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괴산군 괴신읍 검승리에 가면 ‘애한정(愛閑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정자는, 박지겸(1549~1623)이 광해군 6년인 1614년에 지은 정자 겸 학동들을 가르치는 서당이었다.

 

조선조 중기의 유학자인 박지겸은 본관은 함양으로 자는 익경, 호는 애한정이다. 임진왜란 때 백의(白衣)로 왕을 의주까지 모시기도 했으나, 광해군 때 정치가 문란해지자 이곳으로 낙향하여 정자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 애한정이라 하였다. 애한정은 그 뒤 원 정자 뒤에 새롭게 조성이 되었다.

 

 

몇 차례 중수를 한 애한정

 

애한정은 현종 15년인 1674년에 옮겨지었고, 숙종 38년인 1712년과 44년인 1716년에 중수를 하였다. 그 후 1979년에 크게 보수를 하여 현재 모습을 갖추었다. 애한정은 새롭게 축조한 현재의 애한정 앞에, 예전의 애한정이 그대로 남아있다.

 

애한정을 오르려는데 앞에 작은 전각 하나가 풀숲에 가려져 있다. 계단은 있으나 풀들이 자라 가리고 있다. 풀숲을 헤치고 올라가니, 고종 28년인 1891년에 건립한 박상진의 효자문이다. 박상진은 애한정을 창건한 박지겸의 9대손이다. 낙향한 선비가 부유하게 살지는 못했을 테니, 그 9대손인 박상진 또한 생활이 궁핍했는가 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한 박상진은 품을 팔아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였다. 부친이 술을 즐겨했으므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계속 술을 드실 수 있도록 하였단다.

 

 

피를 내어 부친을 간구한 효자 박상진

 

후에 부친이 병이 들어 자리에 눕게 되자, 백방으로 약을 구해 부친의 병 구환을 위해 노력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친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부친을 연명케 하였다고 한다. 부친이 돌아가시자 피눈물로써 3년 상을 마쳤으며, 그의 나이 85세에 이르렀어도 부모의 이야기만 나오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러한 그의 효심을 충청도 선비들이 예조에 보고하자, 나라에서는 그의 효행을 후대에 알리기 위해, <동몽교관조봉대부>란 벼슬을 추증하고, 효자 정문을 세웠다. 애한정을 오르다 보면 계단 우측에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는 느티나무 한 그루가 녹음을 자랑한다. 위로 오르면 담장에 둘러싸인 원래의 애한정이 있다. 보수를 하여 말끔하게 정리가 되어있다.

 

 

뒤편에는 현재 애한정의 현판을 단 정자가 있는데, 아마 이곳에 걸렸던 현판을 옮겨간 듯하다. 원 애한정과 옮겨지은 애한정을 잘 보존해 놓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애한정이 역사 속에서 변화한 형태를 알 수가 있다. 바람직한 문화재의 보존이란 생각이 든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고 했던가? 오늘 갑자기 애한정이 그리워지는 것은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홀연히 마음을 비우고 낙향을 하여, 학동들을 가르치면서 「애한정기」와 「애한정팔경시」 등을 쓴 박지겸과, 부친의 병환을 고치려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낸 효자 박상진의 이야기가 생각이 나서다.

 

없는 살림 가운데서도 이렇게 사람답게 사는 모습을 보여준 애한정의 주인들을 생각나게 만드는 것은, 요즈음 세태가 하도 어이없게 돌아가서인가 보다. 어린 생명을 다치게 하는가 하면, 나라 살림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돈 버는 일에 눈이 벌게, 남이야 죽든지 말든지, 자신의 배만 채우겠다는 생각들로 온통 나라가 검어지는 듯해서다.

 

대선이 2일 남았다. 대선 도전하는 사람들, 우선 이곳부터 가서 마음을 내려 놓고 오기를 바란다. 그 자신들이 과연 이 애한정에서 무엇을 느끼고 올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이곳이 가서도 깨닫는 것이 없다고 한다면, 그들은 이미 이 나라의 국민을 이끌고 갈 아무런 자질도 없다는 것일게다. 요즈음에는 윗물은 맑아도 아랫물이 똥물일 때가 비일비재한데, 윗물까지 맑지 않다면 그 아랫물이야 뻔하지 않겠는가?

 

작은 시골 정자 하나가 이렇게 사람이 살아가야 하는 모습을 알려주고 있지만, 우리들은 그 곁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다. 오늘 이곳 애한정을 가슴속에 담는 것도, 나리들께서 꼭 이 시골의 작은 정자 애한정과 효자문을 찾아보고, 사람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가를 깨달았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10월 20일, 남원시 덕과면에 있는 호암서원을 찾아가다 보니, 길가에 커다란 석비가 하나 보인다. 호암시비공원이란 글이 새겨져 있다. 이 시비공원은 남원문화원, 전라북도와 남원시, 그리고 호암시비공원 건립추진위원회의 후원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호암서원은 전라북도 지정문화재 제55호로 지정이 되었다고 하는데, 근처를 돌아다녀도 이정표 하나가 없어 결국 찾지를 못하고 말았다. 그리고 그 앞에 조성이 되었다는 시비공원. 호암서원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조성된, ‘궁포조대(弓浦釣臺)’ 하천부지 낚시터 옆에 조성되었다고 한다.


시비가 줄지어 선 공원

도로 변 넓지 않은 곳에 마련한 시비공원에는 받침 위에 흑색이 나는 석물로 세운 시비 20여기가 줄지어 있다. 길가를 향해 3줄로 서 있는 시비들은 멀리서도 쉽게 보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지나치다가 한 번 쯤은 들려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이 길이 워낙 차량들이 많이 다니지 않는 곳이고 보면, 원래의 취지에는 많이 부족하단 생각이다.

2007년 6월 28일자로 비를 세운 것인 듯, 시비표지석 밑에는 이런 문구가 적혀있다.

「백두대간 만행산하 유서깊은 호암서원 앞 뜰 궁포조대에 고매한 선인들의 시혼을 모신다. 선인들은 애국의 명신이거나 학자인 동시에 시인이었으니, 그 생애가 일월처럼 빛났다. 우리는 선현들의 가르침을 본받아 인간을 사랑하고 바른길을 따라 참되게 살아 온 인, 의, 예, 지 정신을 표상으로 삼고자 남원관련 선인들의 시를 모아 돌에 새겨 이곳에 세웁니다.」

뜻대로라면 정말 좋은 시비공원이다. 그런데 이 시비공원을 보면서 참으로 씁쓸하기 이를 데가 없다.



글씨는 지워지고 조경수는 말라죽고

시비는 ‘용성지’와 ‘매헌집’ 등 남원 관련의 시인과 서책 등에 실린 글을 모아 돌에 새겼다. 그런데 몇 개의 시비는 아예 판독조차 되지 않는다. 그리고 조경수로 심은 듯한 나무는 고사를 했는지, 말라 죽어있다. 선인들의 얼을 기리고자 조성을 했다는 호암시비공원. 이런 것을 바라보면서 후손들은 어떤 것을 배우게 될까?

불과 이 공원을 조성을 한지 이제 고작 5년이다. 그런데 조성을 해놓고 단 한번이라도 이곳에 신경을 쓰기는 했는지 묻고 싶다. 어떻게 시비에 글자의 판독도 어려울 정도로 지어진 것을 그대로 방치를 한 것인지.




많은 예산을 들여 조성을 해놓고, 나몰라라식의 방치라면 그 안에 새긴 뜻도 함께 버려진 것 같지 않을까? 선인들의 글에 녹아진 그 뜻을 후손에게 일깨우기 위해 조성한 것이라면, 하루 빨리 제 모습을 갖추기를 바란다. 또한 이렇게 외진 곳이 아니라, 좀 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곳으로 이전도 생각해 봄직하다.

흔히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들이 가끔 질문을 하기도 한다. 온누리님은 글을 써도 베스트에 걸리지도 않고, 조회수도, 추천수도 높지 않은데 그렇게 순위를 버티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를. 솔직히 블로거 짓 7년차 정도되면 산전수전 다 격었다고 보아야한다. 나도 인간인데 그런 것에 어찌 연연하지 않을 수가 있었을까? 나 역시 그런 것에 과민반응을 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니다.

그런데 이런 질문을 할 때마다 참 대답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내가 남들처럼 파워블로거도 아니고, 날마다 수만명이 찾아오는 블로그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매일 올리는 글마다 빨간 마크를 다는 것도 아니다. 한 마디로 나도 내가 이렇게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의아스러울 때도 있다. 하지만 곰곰 생각하고 나름대로 판단을 한다면 아마 이런 이유가 아닐까 한다.


주제를 정해라


난 스스로 '문화블로거'임을 강조한다. 주로 문화재를 답사하고 글을 올린다. 그 글은 현장성이 있기 때문에, 아마 그런데 조금 가산점을 주는 것은 아닐까도 생각한다. 또한 주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문화면'에 글이 오르게 된다, 그런 것이 쌓이는 것인가보다. 하기에 이런 질문을 하는 블로거들에게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에 맞는 글을 쓰라'고 권유를 하고 싶다.

일례로 글을 문화면에 보내지 않고 딴 곳으로 보낸 글이(물론 문화적인 글도 아니다) 하루에 다음 메인에 걸리는 바람에 조회수 6만 명을 상회하고, 추천수가 600을 넘었다. 그러나 그 다음 날 순위는 10계단이나 떨어지는 이해안되는 일이 벌어진 적도 있다. 이런 것을 보아도 주제를 정한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끈기를 갖고 글을 써라


난 하루에 한 개 이상의 글을 꾸준히 올리고 있다. 아주 많이 바쁘다고 해도 미리 송고를 해 놓는다. 많이 쓸 때는 주제에 맞는 글을 두 개씩 쓸 때가 많다. 이렇게 꾸준히 글을 쓰고 있는 것이 가산점을 받는 듯하다. 난 알고리즘이나 어떤 열린편집이나 그런 것에 대해서는 아예 무관심하다. 솔직히 관심을 가질 이유도 없고, 그러고 싶지가 않다. 내가 좋아하는 답사를 하고 그것에 대한 글을 정리해 올리는 것으로 만족하기 때문이다.

난 추천도 높지 않고, 조회수도 적다. 15일동안 베스트 하나가 없다. 그런데도 순위가 오른다. 그것은 꾸준히 한 주제로 글을 쓰기 때문이다.

또 베스트나 조회수, 혹은 추천수와도 무관하단 생각이다. 예를 들어 9월 1일에 내 순위는 103였다. 하루에 두 개씩 꾸준히 글을 썼다. 9월 들어 그 많은 글들이 베스트에 걸린 것은 하나도 없다. 하지만 하루에 한 단계씩 꾸준히 올라 오늘 89에 있다. 결국 꾸준한 글 쓰기가 점수를 얻었다는 결론이다.

순위에 연연하지 말아라


누구나 다 순위가 높아지면 좋다고 한다. 나 역시 순위가 앞에 있으면 기분 나쁠 이유가 없다. 하지만 다음뷰 나름의 정해진 룰이 있다면 그도 따라야 한다. 그 룰을 이렇고 저렇고 할 이유가 없다. 내가 좋아서 글을 쓰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를 하기 위해서라면 순위에 연연하지 말기를 바란다. 자칫 그런 순위경쟁으로 인해 상처를 받게되고, 그 다음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글쓰기를 소홀히 대하게 된다.


파워블로거들의 글을 보고 배워라

파워블로거한 블러거들. 그 명성은 하루 아침에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요즘 다음 뷰의 흐름이 연예나 연애 등에 중점적으로 많은 글을 올려주고는 있지만, 그도 시류의 흐름이다. 자신이 꿋꿋하게 글을 써 간다고 하면, 언제간느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게되고, 그 때부터 파워블로거에 도전을 하면 된다. 파워블로거,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란 생각이다. 그들은 남들보다 더 많은 오력을 한다는 것을 기억해두자.

(말미) 나도 조회수 적고, 추천수 적고, 베스트 없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고 꾸준히 글을 써 간다면, 언제가는 나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블로그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오늘부터 주제를 정하고, 꾸준히 글을 쓰고, 그리고 좋은 블러거들에게 배우는 마음을 가져보자. 얼마 지나지 않아 내 블로그를 찾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다는 것을 알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