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나 누각이라고 해서 꼭 경치 좋은 계곡이나 바닷가, 혹은 강가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전에는 절마다 누각을 지어 그곳에서 강론을 펴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법을 알려주는 장소로 사용을 하기도 했다. 전국의 사찰에는 이러한 누각이 상당히 많이 보존이 되어 있다.

내가 그 중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 경내에 있는 쌍계루를 좋아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쌍계루는 고려 충정왕 2년인 1350년에 ‘교루(橋樓)’라고 하여 최초로 지어졌다.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당시에는 다리 위에 지어졌던 것으로 추정한다.


물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누각

지금도 쌍계루 앞에는 물이 고인 곳이 있고, 그 물은 계곡에서 흘러드는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다. 그 뒤 고려 공민왕 19년인 1370년 폭으로 인해서 교루가 부서졌다. 고려 우왕 3년인 1377년에는 파손된 교루를 청수스님이 중수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정도전이 ‘백암산정토사교루기’를 지었다.


백양사 들어가는 길. 절을 찾아 가는 길부터 마음이 편안해진다.

고려 우왕 7년인 1381년에는 목은 이색이 교루의 이름을 쌍계루라 하고 ‘백암산정토사쌍계루기’를 지었다. 1980년에는 쌍계루가 복원이 되었는데, 그 후 몇 차례 중수를 하였다.



백암산을 뒤로 한 쌍계루와 쌍계루 현판

지금 시를 써 달라 청하는 백암사 스님을 만나니
붓을 잡고 생각에 잠겨도 능히 읊지 못해 재주 없음이 부끄럽구나.
청수스님이 누각을 세우니 이름이 더욱 중후하고
목은선생이 기문을 지으니 그 가치가 도리어 빛나도다.
노을빛 아득하니 저무는 산이 붉고
달빛이 흘러 돌아 가을 물이 맑구나.
오랫동안 인간 세상에서 시달렸는데
어느 날 옷을 떨치고 그대와 함께 올라보리.

포은 정몽주가 당시 이곳에 머물면서 청수스님의 권유로 지은 시이다. 여기서 백암사는 지금의 백양사를 말하는 것이며, ‘옷을 떨친다’는 말은 관복을 벗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몽주는 결국 이 시를 남겨놓고 선죽교에서 한 많은 세상을 떠났으니, 그 혼이라도 이곳에 들렸을 것만 같다.


최근 새로 보수를 한 쌍계루. 전체적인 보수를 마쳐 옛 모습을 되찾았다.

쌍계루 전각에 올라 보다.

쌍계루, 말 그대로 두 개의 물줄기가 있는 곳에 서 있는 누각이라는 소리일 것이다. 아마 백암산에서 흘러드는 물줄기가 이 쌍계루를 휘감아 도는 것은 아니었을까? 처음 교루라 이름을 붙인 것도, 후일 이색이 쌍계루라 이름을 붙인 것도 물과 연관이 지어지는 이름이다. 지금도 쌍계루 앞에는 고여 있는 물속에서 물고기들이 한가롭게 유영을 즐기고 있다.



쌍계루 위 누각에는 포은 정몽주의 시를 비롯해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이층 누각을 오르면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그 중 정몽주의 시판에 눈에 띤다. 아직도 이곳을 그리고 있지는 않을까? 그런 생각들을 하면서 주변을 돌아보는데, 낯선 작은 새 한 마리가 날아와 난간에 머문다. 혹시 포은 선생의 넋이 저리 새가되어 쌍계루를 찾은 것이나 아닌지. 오랜만에 찾은 쌍계루는 그렇게 말없이 지난 역사만을 알려주고 있다.

난간에 앉아 쉬는 작은 새 한 마리. 포은 선생의 방문은 아니었을까? 

 

고불총림 백양사는 1,400여 년 전 백제 때 지어진 고찰이다. 전남 장성군 북하면에 자리하고 있는 백양사는 주변 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백양사의 경내에는 쌍계루가 있고, 그 앞에 물을 막아 연못처럼 조성을 하였다. 이 연못가에는 하얗게 탐스런 꽃을 피운 이팝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이팝나무는 5월경에 꽃을 하얗게 피우는데, 그 모습이 마치 쌀밥을 소담스럽게 담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서 이팝나무라고 부른다. 이팝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서식을 하며 병충해에 강하고 높이는 20m 정도에 달하며, 우리나라에는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진해 평지리의 이팝나무, 김해 주촌면의 이팝나무,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양산 신전리의 이팝나무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각진국사가 꽂은 지팡이가 변하다

 

각진국사는 고려 원종 11년인 1270년에 태어나 공민왕 4년인 1355년에 세상을 떠났다. 본관은 고성이고 성은 이씨이며 호는 무능수라 하였다. 스님이 돌아가신 후 왕명을 받아 비문을 지은 이달충은  「각진스님은 사람됨이 맑고 순박하며, 단아한 것이 평화스럽다. 그 마음은 곧고 깨끗하며 정성스러웠다. 멀리서 바라보면 깨끗하기가 신선과 같고, 가까이 나아가면 온화하기가 부모와 같았다. 이는 그 생김새가 이마는 푸르고 눈썹은 반백이고, 입술은 붉고 이는 희기 때문이다. 입으로 말을 하면 남의 선악을 구별치 아니하고, 마음으로는 공경함을 지니고 있었다. 평생을 방장으로 지냈으나 단 한 개의 재물도 갖지 않았다」고 기록했다.

 

각진스님은 10세 때에 조계산의 천영스님께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았다. 스승인 천영이 입적하자, 수선사 제12세 자각국사인 도영을 좇아 공부하였다. 고려 충정왕의 왕사가 되어 '각엄존자'라는 호를 받았고, 공민왕 1년인 1352년에는 공민왕으로 부터 왕사의 책을 받았다. 영광군 불갑사에 머무르다가 1355년 백양사로 거처를 옮겼다. 백양사로 거처를 옮긴 1355년 7월 27일에 입적하였다.

 

5월 경이 되면 하얗게 꽃을 피운다.

꽃이 피면 마치 쌀밥을 수북히 다아 놓은 듯 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이런 내용으로 보면 각진대사가 지팡이를 꽂은 것은 1355년일 것이다. 그렇다면 지팡이가 살아나 이팝나무로 변해 살아난 것은 벌써 655년이나 된다. 이 지팡이가 당시에 바로 자란 것인지, 아니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 꽃을 피웠는지는 정확지가 않다. 다만 전하는 설화에 의하면 각진대사가 꽂은 지팡이가 변했다고 하니 그 햇수가 오래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유난히 많은 지팡이 설화

 

우리나라에는 유난히 많은 지팡이에 대한 설화가 전한다. 수령이 1,100년이 넘었다는 용문사 은행나무는 나라를 잃은 슬픔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던 마의태자가 심었다고도 하고, 의상대의 지팡이가 변해 자랐다고도 한다. 여주 남한강 가의 벽절 신륵사에도 수령이 600년이 지난 은행나무가 서 있는데, 이 나무는 고려 말의 혜근 나옹스님이 꽂아놓은 지팡이라고 한다. 또한 정암사 적멸보궁 앞에 있는 주목은 자장율사가 꽂아놓은 지팡이가 살아난 것이라고 한다.

 

쌍계루에서 본 이팝나무. 설화에 의하면 수령이 650년이 지났다

 

이렇듯 전국에 나타나고 있는 지팡이 설화는 어쩌면 스님들이 짚고 다니는 주장자 때문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만큼 법력이 있었음을 그 안에 내포하고 있다. 하얗게 꽃을 피운 백양사의 이팝나무를 한참이나 바라다보다가, 그 나무와 연못, 그리고 쌍계루가 정말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만일 쌍계루가 없었다고 해도, 이러한 설화가 생겨났을까? 쌍계루 위에 올라 바라다보는 이팝나무에는 그보다 더한 설화 하나쯤 더 전할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