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참 빠르다. 누군가 살같이 빠른 세월이라고 하더니 그 말이 정말인가보다. 나이가 먹어 그저 무엇인가 좀 달라지고 싶다는 생각에, 담배를 멀리하자고 생각을 했다. 그리고 벌써 한 달이 지났다. 아무 의미도 없이 한 일이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아무 의미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어느 날 아침에 눈을 뜨고 습관처럼 냉수를 한 잔 마시고 난 뒤 담배를 입에 물었다. 불을 붙이려고 하는데 갑자기 담배에서 냄새가 난다. 순간 그 냄새가 나에게서 나는 냄새라는 것을 알았다. 나이가 먹으면 아무리 정갈하게 몸을 간수한다고 해도, 몸에 배어있는 냄새를 가시게 할 수는 없는 것인가 보다.

 

 

담배 하나 안 피우는데 시간은 왜 이리 남아?

 

그 자리에서 담배를 끊어야겠다고 생각을 했다. 그리고 한 달이 지났다. 그런데 정말 이상한 것은 아침마다 시간에 쫒기는 일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냉수 한 잔 마시고 담배 한 대 피우면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일을 하다가도 담배를 피우려고 하면 또 10분을 허비해야 한다. 그렇게 하루에 두 갑 정도의 담배를 피웠다. 그 시간이 온전히 남아도는 것이다.

 

정말 몰랐다. 담배 하나를 멀리하면 그 시간이 온전히 나에게 남아 돌아온다는 사실을. 그런데 정작 그것보다 더 좋은 것은 주변에서 나는 냄새가 사라졌다는 갓이다. 담배를 피울 때는 혹 나에게서 냄새는 나지 않는지, 집안 어디에서 담배냄새가 배어 있지는 않은지를 걱정해야 했다. 하지만 이젠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우선 그것 하나만 해도 하나의 올무를 벗어난 셈이다. 그리고 마음이 한결 편안해졌다.

 

 

담배와 함께 술까지 줄어

 

담배를 끊었다고 했더니 주변에서 모두 의아해 한다. 그도 그럴 것이 40년간을 입에 달고 있던 담배가 아니던가? 세상없어도 담배를 끊지 않겠다고 하던 사람이다.. 농담 삼아 말하길 술 끊으면 일망(一亡), 담배 끊으면 이망, 여자 끊으면 삼망이고 그 다음은 사망(死亡)’이라고 이야기를 했으니 말이다.

 

주변에서도 이해를 하지 못하겠단다. 무슨 담배를 그렇게 쉽게 끊느냐고. 그런데 쉽게 끊은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그저 피우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그것을 실행에 옮겼을 뿐이다. 그런데 담배를 멀리하면서 술도 점차 멀어지기 시작했다. 술맛이 사라진 것일까? 역시 술과 담배를 붙어 다녀야 제격인가 보다.

 

 

이제 취미생활 하나 마련해볼까?

 

하루를 보내다가 보면 예전보다 하루에 두 시간 정도 여유가 생겼다. 같은 일을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마음에 여유가 생긴 것이다. 5일 취재를 하고 기사를 써 놓고 지인과 함께 가까운 낚시터를 찾아갔다. 휴가철이라 평일 낮인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꽤 자리를 차지하고 앉았다. 불과 세 시간 정도 낚싯대를 느리고 앉았다.

 

큰 것은 아니라고 해도 20cm 정도의 붕어가 곧잘 물린다. 아마 한 열 마리 정도는 물렸는가 보다. 주변 사람들보다 유별나게 입질이 잦다. 누구 말마따나 손 맛 한번 제대로 본 셈이다. 물린 것이야 그 자리에서 다 풀어주었지만 그래도 이렇게 여유를 부릴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좋은가?

 

 

아무래도 형님 취미생활 하나 마련해야겠어요. 무엇이라도 이젠 좀 즐길 수 있는 것 하나 마련해보세요. 연세도 있으니까 그렇게 즐기면서 살아도 되잖아요. 그동안 너무 빡빡하게 살아오셨잖아요.”

동행을 한 지인의 이야기다. 그것도 좋겠다고 생각을 한다. 내일은 보따리 하나 걸머메고 바람 따라 길이나 떠나볼까?

12월 2일 오후 밖을 내다본다. 금요일 오후라 그런지 사무실 앞 도로에 많은 차들이 밀린다. 산업도로인 이곳은 가끔 이렇게 줄지어 선 차량 행렬을 보게되는 곳이다. 그런데 그 많은 차 중에 이상한 차 한대를 발견했다. 바로 음식물을 나르는 차량이다.

'잔반'이라는 용어를 써야하는지, 아니면 '음식물쓰레기 운반차량'이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다. 가득 음식물을 담은 드럼통들이 짐칸에 실려있다. 그런데 그 통에 하나같이 뚜껑이 없다. 그것을 보다가 괜한 상상을 한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만일 저 차가 접촉사고라도 난다고 하면, 도댗체 그 일대는 어떻게 될 것인가?



지금은 다행히 날이 추워 냄새가 그리 심하지는 않겠지만, 날 더운 여름철에 저렇게 뚜껑도 없이 시내를 질주한다면, 그 심한 악취는 어떻게 할 것인지? 이런 것 하나 제대로 단속하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다. 아무리 남은 음식물을 처리하기 위한 운반이라고 하지만, 이런 것은 보기가 그리 아름다운 풍경이 아니다.      
벌써 일 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그리고 남은 것은 장식장에 가득한 CD뿐이다

햇수로는 9년이 되고, 제대로 생활을 한 것은 7년 정도가 되었나보다. 그동안 플래닛에서 블로그로 넘어오고, 또 다시 티스토리를 했다가, 피치못 할 사정으로 인해 티스토리를 접었다가 다시 시작한 것이. 벌써 강산이 한 번 정도가 변할만 한 시간이었다. 아마도 구불거리며 잘 흐르던 4대강이 직강으로 변한 것이, 그 중 가장 큰 인위적인 자연의 변화였다는 생각이다.  

그 4대강 때문에 여강 길을 참 많이도 걸었다. 아름다운 모습을 잃어버리기 전에 눈도장이라도 찍어 두겠다고. 이젠 별로 가고 싶지도 않은 강길이 되어버렸지만. 지금 강 이야기를 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시 시작한 티스토리의 첫 번째 글을 송고한 것이 2010년 8월 2일이었다. 공주 공산성 안에 있는 '만하루와 연지' 이야기를 송고한 날짜가. 그리고 1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그동안 463개의 글을 써 갈겼으니, 참 주인 잘못 만난 팔이 엄청 고생했다는 생각이다.

2010년 8월 2일에 송고한 공산성 안 만하루와 연지의 모습이다. 앞으로는 금강이 한창 파헤쳐지고 있었다.

그리고 1년. 그동안 늘어난 것이라고는 장식장에 가득한 CD뿐이다. 아마도 어림잡아 300여장 정도는 더 늘어났는가 보다. 이제 자리가 부족해 또 하나의 장을 사야할 지경이니 말이다. 1년 동안 현장을 돌아다니며, 문화재 답사를 한 것이 40여회. 날로치면 일 년 365일 중에 거의 80일 정도를 전국의 문화재를 찾아 발품을 팔았다. 

그 발품의 흔적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허름한 장식장. 그 장식장을 보면서 배를 두드릴 때도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작은 배를 두드릴 때가, 아마 이 짓거리를 하면서 가장 좋은 세월이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그러나 이제 그 잠시의 좋은 세상은 물 건너 가버렸다. 지금은 온통 역한 땀 냄새에 주린 배를 움켜쥔, 허름한 인간 하나의 모습이 보일 뿐이다.


답사들 한 번 나가보시려우? 

오늘 아침도 여느 때와 다름없이 길을 나섰다. 청도에 있는 운문사를 찾아가기 위해서이다. '스님짜장'을 봉사한다고 가는 길이지만 , 그 곳에 있는 많은 문화재를 접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문화재 하나를 더 볼 수 있다는 즐거움은 늘 마음을 설레게 만든다.

아침에 길을 나설 때는 그 좋던 날씨가, 청도에 다다르자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참 날씨마져 날 도와주지 않는다. 비를 맞으며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이미 땀인지 빗물인지 구별도 안된다. 물신 땀 냄새가 나는 사람을 누가 좋아할까? 관광을 온 듯한 젊은 여인네들이 옆으로 지나가면서, 코를 막고 고개를 돌린다. 몸이 뜨겁다보니 땀 냄새가 역했나보다. 나라도 그랬을 것이란 생각이다. 그래도 그렇지, 은근히 화가 치민다. 한 마디 불거진 소리를 뱉어낸다.

"당신들도 이 복중에 문화재 답사 한 번 나가보시려우. 땀 내 안나나"

도대체 무엇하려고 이 고생을 사서할까? 그동안 모아 놓은 자료만 해도, 앞으로 10년 넘게 편안히 앉아서 글을 쓸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될 것을. 시간버리고 돈 버리면서, 거기다가 몸까지 축내가면서 이 짓을 왜 하고 있는 것일까?


돌아오는 내내 생각을 해본다.

'나는 왜 이 짓을 하는 것일까?'
'이것으로 인해 나에게 남는 것은 무엇일까?'
'
문화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이 속에서 과연 글은 써야만 하는 것일까?'

이런저런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대답은 없다. 그저 지나가면서 코를 잡고 고개를 돌려버린, 어느 여인의 눈초리만 자꾸 생각이 날 뿐이다. 이제 이 짓도 그만두어야 할까? 그런 생각이 이 무더운 복중에 날 괴롭힌다.  하기야 그 분은 아무런 잘못이 없다. 비와 땀이 함께 범벅이 된 내 몰골이 이상했을 뿐이지. 그래도 찜찜한 기분은 영 가시지를 않는다.

예전에는 ‘동동구루무’라는 것이 있었다. 여자들이 즐겨 쓰던 화장품이다. 지금으로 따진다면 ‘동동’은 그 제품의 명칭일 테고, ‘구루무’란 크림을 말하는 것이란 생각이다. 이 동동구루무에 대한 그리움은, 아마 지금 70~80대 정도의 아르신이라면 한두 가지 재미난 일화쯤은 기억하고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이제는 내 나이도 60이 지났지만, 어릴 적 어머니의 화장대 앞에 놓인 동동구루무를 본 기억이 난다. 그러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그 구루무 통이 자취를 감추고, 당시 말로 꼬부랑글씨가 쓰인 화장품이 떡하니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러고 보면 이 동동구루무가 사라진지도 꽤 오래되었다는 생각이다.

2004, 9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영화 속에서나 나올만한 장면

동동구루무 한 통만 사면
온 동네가 곱던 어머니
지금은 잊혀진 추억의 이름
어머님의 동동구루무
바람이 문풍지에 울고가는 밤이면
내 언 손을 호호불면서
눈시을 적시며 서러웠던 어머니
아~ 동동구루무

김용임이라는 가수가 부르는 ‘추억의 동동구루무’라는 노래의 가사이다. 예전에는 이 동동구루무가 여성들에게는 꽤나 호사스런 품목이었던 것만 같다. 가끔은 퇴색한 영화 속에서 장에 나갔던 돌쇠녀석이, 세경을 받은 돈으로 동동구루무 한 통을 사오는 모습이 그려진다. 물론 그 동동구루무는 돌쇠가 연모하던 마을 양반집의 여종인 옥분이에게 건너갔을 테고.


인터넷검색으로 찾아낸 이미지

동동구루무 한 통을 받은 옥분이는 그동안 벌처럼 돌쇠만 보면 쏘아대던 말투가, 얼굴에는 가득 미소를 띠면서 고분고분해졌을 것이다. 이런 추억을 가진 동동구루무는 꽤 오랜 시간동안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것 같다. 동동구무루란 명칭도 아마 화장품을 팔고 다니던 장사꾼의 모습 때문에 나온 이름인 듯하다.

등 뒤에 짊어진 북소리 ‘둥둥’

어릴 적에 마을로 돌아다니면서 동동구루무를 파는 장사를 본 적이 있다. 1950년대야 지금처럼 대형 슈퍼마켓 등 종합적인 물건을 파는 곳이 없었다. 그저 마을마다 몇 개씩 있는 ‘○○상회’ 혹은 ‘○○상점’이라는 간판을 단 구멍가게들이 다였으니까 말이다. 이때는 간장과 같은 찬거리며, 이것저것을 팔러 다니는 장사들이 연신 마을을 돌아칠 때다.



아마 당시에는 이 동동구루무만큼 인기가 있었던 상품도 그리 흔하지가 않았다. 등 뒤에는 대북을 메고, 손에는 작은 북이나 하모니카 등을 들고 다닌다. 북소리가 나면 여기저기 흩어져 놀고 있던 아이들이 쫒아와, 그 뒤를 졸졸 따라다니기도 했다. 마을의 아낙네들이 몰려나오면, 용기에다가 듬뿍 큰 통에 든 구루무를 퍼 담아 주기도 했다. 벌써 그런 모습을 본 것이 50여년이 훌쩍 지나버렸으니, 이도 당시의 신풍속도였다는 생각이다.

어머니의 정이 그리운 동동구루무

한 겨울에 찬바람이라도 나가서 쏘이고 들어오면, 어머니는 당신이 아끼시던 동동구루무를 듬뿍 손에 발라 비벼주시고는 했다. 그 냄새가 그때는 왜 그리도 좋았는지 모른다. 아마 그 냄새는 당시 일을 하느라 땀에 절어버린 어머니의 냄새와 함께, 지금도 기억을 할 만한 나름의 포근한 어머니의 냄새를 만들어 냈던 것 같다.


요즈음 여인들은 동동구루무라고 하면 싸구려 화장품으로 생각을 하겠지만, 당시의 동동구루무는 아무나 쓸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는 생각이다. 그 구루무 한 통에 수많은 사연이 담겨있었기 때문이다. 구루무 한 통으로 사랑을 얻기도 하고, 많은 눈물도 흘렸기 때문이다. 연일 영하로 떨어져 올라갈 줄 모르는 날이 계속돼서인가? 어머니의 동동구루무가 그리운 날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