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들의 공간인 '내당'과 '내별당'

99칸 양반집의 특별함은 바로 내, 외의 구분이 명확하다는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만나게 되는 줄행랑과 바깥사랑채. 그리고 그 사이에 난 작은 문을 통해서 뒤편으로 나가면 만나게 되는 큰사랑채와, 담 너머에 있는 외별당까지가 바로 남자들만의 공간이다.

그와는 달리 중문을 들어서면 안행랑채와 안채인 내당, 그리고 내당 뒤에 자리한 내별당과 안초당은 여성들만의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2월 18일 찾아간 한국민속촌의 22호집인 99칸 양반집. 그 네 번째로 여성들만의 공간인 안채인 ‘내당’과 내당 뒤편에 초가로 마련한 ‘내별당’을 둘러본다.


여러 개의 방을 드린 내당

99칸 양반집의 내당은 한 마디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택의 안채와는 차이가 난다. 일일이 돌아보기에도 꽤 시간을 필요한 건물이다.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높직하니 올라앉아 안행랑과 구별을 하였다. ㄱ 자로 지어진 내당은 벽면에 십장생을 조각할 정도로 공을 들인 집이다.

이 내당은 안주인은 물론, 여성들만의 생활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이곳에서 안주인은 손님들(여성)을 맞이하거나, 여가활동 등을 즐기던 곳이다. 한 마디로 여성들만의 가정사와 문화적인 면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이 99칸 양반집의 내당은 중부지방의 특징을 잘 보이고 있으면서, 안방 뒤편에 위방을 달아낸 형태이다. 집은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큰 안방과 여러 개의 위방을 두고 있다. 서편에는 방을 두고 다음에 대청을 두었으며, 꺾인 부분에 큰 안방을 놓았다. 안방의 남쪽으로는 건넌방과 부엌을 달아냈다.



이 내당의 특징은 바로 안방 뒤편에 마련한 방들이다. 뒤편을 돌출시켜 모두 세 개의 작은 방을 꾸며 놓았다. 그리고 안사랑채에서 연결하는 통로인 회랑이 이곳 내당의 뒤편으로 연결이 되도록 하였다.



각별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안별당

안채인 내당의 뒤로 돌아가면 계단을 쌓고 조금 높게 협문을 내어 놓았다. 그 협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 내별당. 99칸 양반집에서 모정을 제외하고는, 이 내별당과 안초당만이 초가지붕이다. 내별당은 모두 다섯 칸으로 꾸몄으며, 두 칸씩의 방과 동편에 한 칸의 마루방이 있다.


내별당은 내당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어 은밀하다. 이 내별당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내당의 뒤편으로 돌거나, 아니면 안사랑의 회랑을 통해 다시 땅을 밟아야만 한다. 이곳은 내당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한 곳으로, 내당 마님이나 귀한 손들을 맞이하고는 하던 곳이라고 한다.



외별당이 연희를 하거나 각별한 남자 손님들을 맞이하기 위한 곳이라면, 이 내별당은 안당마님의 특별한 공간으로 사용이 되었을 것이다. 담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는 외별당이, 북쪽으로는 내별당이 자리하고 있는 수원 신풍동 99칸 양반집. 이 내당과 내별당에서 그 대단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가 있다.

안사랑 및 안행랑

도대체 얼마나 많은 식솔들을 거느리고 살았던 것일까? 용인 한국민속촌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중부지방 양반가인 99칸 수원 남창동 집을 돌아보면, 그야말로 점점 더 이 집의 크기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된다. 대문채인 행랑채를 들어서 바깥마당을 가로질러 중문에 들어서려면, 그도 가까운 거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중문을 들어서면 일반적으로 중문채라고 한다. 원래 이 중문채에는 집의 살림을 맡아하는 마름이나 부엌살림 등을 하는 여인들이 묵는다. 이 99칸 집의 중문채를 들어서면 좌우로 길게 안행랑이 늘어서 있다.



대단한 세도가임을 알 수 있는 안사랑과 안행랑

이 집의 주인이 당시 얼마나 세도를 부렸는가는, 이 안행랑과 안사랑에서 알 수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좌우로 펼쳐진 방과 광들이 즐비하다. 그리고 좌측 초당을 들어가는 문 입구에는 장독대가 자리를 잡고 있다. 우측으로는 ㄱ 자로 꺾어 안사랑을 달아냈다. 안행랑과 이어진 안사랑은 살림을 물려준 노모나 자녀들이 묵는 곳이다.

워낙 큰살림인지라 일을 하는 사람들도 만만치 않았을 듯하다. 이 99칸 양반집에서는 남자들은 안행랑의 출입을 허용하지 않은 듯하다. 물론 주인과 가족들이야 드나들었겠지만. 이곳 안행랑에는 유모나 찬모, 침모 등이 묵었다고 한다. 집의 넓이로 보아 한 두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다. 광과 늘어선 방들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이 안행랑은 안채와 연결이 되어 - 자로 늘어서 있다. 방과 광들을 드렸으며, 많은 곡식과 물건 등을 쌓아두었던 곳이다. 안사랑은 노모가 자리를 하고, 자녀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안행랑의 앞에는 툇마루를 두지 않았다. 안사랑은 행랑과 붙어있으나, 툇마루가 놓인 것들이 구별이 지게 하였다.

회랑을 통해 내당으로 갈 수 있어

안사랑의 북쪽에 보면 회랑이 보인다. 이 회랑은 복도를 통해 내당으로 들어갈 수가 있다. 땅을 밟지 않고 안사랑에서 내당을 드나들 수가 있는 것이다. 이 회랑은 이 집에서 두 곳에나 설치가 되어있다. 그만큼 대단한 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랑은 중간까지 벽을 쌓아 막았으며, 위로는 개방이 되어있다.




안사랑은 회랑과 연결이 된 곳에 방을 두고, 두 칸의 대청을 두고 있다. 그리고 방과 부엌을 드렸는데, 이 부엌의 형태도 특이하다. 문을 내달아 놓고, 그 안에 또 다시 문을 달아냈다. 그리고 툇마루를 둔, 방을 다시 드렸다. 안행랑채와 연결이 되어있기는 하지만, 그 구조가 전혀 다르다.

안행랑은 광과 방을 적당히 연결을 하고, 중간에 부엌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이 안사랑과 안행랑이 안채를 감싸고 있어, 중문을 통하지 않고는 안채로 드나들 수가 없는 집이다. 99칸 대 저택의 위용을 볼 수 있는 안사랑과 안행랑. 여인들만의 공간인 이곳은, 그래서 더 은밀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