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 400년이 되어가는 역사를 간직한 느티나무 한 그루가 마을의 입구에 서 있다. 이 나무는 여름이면 마을 주민들이 논, 밭일을 할 때 잠시 동안이라도 쉬라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준다. 이 나무가 누군가가 속빈 곳에 불을 붙였다고 한다. 그래도 수술을 거쳐 끈질긴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금산길 42(대안리)에서 자라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279원성 대안리 느티나무이다. 말이 수령이 400년 가까이라고 하지만, 그 오랜 시간 동안 역사를 다 보면서 그 자리에 서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마을의 주민들이 10대가 넘게 바뀌는 것을 보아 온 느티나무, 어찌 경외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겠는가?

 

 

겉모양으로 만도 압도당해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목(亭子木)으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당산나무로 보호를 받아왔다.

 

대안천을 따라 난 도로를 대안리 방향으로 따라가다가 보면 대안교가 나온다. 다안교를 지나기 전이나 대안교를 지나 우측으로 길을 잡아 들어가면 좌측 마을입구에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멀리서 보기에도 쉽게 구별이 갈만큼 거대목이다. 높이가 24m 정도나 되니 원거리에서도 눈에 잘 띤다.

 

 

이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는 나이가 400년 가까이 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24m, 가슴높이의 둘레가 8.1m, 근원부의 둘레 10.11m, 가지 밑의 높이가 1.7m이고, 수관 폭은 동-26.4m, -21.3m이다. 마을로 들어가는 농로 옆에 서 있는 정자목으로 마을에서 위하고 있는 나무이다.

 

누군가 이 느티나무에 불을 질렀다고?

 

대안리 느티나무는 겉으로 보기에는 튼튼하게 보인다. 수세도 건전하고 수형도 실하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지상에서 6m 정도 올라간 부위의 밑 부분이 썩어 들어가서 밑 부분까지 공동(空洞)이 생겼다. 그 뿐만 아니라 누군가 이 비어있는 부분에 불을 질렀기 때문에, 불에 타 탄화된 부분을 1993년 수술을 하였다.

 

 

다행히 수술을 한 후에 수세가 좋아지긴 했지만, 이런 몰지각한 행동을 했다는 것에 노여움이 인다. 수백 년을 한 자리에 서서 마을의 온갖 역사를 다 보고 있었을 느티나무 한 그루. 숱한 비바람과 태풍, 추위를 이겨내고 살아남은 나무들이다. 이런 천연기념물을 해치려고 했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전국의 천연기념물을 돌아보면, 생각 밖으로 피해를 당한 나무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어딘가의 소나무는 땅 주인이 농약을 쳐서 죽이려고도 했고, 수령 500년이 넘은 소나무는 갑자기 이유 없는 고사를 하기도 했다. 고사를 한 나무가 이유가 없지는 않겠지만, 이유를 모르겠다고 한다. 이런 답답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 우리가 꼭 지켜주어야 할 소중한 천연기념물이다. 한 번의 아픔을 당했다면, 더 이상은 이 나무가 아픔을 당하게 해서는 안 된다. 앞으로도 더 많은 세월을 우리 자손들과 함께 살아가야 할 소중한 문화자산이기 때문이다.

지난 9월 4일, 전북 고창군 지역을 답사하는 날은 이상하게 나무만 둘러본 날이었다. 아마도 하루에 수령이 꽤 오랜 나무들을, 10여 그루는 보았을 것이다. 그 중 한 그루가 바로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313-1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183호인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이다.

‘이팝나무’란 이름은 ‘이밥’ 즉 ‘쌀밥'과 같은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즉 꽃이 필 때 나무 전체가 하얀 꽃으로 뒤덮이는 것이, 마치 쌀밥과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설에는 여름이 시작될 때인 입하에, 꽃이 피기 때문에 ‘입하목(立夏木)’이라 부르다가 이팝나무로 부르게 되었다고도 전한다.


천연기념물 이팝나무 중 작은 중산리 이팝나무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는 마을을 들어서면 마을 입구에 넓은 공원과 같이 곳이 있고, 마을 입구 쪽에 자리하고 있다. 주변에는 나무들을 심어놓았는데, 그 가운데는 작은 이팝나무들이 보인다. 중산리 이팝나무는 수령이 약 250살 정도로 보이며, 나무의 높이는 10.5m 정도에, 가슴높이의 둘레는 2.7m 정도이다.

중산리는 마을을 들어서는 도로보다 낮은 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그 중산리 마을 앞의 낮은 지대에 단 한 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나무의 모습은 가지가 고루 퍼져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를 지나는 차량의 먼지 등으로 나무의 생육상태는 썩 좋은 편이 아니다. 중산리 이팝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팝나무들 가운데, 작은 편에 속한다고 한다.



‘저 나무에는 전설이 없어. 우리도 안타까워’

현재 우리나라에는 7그루 정도의 이팝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지방 기념물 6그루를 합해, 모두 13그루가 보호를 받고 있다. 이 이팝나무들 중에는 마을에서 전해지는 전설을 지니고 있는 것들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36호인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는 마을을 지켜주는 신목으로 섬김을 받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185호인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는 한쪽 가지가 길 건너 우물을 덮고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가 우물을 보호한다고 믿는다. 이런 이유로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2월 말에 정성을 다해 제사를 올리는데, 이곳의 말로 ‘용왕(龍王) 먹인다’라고 한다.




천연기념물 제214호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는 모구 7그루가 지정이 되어있는데, 마령초등학교 담장 곁에 서 있다. 마을사람들은 이팝나무를 ‘이암나무’ 또는 ‘뻣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팝나무가 모여 자라는 곳은, 어린 아이의 시체를 묻었던 곳이라 하여 ‘아기사리’라고도 부른다.

이와 같이 오래된 나무들은 대개 그 마을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그러나 중산리 이팝나무에는 그 어떤 전설도 전하지가 않는다. 마을 앞 정자에서 쉬고 계시는 어르신들께 중산리 이팝나무에 전해지는 어떤 이야기가 없는지, 말씀을 드려보았다.

“저 나무에는 아무런 전설도 없어”
“대개 천연기념물에는 무슨 전설 등이 있는데요.”
“그러니까 말여. 우리도 저 나무에 무슨 이야기 하나쯤 있었으면 좋겠는데, 아무런 이야기도 전해 내려오는 것이 없어. 우리들도 참 안타깝지”
“저 작은 나무들은 어디서 가져온 것인가요?”
“글쎄, 사람들은 저 큰 나무 자식이라고 하는데, 딴 곳에서 갖다 심은 것 같아”

그 외의 어떤 이야기도 들을 수가 없었다. 천연기념물을 만나 무엇인가 잔뜩 기대를 걸었는데, 아무런 이야기 하나 못 건지는 이런 날은 맥이 풀린다.


우리나라의 크고 오래된 이팝나무는 꽃이 많이 피고 적게 피는 것으로, 그해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점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팝나무는 물이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비의 양이 적당하면 꽃이 활짝 피고 부족하면 잘 피지 못한다. 벼농사를 지을 때는 강수가 필요하므로 이팝나무의 생육에 따라 풍, 흉년을 미리 점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마을 어르신들조차 전설 하나 간직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중산리 이팝나무. 그러나 그 나무의 학술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다면, 그만해도 마을의 자랑이 아닐까? 중산리를 떠나면서 나무가 오래도록 잘 자라기만을 기원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