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12김장’ 6,000포기 담아

 

수능을 앞두고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졌다. 길을 걸어도 찬바람 때문에 절로 옷깃을 여미게 만든다. 이렇게 바람까지 부는 날 수원시에서는 사랑의 김장나눔행사를 가졌다.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에 소재하고 있는 수원시 공설운동장 한 옆에 자리를 마련하고 김장 나눔 행사를 가진 것.

 

이 행사는 수원시 새마을회가 주최를 하고 수원시 새마을부녀회가 주관을 했으며, 새마을협의회, 문고회, 교통봉사대 등이 동참을 했다. 전날 미리 절여 놓은 김장배추를 아침 일찍부터 물에 씻기 시작해, 10시 경부터 본격적인 김장을 시작했다. 수원시 각 주민센터에서 모인 500여 명의 새마을부녀회원등은 쌀쌀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비닐 등으로 몸을 감싸 바람을 막으면서 김장을 했다.

 

 

이날 김장나눔에는 모두 6,000포기 정도의 배추를 준비했으며, 20kg들이 상자 1,500박스를 만든다는 것. 이 박스들은 각 주민센터 별로 분류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렇게 많은 분들이 고생해서 만든 김장김치는 각 주민센터 별로 골고루 배분해 드립니다. 지역의 인구수와 도움을 받을 분들을 감안해 나누어 드리는 것이죠.” 김장 나눔을 주관하고 있는 담당자의 말이다.

 

 

염태영 수원시장도 동참 해

 

이날 김장 나눔 행사에는 염태영 수원시장을 비롯해, 김진우 수원시의회 의장, 박순영 의원, 한규흠 의원 등도 함께 김장하기에 동참을 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김장김치를 만들기에 앞서 오늘 이렇게 추운 날 많은 분들이 함께 동참을 해 주신 것에 대해 고마움을 전한다.”면서 맛있는 김치를 만들어 달라고 주문을 하기도.

 

차가운 날 국밥으로 점심을 먹고 있던 시민 한 사람은 우리가 이렇게 추운 날 고생을 하면서 만든 김장김치를 여러 사람이 함께 나눌 수 있다는 것이 기쁘다면서 이 정도 추위야 봉사를 한다고 생각을 하면 참을 수 있다.”고 하기도.

 

 

결혼이민자 40여 명도 함께 김장을 해

 

이 날 모인 주부들 중에는 결혼이민자 40여 명도 함께 동참을 했다. 중국에서 12년 전에 결혼을 해서 한국으로 나왔다는 양봉씨는, 그동안 시집을 와서 집에서 김장을 담가 먹었다고 하면서 올해 두 번째로 김장 나눔 행사에 참여를 했다고 한다.

 

중국 천진에서 왔다고 하는 결혼이민자인 성정씨도 저도 결혼을 해서 한국에 온지 12년이 되었어요, 한국에 와서 아직 집에서 김장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여기 행사에는 올해 세 번째 참여를 하고 있어요.”라면서 김치찌개를 잘 만들고 잘 먹는다고 대답을 한다. 잠시 사진을 찍겠다고 하니 김치까지 들어 보이면서 포즈를 취해준다.

 

 

몇 년째 이 김장 나눔 행사에 참여를 했다고 하는 장안구 연무동에서 산다는 주부 정아무개는, 이런 행사를 시 전체가 하고나면 각 주민센터 별로 또 김장 나눔 행사를 한다고 하면서

휴먼시티 수원은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매년 많은 김장을 담아 이웃과 함께 나눌 수 있어 사람이 행복한 곳입니다. 이제 시 전체가 이렇게 김장김치를 담아 배분을 하고나면, 각 주민센터마다 또 김장을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독거노인과 소년소녀가장, 그리고 어려운 이웃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드리는 것이죠.”라고 한다.

 

날이 쌀쌀한 가운데서도 나눔이라는 즐거움이 있기에, 비닐로 온 몸을 감싸고 김장을 하고 있는 사람들. 그들의 표정이 하나같이 밝은 것은 바로 나눌 수 있다는 행복함을 알기 때문인 듯하다.

 

8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를 위한 정부간위원회(12.2 ~ 7, 아제르바이잔 바쿠)김장문화(Kimjang :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에 등재키로 최종 확정하였다.

 

정부는 금번 회의에 외교부와 문화재청,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주유네스코대표부, 주아제르바이잔대사관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 파견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금번 김장문화등재 결정으로 아리랑(2012), 강강술래(2009), 판소리(2008),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8) 등 총 16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나눔과 공동체 문화 인정

 

특히, 이번 등재 결정 과정에서 24개 무형문화유산보호 정부간위원국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가정에서 전승되어온 김장을 다음과 같이 평가를 내렸다. 즉 동절기에 대비한 한국인들의 나눔과 공동체 문화를 상징하며, 사회 구성원들간 결속과 연대감 강화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부여한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겨울동안 주 찬이 되어 끼니때마다 밥상에 오르는 김장은 지난 20122월 문화재청이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90%의 한국인이 직접 김장을 담그고 있다는 답변이었다. 이것은 김장문화가 우리 사회에 오래도록 지속되어 온 공동체에 의해, 자발적으로 전승되어 왔다는 점도 금번 등재 결정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국가로서의 한국의 이미지 제고

 

그동안 외교부와 문화재청은 우리 민족의 대표적 식문화인 김장문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유네스코 사무국 및 위원국들과의 접촉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리고 이번에 김장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등재는 품격 있는 문화국가로서의 한국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는 문화 융성을 국정 기조로 표방하면서, 지구촌 행복 시대 촉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교부와 문화재청은 우수한 우리 문화를 국제 사회에 널리 알리고, 문화 다양성 및 인류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한다는 차원에서 우리 무형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추진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문화재청은 금번 등재 결정을 계기로 김장문화가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의 일부이자, 국민 생활문화로서 계속 확대, 전승될 수 있도록 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제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우리민족의 가을철 풍습으로 정착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에는 무를 소금에 절여서 구동지에 대비한다고 적고 있다. 이로 미루어 이미 고려 때에도 김장을 담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에 담그는 김장법의 원류는, 조선 후기에 수입된 고추와 깊은 관계가 있다. 17세기에 들어 문헌에 고추가 조미료로 사용된 기록이 보이기 때문이다. 17세기에 들어서 김장을 할 때 양념으로 고추와 마늘, , 생강을 사용했다는 사실이다.

 

김장을 담그는 일은 우리 민족의 가을철 풍습 가운데 하나이다. 김치는 겨울철부터 봄에 이르는 기간 동안 기본 반찬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별다른 반찬이 없고 야채 구하기가 쉽지 않던 시절에 김장을 담는 풍습은 겨울나기를 위한 첫 번째 큰일이었다. 김장을 담그는 법은 지역에 따라 또는 만드는 김치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점은 이웃간에 품앗이로 함께 모여서 담소를 즐기며 공동으로 김장을 담갔다는 점이다. 즉 공동체 문화의 상징이요, 구성원끼리의 상호 연대감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수원은 김장 나눔의 산 도시

 

지난 7일 수원의 삼성전자 한 곳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사랑의 김치담그기를 하기 우해서였다. 시가 15천만 원 상당의 배추 60,000kg을 담가, 수원의 각 기관을 통해 홀몸어르신들과 기타 김치를 담을 수 없는 가정을 돕기 위한 행사였다. 수원은 각 주민센터마다 김장 나누기 행사를 벌이고 있다.

 

이렇게 주민센터에서 주민단체에 의해 만들어진 김장은 잘 포장이 되어, 지역 내에 거주하는 홀몸어르신들과 소년소녀가장이 있는 집으로 배달이 된다. 한 겨울 우리의 대표적인 찬거리인 김장. 이번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등재 확정으로 인해, 우리의 김장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