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흔히 국보나 보물이라고 하면, 아름다운 것을 먼저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국보나 보물 중에는 상당히 많은 전각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소중한 문화재로 지정된 전각들은 거개가 절이나 궁궐, 능 등에 자리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것은 역시 사찰에 있는 전각일 것이다.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귀신사는, 신라 문무왕 16년인 676년에 의상이 처음으로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이 귀신사의 처음 명칭은 ‘국신사’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사적기 등이 전하지가 않아서 정확한 창건 년대나, 창건주를 알 수가 없다. 다만 신라 말에 도윤이 중창한 뒤, 귀신사라고 개칭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보물 제826호 귀신사 대적광전

고려 때에는 원명국사가 중창을 한 귀신사는, 임진왜란 대 전화로 폐허가 된 것을 다시 복원하였다. 고종 10년인 1873년의 일이다. 귀신사에는 중심 건물인 대적광전이 있다. 대적광전은 귀신사의 본 건물로, 현재 보물 제82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귀신사 대적광전은 사찰의 대웅전 등에서 많이 보이는 팔작집이 아닌 맞배집이다.

2월 17일, 저녁 무렵에 갈음을 재촉한 귀신사. 2월 중순의 해는 짧다. 조금만 늦으면 해가 질 것 같은 길을 재촉해 귀신사에 들렸다. 겨울의 설원 속에 있는 대적광전을 보기 위함이다. 사찰은 여름과 겨울의 풍광이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러한 것을 느끼기 위해서는, 한 곳을 사계절을 모두 둘러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신사의 대적광전은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된 것을, 고종 때 다시 복원하였다고 전한다. 그리고 그 뒤 1823년과 1934년에 중수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듯 몇 번의 보수를 거치는 동안, 대적광전은 단청을 칠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처음부터 단청이 없지는 않았으리라는 생각이다.

맞배지붕의 멋을 느끼게 하는 건물

17세기에는 사찰의 불전이 맞배지붕으로 많이 지어졌다. 아마도 그 당시에 유풍일 것이다. 논산의 쌍계사 대웅전, 월성의 기림사 대적광전 등이 그 당시 지어진 맞배지붕의 전각이다. 귀신사 대작광전은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으로 두는 구조가, 기둥 위에 하나씩 있는 주심포계가 아니다. 중간에 장식을 더 넣은 다포계로 구성이 되었다.

대적광전을 한 바퀴 돌아본다. 눈이 하얗게 덮인 지붕이나, 하얀색을 칠한 담벼락이 하나가 된 듯 조화를 이룬다. 역시 겨울에 보는 정경은 남다른 멋을 풍긴다. 귀신사 대적광전의 벽에는 위에서 아래로 기둥을 내렸다. 죽죽 내려놓은 듯한 기둥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오히려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가 있다.




창호도 색다르게 조성을 하였다.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지어진 대적광전은, 앞면의 세 칸에는 빗살무늬 창호를 달아냈다. 그리고 좌우의 퇴칸은 조금 좁게 구성해 빗살무늬 창호를 달았다. 양편 측면으로는 문을 달아내고, 뒷벽으로는 중앙 하단 부에 문을 달아냈다. 우측으로 돌아보니 뒤편에 까치구멍이 나 있다. 왜일까? 환기를 시키기 위한 것 같지는 않다. 우리가 흔히 보는 전각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이다.

‘사진촬영 하시면 안돼요’

대적광전 안으로 들어가 먼저 향을 피우고 삼배를 한다. 답사를 다닐 때마다 늘 하는 차례이다. 천정을 올려다보니 대적광전은 원래 중층으로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보물제1516호로 지정되어 있는 삼존불은, 진리의 법신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에 모셨다. 그리고 협시불로는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모셨는데, 모두 소조불이다.


상당히 큰 규모의 삼존불을 불단에 모시기 위해서는 중층으로 건물을 들였을 것이다. <귀신사중수기>에도 법당이 중층이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눈에 발이 빠지는 것도 마다하고, 여기저기 눈밭을 뛰는 짐승처럼 빠르게 이동을 하며 돌아보고 있다. “사진촬영하시면 안돼요” 귀신사에서 일을 보고 계신분인가 보다. “예”라고 대답은 했지만, 이럴 경우 참 답답하다.

명색이 문화재를 답사하러 다니는데, 일일이 허락을 받기도 버겁다. 그러다가보면 시간을 놓쳐버리기 때문이다. 할 수 없이 돌아 나오기는 했지만, 내내 아쉬움에 속이 아프다. 봄철이 돌아오면 다시 한 번 귀신사에 들려, 소조부처님들을 담아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우리나라에는 성기석 문화가 발달이 되어있다. 성기석은 일종의 주술적인 기원을 띠고 있다. 대개는 성기석을 마을에 조성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는 마을의 지기를 누르기 위한 방법으로 조성을 한다. 마을에 화가 미치거나, 재앙이 잦으면 성기석을 조성한다. 그러면 ‘음(陰)’한 기운을 눌러 마을이 평안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마을에 남자아이들이 태어나지 않고, 여자아이가 많으면 성기석을 조성한다. 이런 경우에는 대개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럴 경우 많은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성기석을 갉아서 물에 타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 등이다.

마을에 조성하는 성기석은 대개는 길고 위가 뾰죽하게 조성을 하기 때문에, 쇠침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래서 마을에 음한 기운이 감도는 지맥을 차단하여, 마을에 음양의 조화를 맞추기 위한 방법이라고 예전 어르신들은 이야기를 했다.


김제 귀신사에는 석수가 있다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81번지에 소재한 귀신사(歸信寺). 귀신사에 대한 창건연대는 확실치가 않다. 다만 최치원이 지은 『법장화상전』에 각주에서 언급한 화엄십찰의 하나인 국신사(귀신사의 옛 이름) 때문에, 귀신사의 창건연대를 신라 문무왕 16년인 676년으로 짐작할 뿐이다.

귀신사는 신라의 고승 의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연대적으로 의상이 창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현재 귀신사는 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의 말사이다. 이 귀신사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4호인 석수가 경내에 자리한다. 2월 17일 오후, 눈이 내린 길을 따라 김제에 자리한 귀신사를 향했다.



그동안 몇 번이나 찾아간 귀신사였지만, 설경이 보고 싶어서다. 고찰은 눈이 내렸을 때, 그 모습 또한 색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경치를 감상하기에는 조금 늦은 시간이라, 절 안에 있는 문화재 답사만 겨우 마칠 수가 있었다. 귀신사에 있는 문화재 중에서 가장 눈이 가는 것은, 대적광전 뒤편에 자리하고 있는 ‘석수’이다.

석수 위에 세운 돌기둥은 무엇일까?

‘석수(石獸)’란 돌로 만든 짐승이란 뜻이다. 귀신사에 전하는 석수는 사자상이다. 이 사자상은 남서쪽 솔개봉을 바라보고 있다. 머리를 들어 앞을 바라다보고 있는 사자상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였다. 고려 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알려진 이 사자상은, 평평한 타원형 받침돌 위에 앉아있는 모습이다.



성기석을 닮은 석수 위의 석주. 한편이 닳아있다(아래)

눈이 내려 사자상의 얼굴이며 등에 눈이 쌓였다. 그런 모습도 운치가 있으나, 좀 더 정확한 모습을 보기위해 얼굴 위에 덮인 눈을 치운다. 앞다리를 내밀고 엎드려 있는 사자상. 그 등 위에는 남자의 성기처럼 생긴 마디진 돌기둥을 올려놓았다. 그런데 그 위에는 또 하나의 돌을 얹어놓았다. 등 위에 올린 돌기둥은 그렇다 치고, 돌기둥 위에 올린 또 하나의 돌은 영락없는 남자의 성기모습이다.

득남을 기원하기 위한 주술적인 방법이었을까?

도대체 왜 이런 성기석 모양의 돌을 절에 세운 것일까? 전하는 말로는 이곳 지형의 나쁜 기운을 누르기 위해서 세웠다고 한다. 우리 풍속에는 화재 등을 막기 위해 해태를 조각하여, 화기를 막는 등 금수를 이용한 재액의 방액을 한 경우가 많다. 이곳의 지기가 좋지 않아 그것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석수를 조각해 세웠다는 것은 납득이 가는 해석이다.



문제는 그 석수 위에 올린 성기석이다. 주름진 원통의 돌기둥 위에 있는 것은, 아무리 보아도 성기석을 조각한 듯하다. 그 한쪽 면이 닳아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누군가 필요에 의해 그 면을 갉아갔다는 생각이다. 무슨 이유였을까? 꽤 오래 전인가 보다. 귀신사를 처음으로 방문할 때 마을에 전하는 말로는, 귀신사 석수의 위에 올린 성기석을 갉아다가 물에 타 마시면 남자아이를 낳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모처럼 들린 귀산사에서 만난 석수. 흰 눈을 맞은 석수는 또 다른 모습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훼손된 부분이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은, 요즈음은 돌을 갈아 마시는 사람이 없기 때문은 아닌지. 석수 위에 성기석을 바라보다가 괜한 웃음만 웃어본다. 글쎄다, 저렇게 사자 등에 남자의 성기석을 올렸다는 것은, 그렇게 용맹스런 남자아이를 얻기 위한 기자속은 아니었을까?


내가 석수를 보고 웃은 까닭은, 저 석수위의 돌을 갉아다가 물에 타 마시고, 정말 장대 같은 아들을 낳기는 했을까? 그것이 못내 궁금해서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