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리티지 소개 영상물 화면 캡쳐 / 동영상 보기 => http://vimeo.com/28499223

 

언젠가 문화재청에 문화재 영상을 올리는 헤리티지 채널이라는 곳에서 연락이 온 적이 있다. 문화재답사를 하는 블로거를 찾다가 나를 취재해서 올리겠다는 것이다. 남을 취재하고 남을 찍을 줄만 알았지 내가 찍힌다는 것은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선뜻 대답을 할 수가 없었다.

 

그 때 카메라를 메고 나타난 PD가 한 이틀을 찍어야 한다고 했다. 결국엔 3일이 넘게 찍었지만, 그 첫날인가 답사지에서 나에게 질문을 했다. ‘문화재를 답사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존재감이라고 대답을 했다. 나에게 있어 문화재란 수천 년 전과 현대를 이어주는 존재이다. 그 존재라는 것이 결국 나를 있게 한 계기였다고 생각을 한다.

 

 

문화재답사가, 딱 망하기 좋은 직업

 

남들은 쉽게 이런 이야기를 한다. ‘그렇게 답사를 나가서 많은 것을 보니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부럽네요.’라고 말이다. 하지만 이런 말은 그냥 흘려버리고 만다. 부러울 것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문화재답사라는 것이 그냥 찾아가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답사에는 그만한 고통이 수반된다. 그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정말 한가한 사람이 하는 짓거리 정도로 보일 수가 있다.

 

문화재답사를 나가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우선 내가 어느 지역을 찾아간다고 하면, 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를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우선 내가 무엇을 돌아볼 것인가에 대한 동선을 파악해야 한다. 12일 정도로 떠나는 짧은 기간 중에 가장 많은 것을 돌아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답사 현장을 나가면 그냥 돌아다녀서 될 일이 아니다. 우선은 기름 값만 해도 만만치가 않다. 멀리 나갈 때는 하루에 300km 이상을 돌아야 한다. 그것만이 아니다. 먹고 잠을 자야한다. 그런 경비가 만만치가 않다. 예전 같으면 12일에 10~15만 원 정도가 소요가 됐다. 하지만 지금은 그 두 배 이상의 경비가 필요하다. 문화재답사가란 하면 할수록 망해가는 직업이다.

 

문화재는 보는 것이 아닌 느끼는 것

 

그렇게 망해가는 지름길인 문화재답사를 왜 하느냐고 묻는다. 앞서 말했듯 그것은 바로 존재감이다. 그곳에 천년 혹은 그 이전부터 누군가 장인에 의해 조성이 된 문화재. 그 곳을 찾아가면 그 장인의 존재를 알 수가 있다. 그리고 그 문화재가 왜 거기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알 수가 있다. 그런 것이 바로 존재감이다.

 

 

가끔 문화재를 찾아가면 이런 글을 본다. ‘손을 대지 말고 눈으로만 보세요.’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물론 문화재란 눈으로 감상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문화재는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닌,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다. 내가 많은 사람들이 함께하는 문화재 답사를 가지 않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문화재를 느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문화재에 대한 학술적인 설명은 인터넷 검색 하나면, 해설을 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양의 지식을 만날 수가 있다. 그런데 시간을 허비하면서 그런 것을 들어야만 할까? 그런 시간이 정말 아깝다. 그야말로 눈으로만 보는 시각적인 답사로 끝나는 문화재 답사가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인가?

 

 

문화재를 만나면 그 문화재에 얽힌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가끔은 전혀 듣지도 못한 이야기를 주변에서 들을 수가 있다.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그 주변의 주민들을 만나는 이유가 바로 그런 것이다. 눈으로 본 문화재를 마음으로 느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남들이 고통을 모르는 망해가는 지름길인 문화재답사. 이번 주말엔 또 다른 문화재를 느끼러 바람 부는 길을 따라 나서야 할 것 같다.

 

알립니다 - 사진은 헤리티지에 소개된 영상에서 캡쳐하였습니다


문화재를 답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어떤이가 나에게 질문을 한다. "문화재 답사 어떻게 해야 좋은 것인가요?"  이런 질문을 받으면 답답해진다. 문화재 답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 생각을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 문화재가 소중하고, 그 소중함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 문화재를 찾아다니기 때문이다.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게 문화재를 찾아다니다가 보니 이제는 문화재와 내가 별개의 것이 아니란 생각이다.

하지만 아직도 어려운 것은 문화재 답사를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하는 질문을 받을 떄다. 사실 난 문화재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전통문화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있다면, 내가 전공을 한 우리 음악이다. 중학생 때부터 시작한 국악이 전공이다. 지금은 국악고등학교와 중학교가 구분이 되었지만, 예전에는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라고 하여서 중, 고 과정 6년제 학교를 다녔기 떄문이다.


문화재 답사 참 힘들다.

전통문화, 문화재, 참 어렵다. 그것을 지킨다는 것도 어렵고, 그것을 찾아 전국을 누빈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찾아다니고, 그것을 글로 써야하고. 내가 문화재를 찾아다니면서 글로 쓰는 것은 문화재의 면목을 쓰는 것이 아니다. 그 문화재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을 때의 느낌을 적는다. 물론 그 중요한 것은 알리지만.

찾아가고, 그것을 자료로 담아내고, 정리를 하고, 글을 쓰고. 남들은 참 쉽게도 글을 쓴다고 한다. 하지만 문화재 하나를 접할 때마다, 그 느낌이 다르니 정리를 할 떄마다 난감할 때도 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표현을 해야 할지가. 그저 자료에 있는 그대로를 적는다면 쉬울 텐데, 일일이 느낌을 적는다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글이라도 잘 쓴다면 좋으련만, 글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니 더욱 어렵다.


문화재 답사 저는이렇게 합니다. 

1. 정보를 미리 파악한다.

어느 지역에 문화재 답사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정보를 파악한다. 지자체 홈페이지를 들어가 '문화관광'을 찾아보면 그 지역의 문화재를 소개하고 있다. 그곳에서 내가 찾아볼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아두고, 어디에 있는지 꼼꼼하게 메모를 해둔다. 그런 다음에는 어떻게 해야 가장 짧은 시간에 더 많은 문화재를 둘러볼 수 있는지, 동선을 정한다. 그렇게 준비를 하지 않으면 하루에 많은 것을 돌아볼 수 없기 떄문이다.

2. 안내판을 중요시 한다.

문화재는 모두 안내판이 있다. 그것이 어떤 종류인지, 그리고 언제 만든 것인지 등이 안내판에 적혀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문화재의 특징 등도 자세히 설명이 되어있다. 이런 것을 미리 파악하고 난 뒤, 내가 어떻게 자료화 할지를 정하는 것이다. 안내판을 미리 보지 않는다면,무엇이 중요한지를 알 수가 없다. 그런 경우 자료를 만들려고 보면, 중요한 것을 빠트릴 수 있기 때문이다.

3. 부분부분 세심하게 살펴본다.

문화재는 어느 시기에 만들었느냐에 따라 그 특징이 있다.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것을 알지 못한다면 쉽게 접근을 하게 된다. 그러나 문화재 하나마다 특징이 있고, 그 특징을 알아내지 못한다면 답사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하기에 작은 부분 하나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예를 들어 탑이나 부도 등에 조각이 있다면, 그 조각 하나하나를 모두 담아내야만 한다. 탑 하나를 자료로 담아내도 적게는 20여장, 많게는 50여장의 사진을 찍어야 한다.

4. 느낌을 메모한다.         
      
어느 문화재를 보던지 첫 느낌이 중요하다. 문화재의 가치는 국보나 보물, 아니면 지방 유형문화재 등으로 따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정하기 나름이지만 그것이 가치의 척도가 되지는 않는다. 문화재라는 것 하나 만으로도 소중하기 때문이다. 하기에 문화재를 처음 접할 때의 느낌이 가장 중요하다. 그 느낌을 메모해야 한다. 소개를 할 떄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준비를 한다면, 문화재 답사에 맛을 들이게 된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소개하면서 그저 여기저기 나도는 자료를 이용한 글을 써댄다면, 그것이 올바른 문화재 소개일까? 항상 조심스런 마음을 갖는 것은 그런 문화재 소개가 될까봐서다. 우리 모두가 문화재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언제인가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우리 곁을 떠날지도 모른다. 문화재는 우리 것이 아닌, 우리 후손들의 것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문화재답사를 하다가보면 많은 사람들이 글을 올리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문화재에 대한 글을 쓰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자료를 인용해, 자신이 찍은 사진과 함께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몇 몇 사람 전문적인 문화 블로거들 만이 그 문화재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적는다. 그러한 글들이 사실 우리문화재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본다.

가끔은 답사를 하다가 만나게 되는 분들이 있다. 우리 문화재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이다.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될 수 있으려나 해서, 약간의 상식을 이야기를 하다가 보면, 이런 질문을 받는다. ‘왜 같은 문화재를 보고도 그 쓰는 분들의 느낌은 다르냐’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 가장 즐겁다. 왜냐하면 그만큼 많은 글을 읽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바위의 끝에 선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충남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는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마애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보물 제407호인 이 마애여래입상의 윗부분은 바위 위로 솟아있으며, 그 주변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마애불의 상체부분은 돋을새김을 하였으며, 밑으로 내려가면서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다.

이렇게 얼굴부분을 돋을새김을 하는 조각은 고려 후기의 거대마애불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거대마애불답게 이목구비가 큼직한 이 마애여래입상은 양감이 있는 넓적한 얼굴에 가는 눈이 끝이 위로 치켜져 조금은 날카로워 보인다. 커다란 코와 작은 입은 이 마애불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경직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목은 짧으며 삼도는 가슴께로 내려와 이러한 거대마애불을 조성할 당시 어려움을 알게 한다. 옷주름은 굵게 표현을 하였으며 두 손은 가슴께로 들어 올렸는데, 왼손의 손바닥은 위로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인의 모습은 고려시대 유행하던 미륵석불의 손모양이다. 충남과 충북, 전북 지방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 미륵입상의 한 유형이기도 하다.

왜 느낌을 다르게 적을까요?

참 어려운 질문이다. 왜 그렇게 보이는 것일까? 같은 불상을 보면서도 누구는 인자하디고 하고, 누구는 강직되었다고 표현을 한다. 그런가하면 누구는 편안 상이라고 하고, 누구는 무섭다고 한다. 왜 그렇게 서로 다른 느낌을 받았을까? 그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 보는 사람이 어떻게 느꼈는가는 그 본인의 심성이기 때문이다.


어느 방향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 아마 햇빛으로 인한 것이란 생각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문화재, 특히 불상의 경우에는 보는 방향, 보는 시간, 그리고 보는 이의 심성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한다.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방향에 따라 그 느낌이 전혀 다르기도 하다. 또한 보는 방향을 어느 편으로 잡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사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얼짱각도’의 원조는 이미 예전부터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불상을 조각한 장인들은 그런 것에도 마음을 쌌던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문화재를 접하다가 보면, 장인들의 마음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어떻게 해의 비치는 각도까지 계산에 넣고 조각을 한 것인지.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오후 5시경 저녁 해가 비칠 때의 모습은 정말로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근엄함 가운데 인자함이 배어있다. 그렇게 변화되는 모습에 빠져 전국을 돌아치는 것이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