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안타깝다. 사실 지난 12일 정재만교수의 죽음을 듣고 며칠 간 마음이 불안한 상태였다. 정교수를 처음으로 만난 것은 1979년이었으니, 그 때만 해도 젊은 혈기가 넘칠 때였다. 당시 국립무용단이 제23회 정기공연으로 춘원 이광수 원작의 꿈을 김지일 극본, 송범 안무로 ··이라는 제목으로 무대에 올렸는데, 그때 정재만 교수를 처음 만났다.

 

당시는 무용음악을 작곡하는 사람이 몇 명 되지 않아 그 작품의 작곡을 맡은 것이 인연이 되어 정교수를 만나게 된 것이다. 당시 더블게스트로 주인공을 정했는데 남자 주인공은 국수호 교수와 정재만 교수였고, 여자주인공은 박순자씨와 단송 홍금산 선생이었다. 그 이후 정교수와는 만날 기회가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러다가 양평에서 벽사 춤 아카데미 강습을 한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갔다. 당시는 신문을 맡아 운영했기 때문에 당연히 취재를 간 것이다. 벽사는 고 한성준 선생의 호이자, 선생의 춤을 물려받은 따님인 한영숙 선생의 호이기도 하다. 그리고 정재만 교수도 벽사라는 호를 사용했으니 3대 벽사가 되는 셈이다.

 

 

오롯이 스승의 춤을 온전히 후대에 전승을 시키겠다는 일념으로 살아온 정재만 교수. 나이가 동년배인 바람에(66) 친구려니 하고 생각하지만, 늘 사는 곳이 달랐다. 정재만 교수는 오직 후대를 키우겠다고 학교와 연구소 등을 다니면서 생활을 했고, 나는 역마살이 끼어서 팔도를 내 집처럼 휘돌아 다녔으니 만날 일도 별로 없었던 것만 같다.

 

그래도 이야기가 나오면 늘 솔깃해서 듣고는 했던 것이 바로 그의 춤 세계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인 한영숙류 승무 보유자이기도 한 정재만 교수. 지난 12일 익산에서 제자 강습회를 마치고 부산으로 이동하던 중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연락을 받고나서 한참이나 멍멍한 시간을 보냈다.

 

화성 정남면 출신 춤꾼 정재만

 

불귀의 객이 된 정재만 교수는 1948년 경기도 화성군 정남면에서 태어났다. 정교수는 우연한 기회에 송범무용연구소에 들어가 한국 춤과 인연을 맺었다. 이곳에서 어린 정교수를 발견한 한영숙 선생은 그를 제자로 데려가 승무를 가르쳤다. 이후 그는 세종대와 숙명여대에서 30년이 넘게 후학을 양성하다, 지난해 정년퇴임했으며 명예교수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춤도 웰빙이 필요합니다.” 이미 10여 년 전에 정재만 교수는 우리 춤도 달라지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 2004년 양평군에 소재한 한화리조트 무궁화 홀에서 100여명의 전수생들에게 ()벽사춤 아카데미 2004 하계수련회를 열고 있는 정재만 교수를 만났을 때 한 말이다.

 

그리고는 또 10년이 지났다. 그리고 보니 정교수와는 한번 만나고 나면 10년 이상을 만날 일이 없었다. 가끔 통화정도만 하는 사이였으니 말이다. 이제 10년이 지나도 다시 볼 일이 없게 생겼다. 그것이 마음이 아프다. 가장 아픔인 것은 아직도 할 일이 많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많은 일을 혼자 감당해 내야 할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제 고인이 된 춤꾼 정재만교수. 그곳에서라도 늘 아름다운 춤을 출 수 있기를 바란다. 이제 이 세상에 오만가지 상념일랑 훌훌 털어버리고 마음 편하게 떠나시기를 바란다.

-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가끔은 뒤를 돌아다 봅니다. 그저 내가 지난 날을 어떻게 살아왔나? 그리고 남은 시간은 어떻게 마무리를 할까를 깊이 생각해 보고 싶어서이기도 합니다. 15일 오전과 오후 하루에 두번의 행사를 치루고나니, 거의 추주검 상태로 변했다는 것이죠. 역시 나이는 속일 수 없는 것이란 생각입니다. 이제 점점 기운이 떨어져간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죠.

사람은 가끔은 지난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도대체 나는 어떻게 찾아볼 수 있을까가 궁금해졌다는 것이죠.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서 나를 찾아보았습니다. 지금 다음뷰나 오마이뉴스에 보이는 나란 인간 말고, 또 어떤 나를 발견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 궁금하기도 했고요.


나이 20대에 작곡을 시작하다

가장 오래된 자료는 1970년에 <동아음악콩클 작곡부분>에 입상을 하면서 동아일보에 보도가 된 자료입니다. 벌써 40년이 지난 나를 인터넷에서 발견을 한 것이죠. 그리고 이어서 여러 해 작곡에 몰입하면서 여기저기 이름이 보이고 있습니다. 1979년 국립무용단 정기공연, 제1회 대한민국 무용제, 1982년 인천시립무용단 창단공연 등의 자료가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만나볼 수가 있습니다.




제일 위 신문은 1970년 동아일보입니다. 나눔 단 아래 첫 번째 신문은 동아일보 1979년 5월 신문으로 국립무용단 정기공연 작곡을 맡아했을 때, 두번 째는 1981년 제3회 대한민국 무용제 때 기사입니다. 그리고 밑은 1982년 인천시립무용단 창단공연인 '굴레야'를 작곡했을 때 신문기사입니다.
 
그동안 관현악, 중주곡, 무용음악 등 한 30여곡은 작곡을 한 듯합니다. 그 때의 악보는 하나도 갖고있지 못해 아쉽지만, 국립국악원 자료실과 문예진흥원 자료실에 자료가 남아있다고 하네요. 그렇게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입니다.

작곡가 사전이라는 책이 1999년에 발간이 되었는데, 그 책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1985년부터 책을 쓰기 시작해, 그 동안 저서 20여권

아마 책을 쓰면서 가장 많이 쓴 것은 일년에 4권인가를 썼습니다. 일년 동안 답사를 마치고 나면, 책상앞에 앉아 글만 쓴 것이죠. 1985년인가 이천에서 처음으로 '거북놀이'라는 책을 쓰고나서, 안성남사당풍물놀이도보, 용인의 내고장 민속, 대전의 한밭의 옛노래 등 지역의 전통문화와 민속, 무속 등에 대한 책을 열심을 내어 썼죠


그동안 쓴 책들이 20여권이 되는데, 일부만 몇 권 보관하고 있습니다. 이 책들은 거의 품절이 되어서 도서관에서나 만나볼 수가 있다고 하네요.

책을 쓴다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더욱 지역의 책을 한 권 쓰기 위헤서는 제가 다루는 부분의 특성상, 지역 전체를 마을마다 돌아다니면서 현장에서 채록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노력을 필요로 하죠. 

마을마다 다니면서 어르신들께 일일이 부탁을 드리고 가사를 녹취하고, 악보까지 곁들이기도 합니다. 하루 종일 돌아다녀보아야 한 두곳이 고작이죠. 그렇게 만들어낸 발로 쓴 책들입니다.
 

네이버에서 책 한권을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품절이 되어서 이제는 구할 수조차 없는 책이 되어버렸네요.

 

위는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 책의 목록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책입니다.

살다가 보면 내가 무슨 일을 해왔는가가 정말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하루 종일 지쳐 자리에 들어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지난 시간의 흔적을 보고 싶어 찾아낸 내용들입니다. 참으로 숨 가쁘게 살아온 세월이었네요. 별로 편안하게 쉬어 본 적이 없는 듯합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바쁜 걸음을 걸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이제 문화재에 대한 열망으로 당연히 또 그런 세월을 살아야 할테죠.

'그것이 사람사는 것 아닌가요?' 하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해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