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한 자료가 이제는 CD로 3,000장이 훨씬 넘었다. 20년이 넘는 시간을 발이 부르트도록 돌아다녔으니, 아마도 김정호 선생만큼은 안되도 이제는 구석구석 꽤 돌아다닌 듯하다. 하지만 아직 우리 문화재의 10분지 1도 채 보지 못했다는 생각이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꼭 쓰고 싶은 책이 4권 정도이다. 하나는 정자요, 또 하나는 고택이다. 그리고 마애불에 대한 책도 한 번은 내고 싶다. 그리고 끝으로 성곽이다. 성곽은 가는 곳마다 힘든 것을 마다하지 않고 한 바퀴를 돈다. 그것은 언젠가 성에 대한 역사이야기가 아니라, 성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들을 쓰고 싶어서이다.

 

 

덕주공주가 청건했다는 덕주사를 가는 길

 

성을 보면 그 성곽이 얼마나 견고하게 쌓여졌는지 알 수가 있다. 월악산에 있는 덕주사를 오르다가 만나는 덕주산성.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의 남쪽에 있는 이 산성은 돌로 쌓은 통일신라시대의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되어 있다. 덕주산성은 덕주공주가 신라 말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덕주사를 오르는 길목에 만날 수가 있다.

 

원래 이 덕주산성은 문경과 충주를 잇는 도로를 차단하는 전략적인 요충지이다. 덕주공주는 이곳 덕주사에 마애불을 조성했다고 전해지는데, 이 성은 고려 고종 43년인 1256년에 몽고군이 충주를 공략하자, 갑자기 구름, 바람, 우박이 쏟아져 적군들은 신이 돕는 땅이라 하여 달아났다고 한다.

 

 

덕주산성의 동문인 덕주루의 밖과 성안

 

월악대왕의 가호가 있다고 전하는 덕주산성에는 얽힌 이야기가 많다. 조선조 말기에는 명성왕후가 흥선대원군과의 권력다툼에서 패배할 것을 예상하고, 은신처를 마련하려고 이곳에 성문을 축조하였다고 전한다.

 

3개의 성문이 남아았는 덕주산성

 

덕주산성은 둘레가 32,670척(9,800m)에 이르렀던 성이다. 성벽은 거의 무너졌으나,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인 월악루, 동문인 덕주루, 북문인 북정문의 3개 성문이 남아 있다. 한창 복원을 하고 있는 덕주산성의 남문은, 동창으로부터 문경으로 통하는 도로에 무지개모양으로 만든 홍예문으로 되어있다. 아름답게 조성을 한 월악루는 좌우를 막은 석벽은 내외 겹축으로 길이가 100간이나 된다.

 

 

덕주루 성문의 안편 무지개아치와 덕주산성의 성벽 외부

 

덕주골 입구에 서 있는 동문인 덕주루는 남문과 비슷하며, 새터 말 민가 가운데 있는 북문은 내외에 홍예가 있으며 홍예 마룻돌에는 태극 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덕주산성은 내외 5겹의 성벽으로 쌓여있다. 아는 축조연대가 각기 달라 시대에 따른 성을 쌓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5겹으로 된 철옹성에는 슬픈 사연이 많아

 

상덕주사의 외곽을 둘러싼 상성(내성으로 제1곽), 상, 하 덕주사를 감싼 중성(제2곽 동문주변), 그 외곽으로 하성이 있으며(제3곽) 송계 계곡인 월천의 남쪽을 막아 쌓은 남문과 북쪽의 북문을 이루는 관문형식의 외곽성(제4곽) 등 첩첩히 쌓여진 철옹성이다. 이러한 성이기 때문에 명성황후는 스스로를 지켜내기 위하여, 성문을 축조한 것일까? 권력이 무엇인지 참 슬픈 우리 역사의 한 면을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덕주루라고 현판이 붙은 동문. 보기에도 견고한 성이다. 문루 위로 올라가면 주변으로 쌓여진 성곽이 얼마나 첩첩이 쌓았는지 알 수가 있다. 이렇게 단단하게 쌓은 성곽이 어떤 일로 다 무너져 내렸을까? 역사란 이렇게 모든 것을 피폐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북문인 북정문과 문 위에 복원한 문루

 

송계리에 소재한 덕주사를 돌아보고 명오리를 지나 나오면 새터 말 도로변에 북문인 북정문이 있다. 최근 보수를 한 북정문은 평지에 있어서인가 동문인 덕주루보다 더 견고하게 축조가 되어있다. 북정문 곁에 놓여진 돌들을 보면 그 크기가 2m 가 넘는 것들이 있어, 이 덕주산성의 위용이 얼마나 대단했는가를 알 수가 있다.

 

 

북문 주변에 놓인 옛 성돌의 크기를 보면 덕주산성의 견고함을 알 수가 있다(위) 아래는 돌 축대를 쌓기 위해 사용한 석주

 

역사를 돌아보는 것은 항상 즐거운 것은 아니다. 그 역사의 훼손된 부분을 보는 것은 마음이 아프기 때문이다. 그저 어디를 가나 온전히 보존이 되지 않고 있는 우리의 역사들. 그 안에는 우리 선조들의 땀과 피와 한이 맺혀져 있다. 그런 것 하나 온전히 보존하지 못하는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과연 먼 후대에 우리의 자선들에게 어떻게 평가될 것인가? 그러한 역사의 죄인으로 남지 않는 길은, 우리의 것을 온전히 보존하여 전해주는 길 뿐이다.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참 희한안 일을 자주 보고는 한다. 어떤 때는 정말 기가 막혀 말이 안 나올 때도 있다. 도대체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어릴 적부터 문화재의 소중함에 대해서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 것인지. 적어도 사회생활에서 문화재는 무엇이며, 우리가 문화재를 왜 보존해야 하는지 정도는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문화재에 낙서를 하는 것은 비일비재고, 심지어는 사람들이 있는 앞에서 문화재를 나무로 두드리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발로 차기가 일쑤이다. 목이 달아난 석불이며, 국보나 보물의 벽에 가득한 낙서도 우리를 부끄럽게 만든다. 왜 우리들은 이렇게 소중한 문화재를 폄하하고 훼손하는 것일까?

보물 제94호 사자빈신사지 석탑

본질적인 교육도 되어있지 않은 나라

문화재가 무엇인지, 그것을 우리가 왜 보존해야 하는 것인지. 그런 것을 가르친다는 것은 기본적인 것이다. 말로는 우리 문화재를 보존해야 한다고 잘도 떠들어 댄다. 그러나 정작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보면, 그런 말이 얼마나 허구에 찬 것인지를 알 수가 있다. 우리의 문화재 보호 점수는 빵점이다.

답답한 정도가 아니다. 고작 문화재를 보호한다는 생각에서 나타난 행위는 바로 꽁꽁 잠가버리는 것이다. 그런다고 올바로 보존이 되는 것은 아니다. 숱한 문화재들이 도난을 당한다. 요즈음 TV 광고에 보면 문화재 도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 광고를 볼 때마다 가슴이 아리다. 그런 광고를 해야 할 정도로 문화재에 대해 무지한 것이 우리네들이란 이야기다.

왜 기를 쓰고 좋은 학교를 가야만할까? 그러기 위해서 어릴 적부터 학원을 몇 군데씩 돌아야 한단다. 그 아이들이 배우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공동체, 우리, 이런 말을 알기나 할까? 우리문화, 우리민족, 우리말, 우리글, 이런 것은 알기나 할까? 나만 잘 살겠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는 작금에 우리는 잊어도 너무 소중한 것을 잊고 산다. 내 종교와 관계가 없다고, 내가 돈을 버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차라리 무관심이 나을 것만 같다. 그렇다면 폄하나 훼손이라도 하지 않을 테니까.

명문. 기단석에 쓰여진 명문. 몹쓸 적들이 영영 물러갈 것을 기원하며 고려 현종 13년(1022년) 월악산 사자빈신사에 구층 석탑을 세웠다‘고 적었다

여기서 모하는 짓이야!

답사를 하면 여기저기 많이 다닌다. 답사를 하는 사람들은 똑 같은 거리를 걷는다고 해도, 그냥 관람을 하는 사람의 세 배를 더 걸어야 한다. 그만큼 여기저기를 자세히 보기 위해서는 쉴 새 없이 걸음을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금 바쁘게 돌아다니는 날은 아침부터 해가 지기 전까지 14시간 이상을 쉬지 않고 걷기도 한다. 그만큼 열심을 내지 않으면 문화재 답사는 의미가 없다.

문화재가 꼭 사람들이 많이 보는 곳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어느 문화재는 사람들의 발길도 끊기고, 산 속이나 사람들이 찾지 않는 곳에 있기도 하다. 제천 한수면 송계리에 소재한 보물 제94호인 사자빈신사지석탑을 답사하러 가는 길에 덕주산성의 문이 보인다. 문을 촬영하려고 위로 올라가 보니, 누각의 문이 닫혀있다. 산성의 문은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곳이 아니면 일반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다.

상층기단에 조성된 사사자 상은 내 마리가 모두 다르게 조형이 되었다

안으로 들어가려고 보니 안에서 기척이 난다. 문을 열고 들어가니, 세상에 이런 황당한 일이. 남녀가 둘이 부둥켜안고 뒹굴고 있다. 참으로 난감한 일이다. 순간 화가 치민다. “이 사람들 문화재 안에서 지금 모하는 짓거리야?” 순간 두 사람도 놀랐는가 보다. 사람들이 다니지 않는 곳이다 보니, 그 안에서 둘이 사랑이라도 나누려고 했는지. 여자가 황급히 옷을 추스르고 얼굴을 가리고 도망을 가버린다.

마침 밑에는 동행을 한 일행이 기다리고 있었다. 남자도 얼굴이 벌겋게 변해 어쩔 줄 모른다. 생각 같아서는 그냥 한 대 쥐어박고 싶다. 문화재 안에서 이런 짓을 하면 안 된다고 타일러 보내고 나니 기가 막히다. 어쩌면 이것이 우리들이 알고 있는 문화재에 대한 상식인지도 모른다.

빈신사지 석탑의 상층 기단 중앙에 있는 비로자나불

사진을 찍고 내려오니 일행이 무슨 일인가 묻는다. 여자가 황급히 내려와 차를 몰고 가버렸다는 것이다. 어찌된 일인지를 이야기를 했더니, 어이가 없어 그냥 웃고 만다. 이런 황당한 짓을 한 사람들이 왜 생겨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이란 생각이다. TV광고로 아무리 문화유산이 소중하다고 이야기를 해보았자, 누가 그것을 눈여겨 볼 것인가? 어릴 적부터 우리문화재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을 것이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