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소재한 고찰 쌍계사. 지리산의 남쪽기슭에 자리한 쌍계사의 경내에 서 있는 8각 석등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쌍계사석등(雙磎寺石燈)’으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석등을 보면서 이해가 가질 않았다. 석등이란 세상을 밝힌다는 의미로 불을 켜는 화사석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쌍계사 석등에는 화사석과 지붕돌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석등이란 원래 3단으로 이루어진 받침 위에,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올리고 지붕돌을 덮는다. 그리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어야 하지만, 이 쌍계사 석등은 화사석과 지붕돌이 보이지 않는다. 언제 어떤 연유로 인해 이렇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석등의 의미는 매우 깊어

 

석등이란 절 안의 어둠만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 석등은 부처님의 진리를 빛으로 시방세계를 비춘다는 뜻으로 조성한다. 이것은 곧 중생을 빛으로 깨우쳐 선한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또한 석등의 등불 하나하나는 부처님이 계시다는 수미산과 같고, 석등에 불을 켜는 기름은 넓은 바다를 상징한다고 한다.

 

하기에 사찰에서 조성을 하는 석등은 공양구 주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여긴다. 하기에 석등은 언제나 부처님이 계시다는 대웅전과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거나 부처님을 상징하여 조성하는 탑과 함께 조성을 하는 것이다. 하동 쌍계사 대웅전 앞에 있는 석등은 화사석과 보개석이 없기 때문에 그 원형을 알기가 어렵다.

 

 

 

조각만으로도 대단한 작품이었을 것으로 보여

 

경남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쌍계사 석등은 화사석을 올리는 상대석 위에 복발과 보주가 놓여있다. 상대석 아래로는 팔각의 간주석이 놓여있으며, 그 밑으로는 아래 받침돌인 하대석이 놓여있다. 석등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화사석과 지붕돌이 사라져버려 처음의 형태는 알 수가 없다.

 

아래받침돌인 하대석에는 엎어놓은 연꽃문양인 복련을 둘렀고, 상대석인 위받침돌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솟은 연꽃문양인 앙련을 조각하였다. 가운데기둥인 간주석은 가늘고 길며 중간이 부러져 있던 것을 나중에 맞추어 놓았다. 처음에 얼핏 보면 흡사 두 개의 돌로 간주석을 조성한 것처럼 보인다.

 

 

불을 켜는 곳인 화사석과 지붕돌인 보개석이 없어진 자리에는, 상륜부에 올려놓았던 머리장식만 놓여 있다. 상륜부는 낮은 받침위로 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와, 엎어놓은 그릇모양을 한 복발 등이 남아있다. 이 쌍계사 석등은 가운데기둥의 단조로움과, 상대석과 하재석 등에 조각한 세련된 연꽃무늬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또한 제대로 된 형태로 보존이 되었다고 하면, 뛰어난 걸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길 닿는 곳마다 문화재

 

쌍계사는 신라 성덕왕 22년인 723년에 삼법, 대비 두 스님이 당나라 6조 혜능대사의 정상을 모시고 와서, 꿈의 계시대로 눈 속에 칡꽃이 핀 곳을 찾아 정상을 봉안하고 절을 창건했다고 전한다. 830년에는 진감해소 국사가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두 스님이 지은 절에 영당을 짓고, 절을 크게 중창한 후 사찰명을 옥천사로 고치고 이곳에서 입적을 했다.

 

 

그 후 정강왕이 이웃마을에는 옥천사가 있고 산문 밖에는 두 내가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라고 불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다. 국보 제47호인 진감국사 대공탑비를 비롯해, 보물 제500호인 대웅전을 비롯한 보물 9, 일주문과 천왕문 등 지방문화재 20점 등 총 30점의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쌍계사를 일러 문화재의 보고라 하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발길 닿는 곳마다 문화재를 만날 수 있는 쌍계사. 그 경내에 서 있는 석등의 화사석은 언제 사라진 것일까? 쌍계사를 들릴 때마다 궁금증이 일어난다.

 

() 오늘부터는 하루에 한 개씩만 송고 하겠습니다. 단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동안 너무 급하게 달려온 듯합니다. 이제 좀 벗어나고 싶습니다.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대원지에 소재한 보물 제96호 미륵리 석불입상. 겨울에 이곳을 찾은 것이 벌써 세 번째다. 이상하게 깊은 겨울, 그것도 눈이 많이 쌓였을 때 이곳을 찾게 된다. 아마 그것도 인연인가 보다. 이 미륵리 석불입상을 찾을 때마다 항상 느끼는 것은, 왜 이렇게 거대한 석불입상을 누가 무슨 이유로 조성을 하였을까 하는 점이다.

거대석불을 조성한 이유는 무엇일까?

미륵리 석불입상은 보개석까지 합하여 모두 여섯 개의 돌을 쌓아 올려, 하나의 거대한 불상을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많은 돌을 이용해 거대 석불입상을 만들었다는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석불입상은 북향을 하고 있어, 일부에서는 고구려의 옛 영토를 회복하기 위한 염원으로 만들어졌다고도 한다.


그와는 또 다른 설도 있다. 신라의 마의태자가 이곳에 와서 이 석불입상을 조성한 후, 개골산으로 들어갔다고도 전한다. 마의태자는 덕주산에 있는 덕주공주가 새긴 마애불과 마주보게 하였다는 것이다. 단지 전설로 치부할 수도 있겠지만, 이 석불입상은 석굴식 전각 안에 모셔놓았던 것으로 보면, 그도 틀린 말은 아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현재 이 미륵입상이 서 있는 좌우와 뒤편으로는, 거대한 돌들을 이용한 석굴이 조성되어 있다. 앞과 위로는 목조로 된 전각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타버렸다는 것이다. 이 석불입상의 조성 시기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삼국유사에 '미륵대원'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면,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석불입상의 형태가 고려 초기 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석불과 같은 형태이기 때문이다.

고려 거대석불의 특징을 보이는 미륵리 석불입상

미륵리 석불입상은 그 전체적인 조형은 투박하다. 신라의 석불처럼 섬세한 면은 떨어진다. 머리에 쓴 옥개석은 팔각형이며, 육계는 나발이 있다. 양귀는 큼직하고 이마에는 커다란 백호를 표현하고 있다. 눈썹은 반원형으로 하였으며, 눈은 가늘게 반개를 해 감은 듯하다. 코는 우뚝한데, 인중이 짧아 입과의 사이가 멀지 않다. 입술은 두툼하고, 목은 굵게 표현해 삼도가 뚜렷하다.

이러한 안면의 코와 입이 가깝게 표현한 것은, 멀지 않은 제천 사자빈신사지의 석탑에 보이는 비로자나불의 얼굴과 흡사하다. 법의는 통견으로 처리를 했는데, 옷 주름 등은 모두 약식으로 처리되었다. 얼굴을 중점적으로 공을 들여 조성을 한 것에 비해, 나머지 부분은 형식적인 모습이다.

어깨부터 이어지는 선은 발끝까지 통으로 되어, 굴곡이 없이 조각을 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고려 초기의 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석불의 공통적인 점이다. 이런 점을 보아 미륵리 석불입상이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미륵리 석불의 팔의 모습도 형체만 겨우 살렸다. 오른손은 가슴위로 들어 손등을 보이게 했으며, 복부 위에 대고 손바닥을 위로하여 둥근 물체를 들고 있다. 둥근 물체가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 석불의 조성한 내력으로 보아 무엇인가 간구를 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미륵리 석불입상, 과연 누가 조성한 것일까?

전체적으로 보면 균형이 잘 맞지 않는 미륵리 석불입상. 과연 이 석불을 조성한 사람은 누구였을까? 미륵리 석불입상은 전문적인 석공에 의해서 조성되지 않은 듯도 하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견줘 볼 때, 이 석불입상은 어깨 위 부분과 그 아랫부분이 차이가 많이 난다. 어깨 위의 돌은 흰색을 띄고 있는데 비해, 아랫부분의 돌은 검은색이 많이 나타난다. 6개의 돌을 쌓아 조성을 했다는 것도 이해가 가질 않는 부분이다. 이보다 더 큰 거대석불을 조성할 때도 일석, 혹은 이석 정도로 조성을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으로 보면 이 석불입상을 처음으로 조성한 사람이 마의태자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뒤편에 만든 석굴의 형태도 그렇다. 이 지역에서는 이러한 석굴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아마 마의태자가 이 석불입상을 조성했다고 하면, 석굴암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마의태자 조성설에 무게를 두어

정확한 문헌이 없이 구전으로 전해진 마의태자의 조성설(造成說). 마의태자는 신라의 부흥을 하기 위해 개골산으로 들어가 베옷을 입고 살았다고 전해진다. 원래는 신라 제56대 경순왕과 죽방왕후 박씨의 맏아들이다. 휘가 김일이며 개골산으로 들어가 베옷을 입고 살았다고 하여, 마의태자로 불린다. 이 마의태자가 신라의 부흥을 꾀하기 위해 개골산으로 길을 잡았을 때, 많은 사람들이 따랐을 것이다.

그들은 충주를 거쳐 원주를 지나 인제 설악산 기슭에 머무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강산으로 들어갔다는 것은 아마 지리적인 면에서 그렇게 보였을 수도 있다. 현재 인제군과 고성군의 경계인 미시령을 중심으로, 북쪽은 금강산이고 남쪽은 설악산이 된다. 이런 점으로 보면 마의태자가 개골산(금강산)으로 들어가 베옷을 입고 살았다는 것이 틀린 말은 아니다.



문제는 이 마의태자가 충주에 도착하여 미륵대원을 조성했을 가능성이다. 이런 점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많은 일행이 따르고 있었으니, 그 중에 석공기능이 있는 사람들이 이러한 석굴암을 따른 석굴을 조성했을 것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또 하나 석굴암에 조성된 본존불은 백색의 화강암으로 조성이 되었다. 미륵리 석불입상의 얼굴이 백색인 이유는 그런 점을 배제할 수가 없다.

이 석불입상이 고려 초기의 이 지역의 거대석불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마의태자가 이곳에 와서 불상을 건립한다고 했으며,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동참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그렇다면 자연 중앙의 뛰어난 기능을 가진 석공들이 아닌 향리의 석공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수도 있다.


정확한 년대나 조성 경위 등을 알 수 없는 미륵리 석불입상. 그런 점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그 미륵입상과 뒤로 보이는 거대한 석굴을 보면서 그저 감탄을 할 수밖에. 언젠가는 이 전설에 얽힌 이야기가 밝혀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걸어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