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학교 교정 안에 문화재가 있는 것을 만난다. 주로 석탑이나 석불, 천연기념물 등인데. 천연기념물이야 교정이 있을 수가 있다고 하지만 석탑의 경우는 드믄 예이다. 그런데 이 석탑을 만나게 되면 조금은 마음이 편해진다. 우선은 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훼손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원촌길 8-14 (서동리) 춘양중학교 안에는 동, 서로 마주 서있는 2기의 탑이 있다. 학교 교정 한편에 서 있는 이 탑은 쌍탑형식으로 조성이 된 것이다. 이 춘양중학교는 원래 신라의 옛 사찰인 람화사의 옛터로 알려져 있다. 람화사는 신라 문무왕 16년인 675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서북쪽으로 6정도 떨어진 곳에, 현재의 각화사를 창건하면서 이 절은 폐사되었다고 전한다.

 

같은 양식으로 조성한 두 기의 탑

 

보물 제52호로 지정이 된 봉화 서동리 동, 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한 탑이다. 이 쌍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두 탑이 모두 같은 양식으로 조성이 되었다. 기단은 아래와 위층 모두 4면의 모서리에 양우주를 돋을새김 하였고, 가운데도 기둥 모양의 조각인 탱주를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층으로 갈수록 규모가 줄어들어 뚜렷한 체감율을 보인다. 각 층의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양우주를 새겨 두었다. 그리 두껍지 않은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서쪽 탑에만 네모난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이 남아있을 뿐이며, 동쪽 탑은 모두 없어졌다.

 

기단부가 땅 속에 파묻혀 있고 탑이 몹시 기울어져 있어, 196210월에 해체, 복원하였는데, 이 때 서탑에서는 사리함을 넣었던 공간이 발견되었다. 동탑에서는 사리병과 함께 99개의 작은 토탑(土塔)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비례와 정제된 조형미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안에서 만난 쌍탑과 머리 없는 석불좌상

 

봉화군 춘양면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산재해 있다. 특히 봉화는 정자가 100곳 이상이나 있는 곳이다. 그만큼 이곳은 옛 선인들이 즐겨 살았음을 알 수 있다. 한 개 군에 100개가 넘는 정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답사의 즐거움은 배가가 된다. 거기다가 고택과 문화재들이 즐비하다.

 

12월 초 겨울에 찾아갔던 봉화. 예정은 하루만 이곳을 답사하리라 마음을 먹었지만, 하루 만에는 도저히 이곳을 떠날 수가 없었다. 주머니 사정만 여유가 있었다고 하면 아마 일주일은 족히 이곳에서 문화재를 찾아 다녔을 것이다. 하지만 경비를 줄이고 줄여 23일을 봉화에서 머물렀다.

 

23일의 봉화 답사 끝날에 만난 봉화 서동리 동, 서 두 개의 탑. 비록 기단부가 쪼개져 떨어져 나가고, 지붕돌인 덮개석도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통일신라 말기의 단아한 형태를 자랑하는 2기의 석탑은 그렇게 나그네를 반기고 있었다. 바람이 심하게 불어 날씨는 쌀쌀했지만 그 자리에서 떠날 수가 없었던 것은, 그 단아한 자태에서 풍기는 기품때문이었다.

 

탑의 촬영을 마치고 주변을 돌아보니, 나무 밑에 석불좌상 한 기가 보인다. 하지만 머리가 사라져 다시 조성을 했는데, 영 보기가 민망스럽다. 전국을 다니다가 보면 수없이 만나게 되는 머리없는 석불들. 도대체 누가 무슨 이유로 이렇게 석불의 머리를 훼손한 것인지. 자신의 문화재를 훼손하는 이런 작태야말로 이 민족의 문화재에 대한 의식이 엉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재란 보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손들에게 그대로 물려주어야만 한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한 자리를 지키면서 전해진 수많은 문화재들을 돌아보면서, 과연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후일 우리의 후손들에게 제대로 된 조상으로 대우를 받을까? 두렵기만 하다.

 

문화재란 늘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하지만 숱하게 훼손이 되어있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부끄럽고 죄스럽기 때문이다. 후에 역사는 우리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생각하면.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성주사지. 딴 곳의 사지보다 석탑이 유별나게 많은 절터이다. 이곳에 보물로 지정된 금당터 앞 오층석탑 외에도, 금당터 뒤편으로 나란히 3기의 석탑이 서 있다. 이곳에서 조성된 탑이 아닌 딴 곳에서 옮겨온 이 탑들은, 동 삼층석탑, 중앙 삼층석탑, 그리고 서 삼층석탑이다.

 

보물 제47호로 지정이 된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은 성주사지에서, 금당터로 보이는 곳의 뒤쪽으로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을 말한다. 성주사는 처음에는 백제 때 세워졌다가 후에 낭혜화상에 의해 번창이 된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그 배치구조가 특이하며 탑 외에도 석비, 귀부, 석축, 초석 등 많은 석조유물이 남아 있는 곳이다.

 

탑에 웬 구멍이 이렇게 많을까?

 

서 삼층석탑은 기존의 석탑과는 다르다. 물론 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은 2단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 맨 위부분에는 1층 탑의 몸돌인 탑신을 괴기 위한 별도의 받침돌을 두었다. 이는 통일신라에서 이어지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3층으로 조성한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짐승얼굴모양의 고리 1쌍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네 귀퉁이는 경쾌하게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탑의 머리장식인 싱륜부는 사라지고 남아 있지 않지만, 장식을 받쳐주던 네모난 받침돌인 노반이 놓여 있다. 이 탑은 조형미가 뛰어나며, 상하 비율이 잘 맞아 균형미가 돋보인다.

 

 

그런데 이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에는 많은 구멍들이 보인다. 위층 기단의 옥개석과 삼층석탑의 머릿돌인 옥개석까지 작은 구멍이 여기저기 뚫려있다. 사면으로 돌아가면서 옥개석에 뚫린 구멍은 양측으로 아래위로 3개씩을 뚫어놓았다. 옥개석 한 면에 12개씩의 구멍을 뚫은 셈이다.

 

금동판과 장식품으로 치장을 한 화려한 석탑

 

이 서 삼층석탑의 옥개석에 뚫어 놓은 작은 구멍들은 절에서 의식을 행할 때, 금동판이나 장식 등을 매달아 두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옥개석에 가득 달린 금동판이나 장식품들이 바람에 날려 소리를 내거나, 바람에 날리는 모습들은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 화려함으로 친다면 세상 그 어느 탑이 이 탑을 따를 수가 있을 것인가?

 

 

이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은 높이 443cm로 나란히 서 있는 두 개의 석탑과는 차이가 난다. 면석과 탑신석인 몸돌에는 중앙에 탱주와 양편에 우주를 새겼으며, 화강암으로 조성한 석탑이다. 기단석과 몸돌의 비례, 층급받침이 4단으로 조성한 것, 옥개석 처마가 날렵하게 위로 솟아오른 점 등을 보면 전형적인 9세기의 신라석탑이다.

 

사리공을 도굴 당한 석탑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은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사리공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그 안에는 향나무 썩은 가루와 먼지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언제인지는 몰라도 사리공 안에 있는 복장물이 모두 도굴을 당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많은 문화재 복장물들이 도굴을 당해 사라졌다.

 

문화재보호법이 솜방망이로 먼지 터는 격밖에는 되지 않는 대한민국. 문화재란 자손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 문화재를 훼손할 시에는 엄한 처벌로 다시는 이러한 폄훼 등이 없어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종교가 다르다고, 혹은 그 것을 훔쳐다가 돈을 만들기 위한 이런 몰염치한 인간들은 단죄를 해야 한다.

 

성주사지 금당 터 후면에 위치한 다른 두 탑에 비해, 너비가 넓어 장중한 느낌이 드는 서 삼층석탑. 1130일 눈이 내린 성주사지 인근에는, 어디를 둘러보아도 그 흔한 CCTV 한 대 눈에 띠는 것이 없었다.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성주사지에 소재한 보물 제19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保寧 聖住寺址 五層石塔)’. 성주사지 중문지를 지나 석등과 오층석탑, 금당지가 일렬로 나란히 조성되어 있다. 성주사는삼국사기에 나오는 백제 법왕 때 창건한 오합사(烏合寺)가 이 절이었다고 한다.

 

성주사는 통일신라 문성왕대에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이 절의 주지가 되어 번창시키니, 왕이 성주사라는 이름을 내려주었다 한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는 성주사를 지난 106일에 찾아보았다. 바람이 불고 간간히 빗방울도 뿌리는 날 찾아간 성주사는, 인적도 없이 고요함뿐이었다.

 

 

전형적인 신라 석탑

 

성주사지 오층석탑은 이 절의 금당 터로 보이는 곳의 앞에 서 있다. 금당 터 뒤로는 3층 석탑 3기가 나란히 서 있는데, 서로 층수만 다를 뿐 만든 솜씨는 비슷하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마다 모서리에 양 우주를 새겼으며, 가운데는 탱주를 새겨넣었다.

 

기단의 위로는 탑신을 괴기 위한 평평한 돌을 따로 끼워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각 면의 귀퉁이에도 기둥 모양인 양 우주를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지붕돌의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에 가서 위로 살짝 치켜 올라갔다.

 

 

우아한 모습의 오층석탑

 

성주사지 오층석탑의 전체 높이는 634cm이다. 기단부와 목개석, 몸돌 등이 완만하게 균형을 이루면서 위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져, 우아하고 경쾌한 모습으로 균형미가 돋보인다. 전체적으로는 통일신라시대 탑의 전형적인 모습이나, 1층 몸돌 아래에 괴임돌을 따로 끼워 두었으며, 1층 몸돌에 사리공이 있다.

 

대개 신라의 석탑은 기단부 위에 삼층의 몸돌을 올리는 것이 기본이지만, 이곳이 옛 백제의 지역이므로 신라와 백제의 석탑의 양식이 혼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이 시기가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시기이므로, 새로운 양식의 고려석탑으로 이어지는 형태로도 보인다. 현재는 상륜부가 사라진 오층석탑은 천년 세월을 그 자리에 꿋꿋하게 서 있다.

 

문화재 보호는 개인이 할 수 없어

 

전국에 산재한 많은 문화재들은 어느 누가 책임져야 할 부분이 아니다. 문화재 보호란 해당관청은 물론이려니와, 언론, 종교단체, 사회단체, 개인 등 모든 분야가 공동의 책임을 져야만 한다. 하지만 언론이나 그런 문화재를 보호해야 할 것을 종용해야 할, 도의적 책임이 있는 포털 사이트 등은 아예 외면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문화재보호, 참으로 소중하고 우리가 함께 책임을 져야할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나 몰라라 하고 있지는 않은지 모르겠다. 늘 문화재보호 운운하는 그런 속보이는 짓거리들은 이제 그만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진정한 문화재보호를 해야 하는 것은, 그 안에 우리의 정신세계가 함께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서 있는 보물 제928호는, 조선 광해군 때 세워진 사리탑과 그 안에서 발견된 여러 사리장치들을 일괄 지정한 것이다. 사리탑 1기와 탑 안에서 발견이 된 6물 6점을 지정하였다. 이 사리탑은 영원히 우리 땅에서 볼 수 없었던 것 중 하나이다.

 

보물의 공식 지정 명칭은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이다. 이 탑은 조선시대의 사리를 모셔 둔 탑으로, 광해군은 왕세자의 만수무강과 부처의 보호를 바라며 봉인사의 부도암이라는 암자에 사리탑을 세우게 하였다. 사리탑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탑에는 부처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일본으로 건너갔던 보물 사리탑

 

이 사리탑은 1620년경 봉인사 부도암(경기도 남양주군 진건면 송릉리 소재)에 세워졌던 것이다. 일제시대인 1927년 일본인들에 의하여 고베로 반출되고 그 뒤 대판 시립미술관에 보관되었다가, 1987년 2월에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 봉인사 사리탑은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조선시대의 유물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높이 3.08m의 사리탑은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은 상·중·하의 세 부분으로 나누었고, 그 위로 북처럼 둥근 탑 몸돌을 올려 사리를 모셔 두었다. 8각의 지붕돌을 그 위에 올린 뒤 꼭대기에는 길쭉한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하였다. 보기에도 조선시대의 사리탑 중 걸작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초기 사리탑의 전형

 

이 탑의 뛰어난 조형은 기중돌인 중대석에 새겨진 구름과 당초문양, 꽃잎과 여의주무늬, 상대석 옆면 테두리 속의 당초무늬, 탑신부의 운룡무늬 등에서 새로운 조형적 특색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경사가 급한 지붕에 처마 밑으로 서까래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거나, 윗면에 용머리를 새긴 수법 등은 기존의 사리탑과는 다른 형태이다.

 

상륜부가 길쭉하게 올라간 형태나 왕릉의 호석처럼 주위에 난간과 궁판석을 돌린 방식 등은 이 탑이 곧 조선 초기에 제작된 중원의 청룡사의 사리탑이나, 양주의 회암사의 사리탑을 모방하여 조선 초기 사리탑양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작연대가 밝혀진 사리탑

 

이 탑의 발견 당시 외합 속에는 명주실과 비단, 향이 남아 있었으며, 은으로 만든 내합의 뚜껑에는 마름모형의 무늬를 볼록 눌러새김의 수법으로 낸 후 그 안에 역동적인 운룡무늬를 장식하고 금박을 입혔다. 그리고 이 합의 밑바닥에는 네 줄의 명기와 함께 '만력 48년 경신 5월(萬曆四十八年庚申五月)의 글귀가 새겨져, 이 유물이 광해군 12년인 1620년에 봉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사카시립미술관에 전시가 되어있던 이 사리탑은, 1987년 소유자인 이와다 센소의 자발적인 기증 반환으로 되돌아 오게 된 것이다. 이는 ‘해외로 유출된 문화재는 원소유국에 반환되어야 한다’는 유네스코 협약정신에 의해 돌아오게 된 것이다. 수많은 누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찬탈해 간 일본인 중에, 이런 양심적인 사람이 있었다는 것에 대해 놀랍기만 하다.

 

 

아직도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우리의 문화유산들. 그 역사 속에서 찬연하게 빛을 발했던 문화재들이, 언제나 돌아와 제자리를 지키고 있을 것인지. 제자리를 떠난 문화재들의 빈자리를 볼 때마다 답답함만 더해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