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도로 목천IC 나들목을 나서 병천 방향으로 약 4km쯤 가게 되면 상량골 마을이 나온다. 기술대연구소 옆으로 난 좁은 도로를 따라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은지리 은석골을 만난다. 첩첩산중이라고 해야 맞을 듯한 산위로 향하는 이 비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은석골에서 거리를 둔 은석산의 남쪽계곡에 은석사가 자리하고 있다.

 

은석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이 은석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보이는 은석사와 동일한 사찰로 추정되며, 현재의 절은 와편 및 초석 등으로 볼 때 1530년 이전에 건립된 절로 보인다. 414일 이 은석사에서 9회 은석사 진달래 화전축제를 연다고 해서 구불구불 산길을 돌아 찾아갔다.

 

 

단출한 은석사에 손님들이 찾아들어

 

은석사를 찾아가는 초행길은 쉽지가 않았다. 몇 번을 여기저기 돌아 찾아가니 주차장이란 작은 푯말이 붙은 곳에는 수십 대의 차량들로 들어차 있고, 여기저기 차를 세울만한 곳에는 모두 차들이 들어차 있다. 이곳은 은석산을 산행하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라고 한다. 잔칫집답게 사람들이 모여 전이며 화전을 들고 있다.

 

절은 의외로 단출하다. 비구니 스님 두 분이 거주하고 계시다는 은석사는, 본전인 보광전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9호인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天安 銀石寺 木造如來坐像)>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2호인 <천안 은석사 아미타극락도(天安 銀石寺 阿彌陀極樂圖> 등 두 점의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형한 목조여래좌상

 

목조여래좌상은 은석사 보광전에 모셔진 조선조 후기의 목조불상이다.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135cm, 어깨 폭 27.6cm로 불상의 얼굴은 방형이다. 불신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나 좁은 어깨와 넓은 무릎 폭으로 인해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두 귀는 크고 목은 짧은 편이다. 짧은 목에 삼도가 뚜렷하다.

 

여래좌상의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하였고, 별개로 만든 왼손은 발 위에 놓아 중지와 약지를 구부렸다. 오른쪽에 어깨위로 둥글게 걸친 변형 우견편단식 법의와 옷주름은 단조롭게 표현하였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여래좌상은, 허리를 곧추세운 채 굽어보는 듯한 자세와 단정한 이목구비,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신체 묘사 등이 특징이다.

 

 

목조여래좌상의 후불탱화인 아미타극락도

 

원래 은석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이 은석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나, 정확한 연대는 알지 못한다. 조선 영종 때의 암행어사 박문수 묘가 절의 위편에 자리하고 있어, 은석사에서 이 묘를 지키는 일도 함께 맡아했다고 한다.

 

목조여래좌상 뒤편에 걸린 후불탱화인 아미타극락도는 가로 185cm, 세로 145cm로 견본채색(絹本彩色)을 사용하였다. 이 아미타극락도는 부분적으로 변색되어있고, 군데군데 훼손이 심한상태이다. 하단부 좌우에 화기(畵記)가 남아있어, 함풍 11, 즉 철종 12년인 186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이 후불탱화는 여래좌상의 후불탱화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화기에 적힌 것을 보면 태화산 마곡사 부용암에 봉안되었던 것을 옮겨온 것임을 알 수 있다. 화원의 이름 등은 훼손이 심해 알 수가 없다.

 

 

봄날 찾아간 은석산 은석사. 이날 진달래화전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짜장스님이 이곳에서 350명에게 스님짜장 봉사를 했다. 스님짜장을 맛보기 위해 길게 줄이 늘어진 것을 보고, 짜장스님의 인기는 갈수록 더해만 간다는 생각이다. 팔작지붕으로 조성한 보광전과 삼성각, 그리고 두어 동의 요사 등이 있는 은석사의 봄은 그렇게 무르익고 있었다.

우선 편안하게 옛 집 이야기를 끌어가려고 한다. 우리가 흔히 고택, 가옥, 생가, 생가지라는 용어를 써서 소개를 하는 집들은 조금씩의 차이를 지니고 있다. 그동안 옛집 기행을 하면서 돌아본 바로는, 고택은 현재 사람이 거주하고 있지 않거나 집을 지은 일족과 연관이 있는 사람이 살 경우에 붙은 명칭이고, 가옥은 사람이 살고 있는 집에 명칭을 붙인다.

가옥의 경우 처음 그 집을 축조한 사람이 아닌, 현재 소유권을 갖고 살고 있는 사람의 이름을 붙여 ‘○○○가옥’이란 명칭으로 사용한다. 생가는 그야말로 그 집에서 태어났거나 살았던 집을 말하는 것이고, 생가지란 그 집에서 태어났거나 살았는데 집의 형태가 당시의 집이 아닐 때 붙이는 명칭으로 보인다. 그동안 전국의 가옥을 돌아다니면서 보니 이런 형태로 명칭이 붙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 명칭을 어떻게 붙였는가는 정확히 가늠은 되지 않는다. 다만 오래도록 다니면서 본 결과 대개는 이런 형태로 명칭을 붙인 것 같다.


독립만세의 고장 천안

충남 천안은 독립만세의 고장이다. 병천 아우내 장터에서는 유관순이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그 외에도 구국전선에서 열정을 받쳤던 이동녕 선생이 목천에서 태어났다. 목천과 병천은 서로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곳이다. 또 한 분의 독립운동에 몸을 바친 유석 조병옥은 병천면 봉두리에서 태어났으니, 이곳은 조국의 독립을 열망하는 많은 사람들이 태어났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유석 조병옥(1894, 5, 21 천안 병천 ~ 1960, 2, 15 미국) 박사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다. 또한 정치가로 일생을 살았다. 부통령 출마와 대통령 출마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선거유세 중 병으로 인해 미국으로 급히 이송이 되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 입원 중 6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조병옥은 일제 강점기에는 도미유학과 독립운동에 종사하였고, 1948년 정부수립 후에는 UN대표단, 내무부와 외무부장관 등을 거치기도 했다.



집안에 있는우물과(위) - 자형으로 꾸민 안채(가운데), 그리고 헛간채(아래)

조촐한 초가집, 그러나 쓰임새 있게 꾸며

유석 조병옥의 생가는 천안시 병천면 봉두리 261-6 도로변에 있다. 그리 멀지 않은 곳에는 유관순의 생가가 있어, 두 곳을 돌아보기 위해 길을 나섰다. 이날따라 국지성 호우로 인해 길을 걷기도 힘든데, 다행히 답사를 하는 시간에는 비가 멈추어주었다. 도로변에 자리 잡고 있는 조병옥의 생가는, 조병옥 박사가 태어나고 자란 집이다.

조병옥 박사가 이 집에 살던 때는 초가였으나 와가로 변형되었던 것을, 문중의 고증을 받아 원형 그대로를 복원하였다고 한다. 그 당시의 원형을 복원하였기 때문에 ‘생가’라는 명칭을 붙인 것 같다. 집은 - 자형의 초가로 지어졌다. 대지 550평에 안채가 15평, 헛간채가 7평 정도의 크기로 자리를 잡고 있다. 사립문을 열고 들어서면 우측으로 우물이 보인다.



좌측 끝에 툇마루를 달아내고(위) 정면으로는 반 칸 정도의 한데공간을 마련했다(가운데)
그리고 툇마루가 달린 방에는 한데부엌을 놓았다(아래)


-자 형으로 꾸민 안채는 모두 네 칸으로 구성을 하였고, 동편으로 반 칸의 툇마루를 놓았다. 이곳을 사랑방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집을 보면 우측으로부터 한 칸의 부엌과 두 칸의 방, 그리고 툇마루가 달린 한 칸의 사랑으로 꾸며져 있다. 맨 끝에 툇마루가 달린 방에는 한데 부엌을 놓았으며, 정면에는 반 칸 정도의 빈 공간을 개방형으로 만들어 이동이 편리하게 하였다. 측면은 이러한 개방된 곳 때문에 칸 반 정도로 보인다.

헛간채는 모두 세 칸으로 광 한 칸을 두고 가운데는 헛간으로 꾸몄다. 그리고 끝에 한 칸은 마구간으로 사용을 하였으며, 처마를 길게 달아내 비에 젖지 않도록 한 것도 이 집의 특징이다. 특별한 것은 없는 초가집이다. 그러나 15평이라는 적은 공간을 아주 짜임새 있게 꾸며 놓았다.



헛간채는 처마를 길게 빼어 눈비를 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위) 여물통과 안채와 헛간채(아래)

지금은 앞으로 도로가 나 있지만, 어린 시절 조병옥은 이곳에서 자연을 벗 삼아 뛰놀았을 것이다. 비가 오는 날 찾아간 조병옥의 생가. 말끔히 정리가 되어 있는 이 집에서, 나라의 안위를 걱정한 한 세대를 풍미한 인물이 태어나고 자란 것을 생각이니, 괜히 마음이 경건해진다. ‘사람은 죽어서 그 이름을 남긴다.’라는 옛말처럼, 이 작은 초가집에서 그 이름을 남긴 역사의 인물이 살다가 갔다. 그래서 옛집의 순례는 의미가 있는가보다.


방안과 뒤뜰. 간소하게 꾸며진 이 집에서 어린시절을 보낸 유석 조병옥 선생은 독립운동과,
나라의 민주주의의 꽃을피우기 위해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