 높이가 4.8m에 석불의 높이는 4m 정도다. 화강암으로 조성된 이 석불입상은 마모가 심한 편이다. 특이하게 이마에는 쇠 띠를 두르고 있는데, 이는 목과 머리에 균열이 생겨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석불은 그 크기에 비해 간단하게 조성했다. 미간에 있어야 할 백호는 보이지가 않는다. 양 귀는 길게 늘어졌으나 어깨에는 닿지 않았다. 눈은 가늘게 반쯤 뜨고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석불의 인상은 위엄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오래 동안 노천에서 비바람에 마모가 되어서인지 선명하지 않은 부분이 보인다.




두 개의 돌로 조성된 석불입상

광덕사 석불입상은 두 개의 돌로 조성이 되어 있다. 연화대좌와 석불이 같은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아, 같은 시기에 함께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석불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좌는 80cm의 높이로 꾸몄으며, 꽃잎 등을 표현한 수법이 투박하다. 고려 초기 지방에서 나타나는 석불의 특징을 잘 보이고 있다. 이 석불의 연호대좌와 석불의 조각 등으로 보아, 이 지역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연화대좌 위에 세운 석불입상은 일석으로 꾸며졌다. 머리는 큰 편이며 이목구비가 큼지막하게 표현을 했다. 오랜 세월 풍우에 씻겨 마모가 심한 편이지만,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었는데, 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있는 듯하다. 왼손을 배에 붙여 손바닥을 안으로 향했다. 법의는 양편 어깨서부터 주름이 잡혀있으며, 아래로 내려가면서 U 자형으로 표현을 하였다.



문화의 소중함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상한 나라

많은 문화재들이 수난을 겪었다. 그러나 광덕사 석불입상은 1949년에 암자가 지어지면서 나름대로 보존이 잘되고 있다. 이렇게 절 경내에 있지 않고, 야외에 있는 석불이나 탑 등은 훼손이 심하다. 아무래도 관리하는 이들이 없다보니, 사람들에 의해 훼손이 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광덕사 석불입상의 이마에 머리띠를 두른 것도 경내에 있어 가능한 것이다. 야외에 있었다고 하면 관리가 안 돼 파손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요즈음은 갑자기 지역마다 문화 콘텐츠를 개발한다고 난리도 아니다. 하지만 정작 지역의 문화를 잘 이용하는 지자체는 그리 많지가 않은듯하다. 그 이유는 문화를 관리하는 부서들이 대개는 전문적인 집단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땅에 수많은 문화재들. 이렇게 쇠 머리띠를 두르고 있는 석불입상의 앞에서 괜스레 낯이 붉어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