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소재한 사적 제317호인 미륵대원지. 1982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발굴한 바 있으나 확실한 년대는 알 수 없고, 발굴 당시 미륵대원이라고 쓰인 기와가 발견되어 삼국유사에 기록된 미륵대원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런 기록으로 보아 일연 스님이 살았던 그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 고려 초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 발굴 당시 출토된 관련 유물과 기록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 미륵대원은 고려초기인 11세기경에 창건되었다가, 고려후기인 고종 때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옛 기록에 전하는 계립령과 충북과 경북을 연결하고 있는 하늘재 사이의 분지에 남북향으로 펼쳐진 사지이다. 여기에 석굴사원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소실되고 현재는 석조물만 남아 있다.

 

고려 초기에 세워진 5층 석탑

 

미륵대원지는 사적 제317호로 1987710일 지정되었다. 이 미륵대원지 내에는 보물 제95호인 5층 석탑과 제96호인 석불입상이 있고, 그 외에도 충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19호인 석등과 33호인 3층 석탑 등이 남아있다. 이 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굴이 만들어졌던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앞쪽에 석등과 더불어 보물 제95호로 지정된 충부 미륵리 오층석탑이 자리를 하고 있다.

 

미륵대원 5층 석탑의 하층 기단부는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난 돌로 조성을 했다. 특별하게 장식은 하지 않았으며, 그 위로 기단의 맨 윗돌이 올려져있다. 탑신은 1층 지붕돌인 옥개석만 2장일 뿐, 나머지 몸돌이나 다른 지붕돌은 모두 1장의 돌로 되어 있다. 각 층의 몸돌에는 몸돌의 넓이에 비하여 좁은 기둥인 양우주를 모서리에 새겼다.

 

 

옥개석인 지붕돌은 급격하게 좁아져 석탑 전체의 균형과 미관을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지붕돌의 밑면의 받침은 5단이지만, 추녀가 짧아서 6단인 것처럼 보인다. 처마는 수평이고 지붕돌의 경사는 매우 급한데 귀퉁이는 거의 위로 치켜져 있지 않다.

 

철간이 남아있는 미륵대원 5층 석탑

 

미륵대원 5층 석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머리장식의 받침인 노반과 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인 복발이 남아 있다. 노반은 6층 지붕돌로 보일 만큼 큼직하게 조성하였고, 복발은 반원 모양이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의 중심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긴 쇠꼬챙이 모양의 찰간이 남아있다.

 

5층 석탑은 5단의 지붕돌 밑면받침과 직선의 처마는 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따른 것인데 비해, 지붕돌의 급경사와 형식적인 기둥새김 등을 보면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석탑은 신라가 망한 뒤 금강산으로 들어가던 마의태자사 신라 석굴암을 따라 조성한 석굴불상으로 조성한 앞에 세운 고려 초기의 탑이라는 것에 비중을 둘 수 있다.

 

눈이 발목까지 빠지는 날 찾아갔던 충주 미륵대원지. 눈이 쌓인 석조물들의 정취가 더 없이 고풍스러워 보인다. 한 겨울에 답사를 하는 이유는 여름철에는 볼 수 없는 이러한 또 다른 풍광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의태자가 세웠다고 전하는 충주 미륵대원지. 아마도 그곳에서 마의태자는 망해버린 신라가 안타까워 모든 설음을 잊고자 미륵세계가 올 것을 간구한 것은 아니었을까?

 

불영사는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있는 고찰이다. 불국사의 말사인 불영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이 세웠다고 전하는데, 의상은 이곳의 산세가 부처님이 계신 인도의 천축산과 비슷하다고 하여, 천축산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곳의 연못에는 9마리의 독룡이 살았는데, 이들을 주문으로 쫓아낸 뒤 구룡사라 하였단다.

 

그 뒤 서쪽 산 위에 부처님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못에 비춰 불영사라 개칭을 하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불영사는 명승 제6호로 지정된 불영계곡을 끼고 조성된 아름다운 절이다.

 

많은 수난을 당한 불영사

 

불영사는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많은 아픔을 당한 절이다. 조선 태조 6년인 1397년에는 나한전만 남긴 채 화재로 모두 불에 타 버린 것을 이듬해 소운대사가 연산군 6년인 1500년에도 다시 소실된 것을 양성법사가 중건하였으며, 선조41년인 1608, 경종 4년인 1742, 고종 3년인 1899년에도 중건을 하였다.

 

불영사 경내에는 보물 제730호인 응진전, 보물 제1201호인 불영사 대웅보전, 보물 제1272호인 불영사 영산회상도와 지방문화재로 지정이 된 삼층석탑과 불영사 부도 등이 있다. 불영사 대웅보전은 기단 밑에 거북 돌을 받쳐 건물을 받들게 하였는데, 이는 불영사가 있는 자리가 화산이어서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고른 균형을 보이는 삼층석탑

 

이 불영사 대웅보전 앞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인 불영사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높이 3.21m의 삼층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크지는 않지만 고른 균형을 보이는 탑으로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한다.

 

불영사 삼층석탑의 아래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에 양우주를, 가운데에는 탱주인 기둥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올렸으며, 몸돌의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한 양우주를 가지런히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올라갔다.

 

그런데 이 불영사 삼층석탑의 지붕돌의 형태는 2층 지붕돌의 낙수면의 기울기 등이 1층과 3층에 비해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상륜부인 꼭대기에는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을 놓고, 위로 엎어놓은 그릇모양인 복발과 연꽃이 활짝 핀 모습을 한 앙화가 놓여 있다. 불영사의 삼층석탑은 아담하지만 전체적으로 고른 균형을 이루고 탑으로, 기단의 조각수법과 지붕돌의 모습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시대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죽어서도 서원을 이루는 굴참나무

 

불영사를 들어가다가 보면 우측에 돌을 가득 쌓아올린 나무 그루터기가 보인다. 이 고목이 되어 쓰러진 나무는 한 때 천연기념물 제157호로 지정이 되어있던 불영사 굴참나무이다. 살아있을 때는 수령이 1,300여 년에 수고는 35m, 둘레가 6.2m에 이르던 거목이었으나 고사로 인해 지정 해제가 되었다.

 

 

이 굴참나무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대사가 불영사를 창건한 기념으로 심은 나무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이었던 이 굴참나무는 썩은 몸통만 남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위에 서원을 한 돌을 올려놓았다. 죽어서도 사람들의 서원을 들어줄 수 있는 천연기념물. 불영사 굴참나무는 비록 고사를 했지만, 그 의미는 세월이 지나도 달라질 것이 없는가 보다.


마을로 들어서기 전 길에서도 저만큼 커다란 석등 한 기가 보인다. 석등의 전체 높이가 5.18m나 되는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187에 소재한, 보물 267호인 용암리 석등. 그 규모만큼이나 대단한 크기에 뛰어난 조각미술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 용암리 석등은 우리나라에서도 크기나 아름답기로 손 꼽힐만한 대단한 석조미술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임실군 신평면 소재지에서 좌측 운암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길가에 보물인 용암리 석등이 있다는 이정표가 보인다. 마을 안에 자리를 잡고 있는 이 석등은 아마도 예전에 사지가 있었던 곳 같다. 축대 위에는 몸돌은 사라진 채 덮개석만 남은 탑이 남아있고, 축대 위로 오르는 돌계단의 한편 난간과, 돌계단의 밑 부분도 예전의 석재를 이용해 복원을 해놓았다. 그리고 그 앞에 커다란 용암리 석등이 서 있다.


뛰어난 조각이 돋보이는 석등

이 석등은 신라시대 석등의 기본 형태인 8각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곳을 몇 번이고 들려보리라 마음을 먹었지만 버스를 이용해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한 가지 문화재를 보기 위해 하루를 소비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은 결정이다. 마침 겨울철의 모습을 담을 수 있다는 생각에 무리를 하여 길을 나섰다. 이 석등을 보는 순간 어렵게 나선 답사길이지만, 이것 하나만 갖고도 아깝지가 않다는 생각이다.
      
통일신라 시대에 제작된 석등 가운데서도, 손꼽을 만한 아름다움을 간직한 용암리 석등. 크기가 크면서도 절대로 아름다움을 잊지 않고 있다. 그 앞에서면 6m에 가까운 이 큰 석조미술품의 뛰어난 아름다움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발목까지 눈이 빠지는 것도 모른 체, 석등 가까이 다가간다. 눈밭에는 발자국이 찍히면서 소리를 내지만, 그런 것에 마음을 빼앗길 틈이 없다.
        


귀꽃을 아름답게 장신한 덮개석 밑으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놓고, 그 밑으로는 3단의 받침돌로 구성이 되었다. 이 용암리 석등은 아래 받침돌에는 안상을 새기고, 윗면에는 커다란 꽃 장식을 두었다. 위에는 구름을 새겨 넣었으며, 간주석인 가운데 기둥은 장고형태로 만들었다. 그리고 연꽃을 새긴 마디를 둘렀다. 이와 같은 모양의 석등은 보물 제35호인 남원 실상사 석등 등에서도 보이는 제작기법이다.

보면 볼 수록 석등에 빠져들다.

한참이나 석등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과연 이것이 장비조차 변변치 않던 통일신라 시대에 인간이 만들어낸 조형물일까? 많은 석등을 보앗지만, 이렇게 크고 아름다운 석등은 흔하지가 않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8면에 모두 장방형의 창을 내었다. 이러한 조형기법은 실상사 석등이나 보물 제111호인 개선사지 석등 등에서 보이는 제작기법이다.



화사석의 위에 올린 지붕돌은 경사가 급한편이다. 그 각 모서리에는 커다란 귀꽃을 조각하였는데, 그 귀꽃의 아름다움도 예사롭지가 않다. 그리고 덮개석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두었다. 머리장식의 받침인 노반과, 그릇을 엎어놓은 듯한 복발이 놓여있다. 화사석에는 별다른 조각은 하지 않았으나, 8면에 낸 창이 시원하게 보인다. 세상을 밝히는데 있어, 좀 더 밝은 빛을 발하도록 한 마음이 엿보인다.

석등 주변을 떠나지 못하다.

7년 만에 다시 찾은 용암리 석등이다. 이 석등이 서 있는 곳은 '진구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진구사에 대한 기록이 없는 편이다. 다만 고승 보덕화상에게는 법륜이 높은 11명의 제자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전국의 명산을 찾아다니면서 절을 지었다고 한다. 이때 적멸과 의융 2인이 임실에 진구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용암리 석등'은 2010년 문화재청에서 문화재 명칭을 변경할 때 '진구사지 석등'으로 바꾸었다. 지붕에 하얀 눈을고 웅장한 자태를 보이고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석등. 도대체 그 당시에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은 석등을 조형을 할 수가 있었을까? 사람의 손으로 조각한 것이라고는 믿기지가 않는다. 얼마나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 이렇게 조각을 하였을까를 생각하면,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어디 한 곳 부족함이 없다. 어디 한 곳 더 지나치지도 않는다. 당연히 그 자리에 그런 조각을 해 놓아야 할 것같은 자리에, 각각 자리를 잡고 있다. 돌로만든 조형물이지만 딱딱하지가 않다. 그저 흙으로 잘 빚어놓은 것처럼 부드러움이 있다. 하얀 눈밭에 서 있는 석등의 모습이, 마치 이곳이 천상인양 착각을 하게 만든다. 길을 떠나야 하지만, 발길을 돌릴 수가 없다. 아마도 이대로 이 석등 곁에서서 못난 돌미륵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다.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을 밝힐 수 있도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