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 도계읍 신리에 있는 중요민속문화재 제33호인 신리너와집은 조선시대에 지어진 너와집이다. 이곳의 너와집은 강문봉, 김진호, 윤영원씨 등이 소유하던 집들이 있으나, 신리의 너와집은 '김진호 가옥'이란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너와집이란 굵은 소나무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지붕을 얹고, 용마름 부분에는 굴참나무 껍질을 넓게 벗겨 올린 집이다. 너와집의 지붕 위에는 나무를 고정시키는 통나무를 가로 지르며, 돌들을 함께 올려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았다.

 

지붕은 산간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소나무와 전나무를 길이 40~70cm, 80~110cm 정도로 자르고 넓이는 30cm, 두께는 3~5cm 정도로 나무결에 따라 잘라, 기와처럼 지붕 아래쪽부터 놓아 올라간다.

 

 

몇 채 남지 않은 너와집

 

1970년 대 초까지만 해도 너와집은 여러 종류가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개조되어 현재 문화재로 지정된 집만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김진호의 너와집은 150여 년 전에 지어진 집으로 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집 역시 지붕에 까치구멍을 뚫었다. 전체적으로는 ㅁ 자 형태로 집을 구성하였는데, 정면과 측면 모두 세 칸으로 꾸며졌다.

 

방의 부분만 흙담으로 두르고 나머지는 판자벽으로 둘렀다. 밖으로는 대문 곁 좌측에 나무판자로 담을 두른 변소를 두었다. 변소는 양편에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밑으로는 공간을 내어 놓았다

 

 

 

 

 

대문을 보고 우측으로는 판자벽 상단에 까치구멍을 내어 놓았다. 판자 한 장을 잘라내어 낸 까치구멍과 두 곳의 구멍이 나 있다. 우측으로 돌면 작은 문이 있고, 방문이 나 있다. 그리고 벽의 뒤편으로는 작은 창문이 나 있어 환기를 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집 뒤로 돌아가면 두 개의 방에 연결한 판자굴뚝이 서 있다.

 

대문 좌측으로 돌면 판자벽으로 막았는데, 안쪽은 외양간이다. 외양간 벽 아래쪽에는 작은 널판 문을 내어 놓았다. 방문은 작게 만들었는데, 앞으로는 길게 툇마루를 놓았다. 사면이 모두 막혀 있어 문을 통해서만 안으로 출입이 가능하다, 아마 이렇게 막혀진 네모난 공간 안에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너와집이라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네모난 공간 안에서 주거생활을 하다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앞면 왼쪽에 외양간, 오른쪽에 부엌을 놓았다. 대문을 들어서 안쪽 트인 공간 중심에 마루가 있는데 마루를 중심으로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흙바닥인 봉당을 두고 왼쪽이 사랑방, 오른쪽 부엌과 접해 있는 방을 안방으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샛방과 도장방 등을 두었다. 외양간과 부엌 사이의 공간은 집안 일을 할 수 있도록 꾸몄으며, 한쪽에 불씨를 보관하던 시설(화터)이 있다.

 

 

 

 

 

사랑방 앞에는 툇마루를 놓고, 그 앞에 판자벽에도 문을 내어 열 수 있도록 하였다. 대청에서 부엌으로 나오는 벽에 구멍을 내어 놓았는데, 이 구멍으로 음식을 가까이 나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는 이곳에 등잔 등을 놓아 부엌과 안의 주거 공간에 함께 불을 밝힐 수 있도록 사용을 했을 수도 있다.

 

 

 

 

 

몇 채 남아있지 않은 너와집. 산간생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단지 문화재로 지정을 해놓고 문을 잠가놓는 것으로 책임을 다했다고 안심을 하기보다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너와집의 생활모습을 볼 수 있도록 교육의 장소로 활용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개울가에 자리를 잡은 정자 하나.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런데 지붕을 보니 돌을 편을 떠 만든 너와지붕이다. 정자를 수도 없이 보아왔지만, 너와지붕은 좀처럼 보기가 힘들다.

 

그것도 나무가 아닌 점판암 판돌을 이용한 너와지붕 정자는 아마 처음인 것 같다. 그 돌의 무게를 버티기 위해서 작은 정자 안에 기둥이 더 촘촘히 서 있어, 오히려 그런 점이 이 정자의 멋을 더한다. 앞으로 흐르는 개울물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영모정은 그렇게 한가한 모습이었다.

 

 

효행을 기리기 위해 지은 정자

 

진안군 백운면 노촌리 개울가에 자리를 잡고 있는 영모정은 전면 4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효자 신의연의 효행을 기리고 본받기 위해서 고종6년인 1869년에 세워졌다. 그 뒤 몇 차례 중수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나, 자세한 내역은 알 수 없다.

 

현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정자 안으로 들어가니 누정의 남쪽내부 중앙에는 永慕亭과는 달리 '永碧樓'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있어, 이 정자의 아름다움에 많은 사람들이 취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상량문은 가선대부 이조참판을 지낸 윤성진이 지었으며, 『진안군지』에 영모정기가 게재되어 있다.

 

 

귀부를 주추로 산은 영모정

 

영모정 아래로 내려가다가 보니 정자의 아랫부분 네 기둥에는, 거북머리 모양의 원형주춧돌을 사용하고 있다. 아마 물가에 있기 때문에도 그리했겠지만,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음이 아니겠는가? 개울가로 향한 정자 정면에 있는 4개의 평주는,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건립된 까닭에 다른 것 보다 1m정도 더 내려와 있다.

 

개울을 건너 영모정을 바라다본다. 개울 물속에 또 하나의 영모정이 드리워져 있다. 건너편에서 바라본 영모정은 주변 경관과 어울러져 더욱 아름답다. 이런 절경 속에서 정자에 올라 그 아름다움에 취해다보면, 저절로 마음이 편안해질 것 같다. 그래서 신의현의 효행을 본받을 수 있지는 않았을까? 녹음이 짙게 드리워지면 이곳을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아마 지금보다 더 멋진 영모정이 기다리고 있지 않겠는가?

 

차가운 바람에 개울물에 빠지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아주 가끔은 황당한 일을 당하기도 하고, 때로는 곤욕을 치루기도 한다. 영모정을 찾았을 때도 참으로 민망한 꼴을 당한 셈이다. 지금 생각하면 그저 웃어버릴 수 있는 일이었지만, 당시는 보는 이들도 없는데도 낯이 벌겋게 달아올랐다. 아마도 한 겨울이었다고 한다면, 다시는 답사를 하지 않겠다는 이야기까지 나왔을 것이다.

 

영모정을 촬영하다가 보니, 괜한 욕심이 난다. 바로 내를 건너가서 물과 함께 사진을 찍겠다는 욕심을 낸 것이다. 가을이라면 개울물에 아름답게 단풍이 함께 느리고 있어서 그렇다고 하겠지만, 삭막한 가지에 잎도 없는 모습을 찍겠다고 마음을 먹은 것인지. 주변을 둘러보아도 마땅히 건널 길이 보이지 않는다.

 

 

할 수 없이 물이 조금 흐르고 있는 방둑처럼 생긴 위로 조심스럽게 건너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런데 이런 곳엔 상당히 미끄럽다. 조심을 한다는 것이 오히려 긴장이 되었나보다. 그만 발이 미끄러지면서 엉덩방아를 찧었다. 그것도 물속으로. 그 중에도 카메라가 젖었을까봐 걱정을 하고 있었다니. 참 답사는 가끔 사람을 이렇게 이상하게 만드는가 보다.

 

영모정을 아마 앞으로도 두고두고 잊지 못할 것만 같다. 물속에 비친 그림자며, 귀부처럼 생긴 주춧돌이며, 또 돌로 뜬 너와지붕까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