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지장사는 신라 소지왕 7년인 485년에 극달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팔공산 자락의 절 중에서도 그 역사가 가장 깊다고 하는 북지장사의 임시 대웅전에는, 삼존불 곁에 석불좌상 한 기가 있다. 이 불상은 북지장사 대웅전 뒤쪽 땅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다.

이 불상은 발견될 당시에 광배와 연화좌는 없었으며, 화강암으로 조성한 좌불상 한 기만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이 좌불상은 현재 북지장사의 대웅전은 복원 공사로 인해, 임시 대웅전에 모셔두고 있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석불좌상은, 지장보살 좌상으로 보인다.

온화한 얼굴의 통일신라 말기의 좌상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의 얼굴은 온화한 인상이다. 그저 옛 석불답지 않게 말끔하게 조각이 되어, 언뜻 보면 요즈음의 석조미술품으로 볼 수도 있는 형태이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알맞고 단정한 자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왼손에는 보주를 들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을 아래로 향한 촉지인을 취하고 있다.

법의는 양쪽 어깨를 감싸고 있는 통견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옷은 주름의 조각선이 가늘고 약하게 형식화되어 시대가 뒤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머리의 형태나 손에 든 보주 등으로 미루어 보아 지옥의 중생을 구제한다는 지장보살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이며, 단정한 자태와 온화한 인상 등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미소를 띤 듯 노한 듯, 마음가짐이려니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얼핏 보아서는 그리 오래된 석불 같지가 않다. 문화재에 깊이가 없는 사람들은 그저 요즈음에 조성한 것으로 착각할 듯. 그렇게 고풍스럽지 않고 너무 말끔하단 생각이다. 그러나 그 연대가 신라 말이라고 하면, 이미 천년을 훌쩍 지났다는 것에 놀라고 만다.

아마도 이 석조지장보살좌상을 만든 장인이, 얼마나 오랜 시간 그 표면을 닦고 또 갈아낸 것일까? 이런 정도로 곱게 만들었다고 하면, 그 세월 또한 만만치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안내판의 설명을 미리 보지 않았더라면, 나 역시도 그냥 지나쳤을 판이니 말이다.




곱게 표면을 갈아놓은 석불의 얼굴에는 미소를 띤 듯도 하고, 노여움을 가진 듯도 하다. 보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 미소로도, 아니면 노한 듯도 보이는 대구 팔공산 자락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그것 하나가 바로 옛 석불에서 만나는 신비로움이 아닐는지. 마음을 열고 석불을 바라다본다. 입가에 보일 듯 말 듯한 엷은 미소를 찾아낸다.



부처님 앞에 마음 한 자락 내려놓고

삼배를 하고 난 후, 고개를 든다. 한 낮의 햇볕을 받은 석조지장보살좌상. 지장보살은 이 사바세계에서 억압받는 자, 죽어가는 자, 악몽에 시달리는 자 등의 구원한다. 스스로 지옥으로 떨어지는 벌을 받아야 하는 모든 ‘사자(死者)’의 영혼을 구제할 때까지, 자신의 일을 그만두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전한다. 지장보살은 전생에 브라만 집안의 딸로 태어나 석가모니에게 헌신적으로 기도함으로써, 자신의 사악한 어머니가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적도 있다는 것이다.



그 지장보살 앞에 무릎을 꿇는다. 나 역시 이곳에서 서원을 세우기 위해서이다. 기운이 자라는 데 까지, 내 나라에 있는 문화재를 돌아보다가 명을 걷을 수 있기를. 그것이 10월 7일 팔공산 기슭 옛 고찰 북지장사에서 나의 서원이다. 엷은 미소를 입가에 띤 지장보살 앞에 내 마음 한 자락을 내려놓는다. 그 서원을 지킬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올레길, 둘레길... 요즈음 각 지자체마다 주변의 산책로에 나름대로 이름을 붙여 걷기를 종용하고 있다. 주민들의 건강이나 관광객들의 즐길거리를 하나 더해준다는 기분 좋은 자연적 자원활용이다. 가끔은 이런 길에 있었나 싶을 정도의 아름다운 길을 만나기도 한다. 워낙 사진을 찍는 재주하고는 메주인 나로서는 그 아름다움을 제대로 전해 줄 수 없음이 늘 안타깝다.

지난 8일 찾아간 북지장사 가는 길. 대구 팔공산 올레 제1길이다. 소나무 숲길이 1.5km가 이어지는 길을 타박거리며 걷고 있노라니, 세상에 찌든 세상살이의 역겨움이 다 씻어지는 듯하다. 물과 돌, 그리고 소나무들이 정겨운 소나무 숲길. 그 길을 따라가 본다.


아름다운 소나무 길. 언제 걸어도 좋을 듯



길을 걸어 조금 가다보니 올레길이란 안내판이 보인다. 그리고 가을 수확을 하느라 바쁜 일손이 거기 있었다.


소나무가 양편으로 갈라서 사람을 기다린다. 하늘을 찌를 듯 솟은 나무 틈 사이로 쏟아지는 햇볕이 눈부시다. 그리고 여기저기 널린 돌들. 산돌들은 그렇게 오랜 시간 그 자리에 앉아 오가는 길손에게 말을 건다.


북지장사. 아마도 대웅전보다 지장전이 더 유명한 절이었는지. 북족에 있는 지장사란 이름을 붙인 것을 보면. 절에 무슨 행사가 있었을까? 오고 가는 사람들의 발길이 잦다. 커다란 산돌들이 나무 숲 그늘에 쉬고 있다.



산을 감돌아 흐르는 계곡가에 소나무가 돌을 피해 자라고 있다. 자연은 그렇게 딴 사물에 피해를 주지 않고 스스로 피해 자란다. 인간들은 왜 저런 진리를 모르는 것일까? 그런 조악한 마음을 가진 자들이 보고 배웠으면 좋겟다는 생각을 한다. 길가 계곡물이 흐르는 옆에 쌓아놓은 돌탑. 예전에 이곳에 서낭당이라도 있었음 즉하다.



안양교란 작은 다리가 놓여있다. 아마 이곳서 부터는 속세의 연을 내려놓으라는 것인지. 물이 흐르는 곳을 바라다본다. 참 깨끗하다. 저 물에 더렵혀진 몸과 마음을 흘려보내란 것인지. 그 위로 아이를 데리고 부부가 한가롭게 걷고 있다. 거리를 보아도 아이를 데리고 걷기 딱 좋은 길이다.


길 우측 소나무 숲속에 누군가 쌍탑을 쌓았다. 그 옆으로 실하게 자란 배추밭이 보인다. 올해는 배추금이 어떠려나.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이제 하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세상 인심을 보아야 한다니...



길가 허름한 집 담벼락에 누군가 친절하게 거리를 서 놓았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조금은 여유로움을 느낄 수가 있다. 좌측으로 소나무 들이 조금 더 커진 듯한 길이다. 그 길 끝에 북지장사가 나그네를 기다리고 있다. 

그저 터벅거리고 걸어도 20여분. 왕복 3km의 소남 숲길이다. 물과 돌이 함께 하는. 아이들과 걷기에도 적당한 거리인 이 소나무 숲길은, 그렇게 오랜 세월 객들을 기다리며 굽어보고 있었다. 


대구 동구 도학동 620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북지장사. 신라 소지왕 7년인 485년에 극달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벌서 처음으로 절이 창건된 지가 1,526년이나 지난 고찰이다. 북지장사는 팔공산 인근에 자리한 고찰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절로, 같은 극달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동화사보다도 8년이나 앞선다.

절의 중심이 되는 대웅전은 보물 제805호로 지정이 되어 있으며, 조선 인조 원년인 1623년에 지은 건물이다. 처음에는 망자의 천도를 염원하는 극락전 또는 지장전으로 사용했던 건물로 추정하고 있다.


정면 한 칸의 작은 전각

현재 대웅전은 보수 공사 중이다. 단청을 마쳤으며, 전각 안을 공사 중이라 볼 수가 없다고 한다. 정면 한 칸, 측면 두 칸 규모이지만, 정면 한 칸 사이에 사각형의 사잇기둥을 세워, 세 칸처럼 독특한 양식을 띠고 있는 것이 독특하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이 북지장사 대웅전은 여러 곳에서 특이하다. 이러한 전각은 우리나라 전역을 보아도 몇 채 되지 않는다. 순천 송광사의 약사전과 영산전, 그리고 여주 신륵사의 조사전 등이 이와 같은 건축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대웅전에는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인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다.



이러한 형태를 다포 양식이라 하는데, 북지장사 대웅전의 세부 처리는 조선 중기 수법을 따르고 있다. 지붕 각 모서리에는 무게를 받칠 수 있는 추녀 끝에 얇은 기둥인 활주를 대었다고 하는데, 보수 공사를 하느라 활주는 임시로 제거하였다고 한다.

공포 끝에 용머리 조각이 돋보여

10월 8일 팔공산 갓바위 석조여래좌상을 돌아보고 찾아간 북지장사. 몸은 지칠 대로 지쳤지만, 대웅전이 보물이라는 말에 1.5km를 걸어 찾아들었다. 복원공사 중인 대웅전은 새 건물처럼 보인다. 이미 단청까지 마친 상태라 옛 고풍스런 멋은 사라졌으나, 말끔한 모습이 오히려 새로운 느낌이 든다.




북지장사에는 원래 대웅전이 있었으나, 불에 타 소실되는 바람에 이곳을 대웅전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북지장사의 대웅전은 측면도 한 칸이나 퇴칸을 달아냈다. 그리고 뒤편 퇴칸에 출입문을 낸 특이한 구성이다. 공포는 내, 외 4출목으로, 공포 위에 설치한 용머리 조각 등은 조선 후기 수법을 따르고 있다.

건물의 안쪽은 특이하게 정자에서 쓰는 건축 기법을 사용하였다고 하는데, 공사 중이라 안을 볼 수 없음이 아쉽다. 불전의 건축기법으로는 보기 드문 형태를 갖추고 있는 이 전각은, 조선시대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건물로 평가받고 있다.



건물을 몇 바퀴를 돌아본다. 공포 끝마다 작은 용두(龍頭)를 조각한 연유가 무엇일까? 아마도 이 건물이 지장전이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 건물 자체를 망자를 극락으로 인도한다는 반야용선을 상징한 것은 아니었을까? 대웅전 앞에 놓여있는 석물은 석등의 받침돌로 보인다. 아마도 지장전 앞을 장식했던 석물이었을 것이다.

작지만 아름다운 북지장사 대웅전. 결코 아무것이나 보물이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기품을 지니고 있다. 작아서 더 아름다운 전각. 내년에는 안을 볼 수 있다고 하니, 봄이 되면 다시 한 번 대구 올레 길을 걸어야 할 듯하다.

천년 신라고찰이라는 '북지장사'. 소나무 숲길 1.5km를 걸어 만나게 되는 이곳은, 대구 올레길 제1코스에 해당한다. 터벅거리고 걷기 좋은 이 길을 걷노라면 심신의 피로가 가시는 듯해서 좋다. 절 안에 들어가면 참으로 즐거움이 더해진다. 우선은 문화재를 만나는 것도 그렇지만, 경내 한 복판에 허름한 불 떼는 집이 있기 때문이다.

바삐 절 안을 이리저리 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있는데, 삼층석탑 옆에 한 꼬마공주님이 눈에 띤다. 이런 선녀가 너무 빨리 하강을 하셨나보다. 하긴 이곳은 때묻은 속세가 아니니, 이곳에 하강하셨다고 나쁠 것은 없지만. 그래도 이 여린 공주님께서 제발 세상으로 나가시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꼬마공주의 표정에서 극락정토를 만나다

극락이 따로 있을까? 혼 경내를 혼자 돌아다니면서 놀고 있는 꼬마 공주님. 방년 나이 3세가 된 예진이라는 아이다. 그 표정이 얼마나 해맑은지. 혼자 보기가 아쉽다.










(주) 예진공주님을 보셨거든 한 말씀씩 필히 달고 가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