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시 면천면 성하리 510에 소재한 영탑사. 해발 210m의 차령산맥에서 뻗어나간 상왕산 동쪽 산기슭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고찰이다. 영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로서 사적기가 없어서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말 풍수지리설로 유명한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충렬왕 때 보조국사 지눌이 중건했다고 한다.

 

영탑사라는 사명은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탑사에는 부처의 진신을 이르는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으며, 유리광전 뒤에는 바위 위에 7층 석탑이 서 있어 이름과 잘 맞아 떨어지는 절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인 1798년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운치있는 절 영탑사

 

영탑사를 찾은 것은 9월도 다 지나가고 가을 기운이 돌 때쯤이었다. 절 입구에 있는 늙은 고목 한 그루가 땀을 흘리며 찾아든 나그네에게 그늘을 내준다. 잠시 쉬고 있으려니 눈앞에 영천이라는 샘이 보인다. 하지만 물을 먹을 수 없다는 안내판이 걸려있다. 지금은 먹을 수 있으려는지.

 

천천히 걸음을 옮겨 경내로 향한다. 가람은 말끔하게 정리가 되어있으며 이미 꽃을 떨군 연꽃들이 커다란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여있다. 연꽃이 피었을 때 왔으면 더 좋았을 것을. 보물 제409호로 지정된 금동삼존불을 보관하고 있는 영탑사를 한 바퀴 돌아본다. 어느 곳 하나 눈에 거슬림이 없다.

 

 

전설 가득한 절 영탑사

 

대웅전으로 찾아들어가 예를 올린다. 언제나 절을 찾아가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다. 땀을 식힐 겸 천천히 108배를 한다. 아직은 날이 더워 잠시 주춤했던 땀이 다시 흐른다. 아랑곳하지 않고 108배를 마친 후 고개를 들어 앞을 바라본다. 불단 위에서 내려다보고 있는 부처님들의 상호가 한 없이 자비롭다.

 

영탑사에 있는 범종과 금동삼존불, 7층석탑은 모두 가야사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고자 가야사를 불태웠다고 한다. 그 때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하니, 이곳으로 옮겨온 것은 그리 오래전 이야기가 아니다. 부친의 묘를 쓰고자 절을 태웠다고 했으니, 그 성정이 올바른 것일까?

 

 

무학스님의 마애불 조성솜씨는?

 

절 뒤편으로는 계단을 오르는 길이 있다. 그 초입에 서 있는 유리광전. 유리광전 안에는 무학스님이 조상했다고 하는 마애불이 좌정을 하고 계시다. 커다란 바위에 조각을 한 것인데 약사여래불상이라고 한다. 그런데 무학스님이 조각에는 별로였는가 보다. 지방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고려말기의 형태를 지닌 마애불이다.

 

그리고 그 유리광전의 뒤편에는 칠층석탑이 자리한다. 이 석탑 역시 가야사에서 무너져 있던 것을 수습해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이 탑에는 설이 많이 전한다. 절집 한 곳을 들려 많은 문화재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그러한 행복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답사를 계속하는 것이나 아닌지.

 

당진을 답사하면서 들린 영탑사. 새롭게 오늘 이 이야기를 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피가 온 세상에 떨쳤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갑오년 정월 초하루. 힘들기 때문에 고해(苦海)라고 세상을 표현하였다지만, 올해는 고해가 아니기를 바란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마음에 먹은 서원을 이루는 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인 팔달문 동종. 현재 수원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팔달문 동종은 원래 만의사의 범종이었다. 현재의 만의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화성 용주사의 말사이다. 만의사 동종은 고려 문종 34년인 10802, 개성에서 주조되어 수원 만의사에서 사용되다가, 숙종 13년인 16873월 만의사 주지승 도화가 다시 주조되었다.

 

정조 때 화성축성과 함께 파루용의 기능으로 전락하여, 화성행궁 사거리(종로)에 종각 설치 후 이전되었다. 1911년 일제에 의해 정오 및 화재경보용으로 팔달문 누상으로 다시 이전, 설치되었으며, ‘팔달문 동종으로 불리게 되었다. 197673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수원시 영통구 창룡문길 443 수원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팔달문 동종의 만의사를 찾아가다.

 

대동여지도에 보이는 무봉산(舞鳳山)의 이름은 만의산(萬義山)이다. 신라 때부터 있었다는 만의사가 산 동남쪽에 있었기에 그렇게 불린 듯하다. 13922, 21일 동안이나 계속된 대법회 때 권근이 쓴 '수원 만의사 축상화엄법화회중목기(水原萬義寺祝上華嚴法華會衆目記)’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수원의 동쪽 수십 리 거리에 절이 있으니 만의사라고 한다. 나라의 복리와 비보를 기구하던 옛 절이다. 파괴되고 폐지된 것이 이미 오래되어서 초목이 우거진 황무지가 되었더니, 황경 연간 천태종의 진구사 주지인 혼기 대선사가 옛 터를 와서 보고 새로 절을 중건하였으며, 삼장법사 의선공이 뒤를 이어 절을 주간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런 기록으로 보나 만의사는 비보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무봉산 만의사 사적비>에는, 이후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때에 큰 역할을 한 신조대사의 중건과, 사명당의 제자 선화대사의 주석을 자세하게 적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10월 27일 찾아간 만의사. 팔달문 동종이 달려있던 원 사찰을 둘러보기 위해 오후 늦은 시간에 이곳을 찾았다.

 

만의사는 수원군 동북면 만의리에 있었다.

 

본래의 만의사는 신라 때 창건되었다. 그 후 고려 충렬왕 10년인 1284년에 정길과 현묵이 중창하였고, 충선왕 4년인 1312년 당시 천태종 진구사 주지였던 혼기대선사가 주지로 부임한 뒤 크게 중창하고였다. 혼기대선사는 법화도량을 열어 천태종의 중심 사찰이 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의선이 사세를 더욱 키웠다.

 

 

고려 말 우왕(재위: 13751388) 때부터는 천태종과 조계종에서 주지를 교대로 맡게 되었는데, 이것은 이 절이 사전과 노비를 많이 소유한 부유한 절이었기 때문이다. 나라에서는 두 종파간 다툼이 심해지자 노비를 모두 수원부에 속하게 하고, 절은 천태종이 관할하게 하였다.

 

고려 우왕 14년인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을 할 때, 공이 컸던 신조가 주지로 온 뒤부터 다시 노비를 받았으며 사패지 70결도 함께 받았다고 한다. 서산대사 휴정이 이 절에서 수도를 했으며, 사명대사 유정의 제자 선화도 이곳에 머물다가 조선조 인조 22년인 1644년에 입적하였다.

 

조선조 현종 10년인 1669년 당시 수원군 동북면 만의리(현재 동탄면 신리)에 있던 만의사가 우암 송시열의 장지로 선택되자, 현재의 위치로 옮기며 이름을 만의사(萬義寺)’로 바꾸었다. 정조 20년인 1796년 수원화성을 쌓을 때 이 절의 동종을 가져다가 팔달문에 옮겨 달았다.

 

 

구절초에 쌓인 절 만의사

 

만의사를 찾았을 때, 절의 경내는 온통 구절초로 뒤덮여 있었다. 가을이 되면 구절초가 아름다운 절이라고 한다. 절의 경내를 바라보고 좌측 무봉산 기슭에는 구절초 산책로가 나 있다. 장독대며 전각들 주위에 구절초가 아름답게 피어있다. 그저 그 산책로를 걷기만 해도 저절로 힐링이 될 것만 같다.

 

만의사 경내를 천천히 돌아본다. 바쁠 필요가 없는 절이다. 구절초의 향을 마음껏 맡으면서 걷다가 보니 빗방울이 후드득하고 떨어진다. 비가 오는 날이면 꽃의 향이 더 강해진다고 했던가?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꽃잎을 흔들어서인지, 조금 전보다 향이 강해진 듯하다. 아마도 이렇게 가을에 느끼는 구절초의 향이 짙어, 사람들이 이곳을 더 찾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절을 중창할 때마다 새로 주조해 소리를 울린, 범종의 소리가 듣고 싶어서였을까? 가을이 짙게 내려앉은 만의사에서, 깊은 가을의 소리를 듣는다.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소재한 송광사. 김제 금산사의 말사이면서도 사세는 어느 고찰 못지않다. 송광사는 많은 문화재가 있지만, 그 중 돋보이는 것은 당연히 조선시대에 축조된 보물 제1244호 종루이다. 송광사 종루는 십자각으로 지어진 종루이다. 중앙에 종을 매달고 동서남북 사방을 돌출시켜 열 십(十)자 모양으로 지어진 이층 누각을 말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진 고찰 송광사

 

완주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인 867년에 도의선사가 처음으로 창건했다고 한다. 신라 때의 승려 도의는 가지산파의 개조로 추앙을 받은 승려이다. 가지산파란 구산선문의 하나로, 헌덕왕 때 보조선사 체징이 도의를 종조로 삼고 가지산 보림사에서 일으킨 선풍을 말한다.

 

 

송광사는 그 뒤에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중건을 하려고 했지만, 오랫동안 짓지 못하다가, 광해군 14년인 1622년에 응호, 승명, 운정 등이 중건을 했다고 한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절의 확장공사가 있었으며, 현재도 많은 불사를 하고 있는 절이다.

 

화려한 이층 누각으로 마련한 종루

 

송광사의 종루는 조선조 세조 때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던 것을 철종 8년인 1857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조선조에 세워진 수많은 건조물 중 유일한 이층 십자형 종각으로, 그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건조물이다. 이 종각은 중앙에 종을 매달고 돌출된 부분에는 각각 북과 목어, 운판을 걸어놓았다.

 

 

 

이 네 가지의 기물은 불당 앞에 위치하고 있어 '불전사물(佛前四物)'이라고 하고 있으며, 아침과 저녁 예불을 올리기 전에 울린다. 북은 땅 위에 사는 네발을 가진 짐승을 위해서, 목어는 물속에 사는 생명체를 위해서, 운판은 창공을 나는 모든 날짐승을 이해서, 그리고 종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영혼들을 위한 것이다.

 

송광사 종루는 화려하면서도 소박하다. 자연석인 정평주초 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들은 원형기둥과 사각기둥이 섞여 있다. 그 중에는 자연적인 목재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 있어, 소박함이 느껴진다. 누 위에 기둥들은 모두 원형기둥을 세워 놓았다. 송광사 종루의 공포는 화려하기가 이를 데 없다. 사방 팔작집으로 마련한 종루는 지붕 중심 용마루의 장식 또한 색다르다. 이러한 종각은 우리나라에 유일한 것이기에 그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하겠다.

 

 

 

 

 

볼수록 빠져드는 송광사 종루

 

요즈음은 참 일기가 가늠하기가 힘들다. 맑았다가도 비가오기도 하고, 여름 같은 날씨이기도 하다가 갑자기 가을이 온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완주군 소양면 방향으로 일을 보러나갔다가 송광사를 들렸다. 사월 초파일 준비로 한창인 경내에는 수많은 등에 여기저기 걸려 그 화려함을 자랑한다. 대웅전 앞에 자리한 이층 종루는 언제 보아도 아름답다. 전국의 고찰을 다니면서 수많은 종각을 보았지만, 송광사 중층 종각과 같은 것을 보지 못했다.

 

 

사방으로 뻗어나간 용마루 중앙에 올린 장식도 아름답지만, 귀공포의 화려함은 말로 형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누마루 밑의 자연스런 기둥들. 제각각 그 모습을 달리한 기둥의 형상들이, 마치 각양각색의 인간들을 보는 듯하다. 그 많은 중생들이 서로가 불전사물을 받치고 예라도 올리는 듯한 모습이다. 송광사 종루를 볼 때마다 마음이 경건해지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언제나 그 자리에 그 모양을 하고 서 있지만, 볼 때마다 빠져드는 송광사 종루. 오늘도 온 곳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수많은 생명들을 위해 사물에서는 저절로 소리가 울릴 것만 같다.

합천 해인사, 가야산에 있는 삼보사찰 중 하나인 법보종찰인 해인사에는 볼 것이 참 많다. 물론 내가 볼 것이라고 표현을 하는 것은 문화재를 말한다. 대적광전 앞에 있는 석등과 석탑을 열심히 찍고 있는데, 대적광전 안에서 들리는 염불소리에 정신을 빼앗기고 만다. 강원에 있는 학인승 등 백여 명이 함께 하고 있는 염불소리는 듣는 것만으로도 장관이다.

그런데 그 예불을 하는 동안 법고를 치는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보니 사시예불 후미에 종각에 있는 사물을 울려 공양을 한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또 하나의 장관을 놓친 것이다. 사시예불의 소리 공양을 올린다는 사물은, 범종과 법고, 그리고 목어와 운판을 울려 소리를 내는 것이다.


벼르고 갔는데, 소리공양을 놓치다니

법고 소리가 난다는 것은 이미 목어와 운판의 소리가 끝났음을 의미한다. 허겁지겁 사진을 찍고 종각 쪽으로 가니, 사람들이 모여 있다. 소리공양을 보기 위함이다. 이미 법고도 끝날 때가 되었다. 사실은 이것을 찍으려고 벼르고 있었는데, 정발 필요한 것을 놓친 것이다. 그나마 아직 학인승 한 분이, 법고 앞에 발을 나란히 딛고 한 점 흐트러짐이 없는 자세로 북을 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이란 생각으로 얼른 다가가 카메라에 담았다. 절을 들어서면 그 입구에 종루나 범종루, 범종각 이라 쓴 누각이 있다. 어느 곳에는 종만 달린 곳이 있는가 하면, 어느 곳에는 사물을 다 달아놓은 곳도 있다. 물론 해인사에는 사물이 다 걸려있다. 그런데 그 사물공양을 하는 것을 놓쳐버린 것이다.



사물의 의미는 하늘과 땅, 물을 상징해

사물을 울려 공양을 하는 것은, 그 소리를 통해 세상의 모든 생명을 구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물을 울림으로써 잠든 영혼을 깨우치고자 하는 뜻을 갖고 있다.

범종을 울리는 것은 바로 부처님의 음성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소리를 듣고 세상의 모든 생명이 깨우치기를 바라는 것이다. 아침에는 28번을, 저녁에는 33번을 울린다. 법고는 군중을 모으는 불구로 이용을 하던 것이다. 북소리가 울려 퍼지듯 땅에 사는 모든 생명들이 번뇌를 끊고, 해탈을 이루게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법고를 치는 것은 북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 듯, 세상의 모든 중생들이 불법에 귀를 기울이기를 바라고 있다. 발을 팔자로 딛고 두 손에 잡은 채를 이용해 법고놀이를 하는 학인승의 뒷모습이 반듯해 보인다. 아마도 이렇게 반듯한 마음으로 학업에 정진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언제나 그 사물의 모든 것을 깨우치려나?

그나마 소리조차 놓친 목어와 운판은 물과 하늘에 사는 생명을 구제한다는 것이다. 목어는 물고기 모양으로 조각한 것인데, 복판을 파내어 그곳에 채를 집어넣고 친다. 구름모양의 철로 만든 운판은 하늘에 사는 생명을 위하여 치는 것이다. 목어는 물고기가 눈을 감지 않듯, 언제나 잠이 들지 않고(물론 정신을 말한다), 용명정진하라는 뜻도 갖고 있다.

아 신라의 밤이여
불국사의 종소리 들리어 온다
지나가는 나그네여 결음을 멈추어라


현인 선생의 노래이다. 이 노래를 떠올리게 하는 것이 바로 사찰의 종소리이다. 그 은은함에 빠져들면 세상 모든 고뇌가 한 순간에 사라지는 것만 같다. 그리고 더 이상 걸음을 옮길 수가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소리공양을 들을 수는 없었지만, 그 마지막 부분만으로도 귀가 깨끗해진 듯하다. 세상 모든 생명이 다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소리공양을 들었으니. 하지만 또 다시 돌아서면 세상의 소리에 젖고 말 것을. 언제나 깨끗한 마음을 가질 수 있으려는지.


통일신라시대에 처음 창건된 남원 실상사에는, 통일신라 후기의 대표적인 작품인 실상사 철조여래좌상이 있다. 이 철조여래좌상은 창건 당시부터 지금까지 보존되어 오고 있는 철불이다. 통일신라 후기에는 지방의 선종사원을 중심으로 철로 만든 불상이 활발하게 만들어지기도 했는데, 이 불상 역시 당시의 불상 양식을 잘 표현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 처음으로 실상사를 짓고 난 뒤 모셔졌다는 철조여래좌상. 당시 선종사찰에서는 직접 철불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높이 2.69m의 이 철불은 그 중 가장 오래된 철불이다. 현재는 전각을 새로 짓느라 임시 전각에 모셔놓았다. 보물 제41호인 이 철조여래좌상은, 머리에는 소라 모양의 고수머리로 조성해 놓았다. 머리의 중앙인 정수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아담한 크기로 자리 잡고 있다.

보물 제41호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균형 잡힌 몸매가 당시 철불의 조형미를 알게 해

이 찰조여래좌상의 귀는 어깨에 닿을 듯하지만, 석불처럼 길게 늘어지지는 않았다.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어 있으나, 목이 짧아 조금은 답답한 모습이다. 이렇게 목이 짧게 표현된 것이 철조여래좌상의 흠이다. 이마와 초승달 모양의 바로 뜬 눈이나, 굳게 다문 입 등의 묘사가 뛰어나지만, 짧은 목으로 인해 근엄함이 조금은 가시는 듯한 모습이다.

통일신라 이전의 모습은 활기차고 부드러운 모습이 많이 나타나는데 비해, 통일신라 후기의 실상사 철불은 조금은 딱딱하게 표현이 되었다. 양 어깨에 갈친 법의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육중한 느낌이 든다. 아마도 철불이란 특성 때문이라는 생각이다. 틀을 만들어 조형을 해야 하는 철제조형물이라 조형이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손과 발을 새로 제작해

철불의 어깨선은 부드럽고 가슴도 적당하게 처리되었다. 몸을 감싸고 있는 옷 주름은 가슴 밑에서부터 시작하지만, 한편으로 치우치면서 U자 형으로 주름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비교적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당시 철불의 조형에서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 철조여래좌상은 무릎아래는 새로 복원을 한 것이다. 발은 모두 발바닥이 위로 보이게 가부좌를 하고 않았으며, 손도 근래에 찾아 원래대로 복원을 한 것이다. 실상사 철조여래좌상은 활력이 넘치던 8세기의 불상에서, 조금은 느슨해진 9세기의 불상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조형된 것으로 의미를 있다고 하겠다.

전북 유형문화재 제137호 실상사 동종

또 하나의 철제문화재, 동종

실상사 경내에는 또 하나의 철제문화재가 있다. 높이 123㎝, 입 지름 83㎝의 동종으로 현재 전북 유형문화재 제137호이다. 이 동종은 조선조 숙종 20년인 1694년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 실상사 보광전 안에 자리한다. 이 동종은 머리 부분인 용뉴에는 용이 발톱을 세워 종을 붙잡고 있는 형상이 있으며, 소리의 울림을 돕는 용통은 간략화 되어 용의 꼬리를 감은 모습이다.

종의 어깨선을 따라가면서 유곽을 새겼으며, 몸통 위쪽에는 ‘육자대명왕진언’이란 글을 새겨 넣었다. 네 개의 유곽에는 각각 꽃무늬를 세 줄씩 아홉 개를 새겨 넣었다. 유곽 사이에는 꽃가지를 손에 든 보살입상을 새겨 넣어, 조선조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동종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용뉴와 몸통에 새겨진 보살입상

몸통 위쪽에는 원안에 범자를 양각한 문양을 12곳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흔히 동종에서 나타나는 넝쿨을 둘러쌓은 문양들은 보이지가 않는다. 아마 이런 형태의 모습은 조선조 후기로 넘어가면서, 범종의 구성이 많이 간략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몸통 중간에 새겨진 비천인상을 보아도, 이전의 동종에서 보이는 부드러움이 사라지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종에 새겨진 비천상 등이 딱딱한 느낌을 준다.

실상사에 있는 두 점의 철제문화재. 그 나름대로 소중한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석조나 소조에 비해 흔하지 않은 철조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할 수 있을 듯하다. 이렇게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는 실상사이기에, 몇 번을 찾아갔어도 또 둘러볼 것이 있는 것이나 아닌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