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화서문로 82-6에 소재한 대안공간 눈’. 1전시실는 18일까지 황희정의 문명고양이전시가 열리고 있다. 전시지원 공모 선정 작가인 황희정의 개인전은 한 마디로 기존의 작품이라는 관념을 송두리째 깨고 있다.

 

황희정 작가의 ‘civilization cat’은 고양이를 소재로 한 전시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고양이를 소재로 한 작품이 아니라, 버려진 종이박스를 테이프를 붙여 만든 허술해 보이는 종이박스 집과 그 안에 흰 헝겊으로 만든 고양이들이 여기저기 걸쳐 있는 모습의 고양이 인형들이 보인다. 그런 모습이 작품이라는 개념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다.

 

 

길거리를 배회하는 고양이를 묘사

 

황희정 작가는 작가노트를 통해 집 앞 골목을 걷다가 길 고양이들이 쓰레기봉투를 헤집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누군가에게는 분명 골칫덩이였을 거다. ‘골목이 자꾸 지저분해지니까,’ 며칠 뒤, 골목 안 그 곳 쓰레기 더미 앞에 길 고양이 두 마리가 죽어 있는 것을 보았다. 문명은 가장 위대한 공동체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문명이 위대하다고 말하는 이는 문명 속에 속한 이들뿐이다. ‘골목이 자꾸 지저분해지니까,’ 길 고양이 두 마리는 죽었다. 단지 누군가의 골칫덩이가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고양이 두 마리가 죽은 것이다. 거대한 사회의 발전에 자연스럽게 밀려나는 존재들,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숨어 지내는 이들이 있다. 이번 작업은 이들이 바라보는 문명에 대한 시각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현 문명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사회와 연결되려고 하는 시선과 그 시선 속에 내재된 불안한 감정들, 이들이 품고 있는 힘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했다.‘고 한다.

 

작가는 죽어있는 고양이, 그리고 쓰레기통을 뒤지고 있는 길거리의 고양이를 통해 이 사회의 어두운 곳에서 숨죽이고 있는 존재들을 표현하고 있다. 허름하게 지어진 종이 집 안에 걸쳐있거나, 그 주변에 널브러진 고양이들. 사회에서 밀려난 존재들의 아픔을 작가는 문명고양이라는 제목으로 표현을 했다.

 

 

두 번째 개인전을 연 작가 황희정

 

황희정 작가는 2011년 국립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하였으며, 2007년부터 작품 활동과 전시회를 갖고 있다. 현재 아트스페이스 이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황희정 작가는 남다른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황희정 작가는 2007 비상구 프로젝트 (국립창원대학교 중앙도서관, 창원), 2008 유쾌한씨의 공동프로젝트 (파티마병원, 창원), 2009 Young Art (규슈 나가사키 우라카햐카 센터, 일본), 2011 하얀 다락방 (스카이연 갤러리, 서울), 2012 부바르와 페퀴셰 (남송 미술관, 경기), 2013 spary of space (gallery bonun, 서울), 2014 공존하는 차이 (잠월미술관, 함평), 2014 터닝테이블 (스페이스 SSEE, 대전), 2014 ongoing (오픈스페이스배, 부산) 등의 단체전을 가졌다.

 

개인전은 2014 회복에 대한_ 편린 (스페이스이드, 청주)2014 황희정의 <civilization cat>(대안공간눈, 수원)으로 두 번째이며, 2014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에 참여를 했다.

 

 

전시 관람을 하고 있던 한 관람객은 작가의 표현력이 놀랍다. 작가의 의도를 모르고 작품을 보았더라면, 도대체 작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지 모를 수밖에 없을 것만 같다. 이렇게 문명 세계에서 헐벗고 굶주리고 있는 고양이를 소재로, 소외된 사람들을 표현했다는 것이 새롭다.”고 한다.

 

미술학과를 졸업하기 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한 황희정 작가. 박스로 만든 허름한 집과 그 곳에서 만날 수 있는 고양이들은 작가의 상상력을 떠나 관람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무엇인가 이 사회의 모순에 대한 화두를 던져주고 있다.

요즈음은 건강을 위해 산을 오르는 사람들이 많다. 집 가까이 있는 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물병 하나를 들고 산책삼아 오르기도 하지만. 일부러 멀리서 까지 산을 오르기 위해 차로 이동을 하기도 한다. 그러다가 보니 꼭 건강을 위해 산을 오르지 않아도 산길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많을 수밖에 없다.

전북 전주시, 완주군, 김제시에 접해 있는 모악산은 ‘어머니의 산’이라고 한다. 그리 높지는 않지만 생태계가 살아있는 청정지역이다. 아마 산을 오르는 차도가 없는, 산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모악산에는 평일이면 수천 명에서 주말과 휴일이 되면 만여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산행을 한다고 한다.


모악산 입구에 서 있는 고은선생의 시비와 모악산 산길(아래)

벌써 10년 째 오른 산, 별 사람 다 있다

모악산을 올라다닌지가 벌써 10년 세월이 훌쩍 지나버렸다. 처음 모악산의 고찰에 일이 있어 찾아갔다가 인연이 되어, 그곳에서 살다시피 했으니 사람의 인연이라는 것은 참 묘하다. 그렇게 모악산을 오르내리면서도 늘 모악산은 좋았다. 굳이 어머니의 품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아무런 공해도 없는 그 산 자체가 좋았을 것이다.

이렇게 산을 오랜 시간 오르내리다보니 이제는 제법 산길에서 만나면 인사를 하고 지내는 사람들도 생겼다. 물론 전문적으로 산행을 했다고 하면, 더 많은 사람들과 교분을 쌓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르고 내려가는 길목에서나 만나는 정도이니, 이 정도라도 꽤 많은 사람들을 알게 되었다는 생각이다.


쉼터인 의자 곁에는 항상 쓰레기가  널려있다.

그런데 요즈음 산을 오르면서 만나는 사람 중에는 정말로 산으로 올라오지 않았으면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제 발로 걸어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그래도 이런 분들은 조금 삼가를 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솔직한 표현이다.

이런 사람 정말로 오지 않았으면

1. 쓰레기를 버리러 산에 오나?
사람들이 다녀간 후에 산을 올라보면 정말 가관이다. 중간에 쉬라고 의자를 놓았는데, 그 주변에 가면 꼭 쓰레기가 보인다. 빈 캔이며 물통, 팩 음료, 심지어는 커피를 사들고 와 마시고는 그냥 놓아두고 간다. 그뿐만이 아니다. 산사에 와서 전각의 마루에 앉아 먹을 것을 다 먹고는, 쓰레기를 돌담 틈이나 기둥 뒤에 숨겨놓고 가기도 한다. 쓰레기를 버릴 때가 없어 산을 오르는 것인지. 이런 사람들 제발 산에 올라오지 말았으면 좋겠다.

2. 동물을 사랑하는 것은 좋은데
동물을 사랑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나도 개라면 사족을 못 쓰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모악산 등산로 입구에 보면 ‘개나 고양이 등 동물을 데리고 산에 오르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도 한글을 못 읽는 것인지, 본체도 안하고 산으로 데리고 올라간다.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이다. 가끔 동물의 배설물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치우고나 갔으면 좋을 것을. 이런 사람들 동물을 키울 자격은 있는지 모르겠다.

주말이나 휴일이면 산사는 온통 쓰레기가 널려있다

3. 라디오 볼륨을 있는 대로 높이는 사람
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때로는 조용히 생각을 하고 싶어 오르기도 한다. 특히 모악산을 찾는 사람들 중에는 산사까지 뒷짐을 지고, 천천히 걸어가면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눈에 띤다. 뒷짐을 지고 걸어도 20분이면 산사까지 갈 수가 있어, 사색을 즐기는 것이다. 그런데 가끔 보면 라디오를 있는 대로 볼륨을 높이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만 들으면 될 것을, 그렇게 크게 틀고 다니면서 남까지 불쾌하게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4. 화장품 홍보사원인지.
사람들이 아름다워지고 싶은 것은 본능이다. 남자는 남자대로 여자는 여자대로, 나름의 아름다움이 있다. 꼭 잘나서가 아니고 그 아름다움이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헌데 얼마나 남들에게 잘 보이고 싶은 것일까? 곁으로 지나치면 화장품 냄새로 코를 들을 수가 없을 정도다. 역겹기까지 한 냄새가 아름답게 보이려는 것인지. 난 차라리 땀 냄새가 더 좋다.

학생들이 올라왔다가 그나마 일부 들고 내려간다. 아이들에게 정말 낯 부끄럽다.

5. 꼴불견도 가지가지
이것저것 쓰라고 하면 하루 종일이라도 쓸 것만 같다. 하지만 다 제멋에 겨워 사는 세상인 것을. 하지만 가끔은 정말 한 대 쥐어박고 싶을 때도 있는 것을. 흙과 돌로 된 산길을 굽 높은 하이힐에 짧은 치마를 입고 뒤뚱거리며 오르는 사람. 날이 좀 덥다고 남의 시선 생각도 안하고 가슴까지 다 풀어 헤치는 사람. 산사에 와서 있는 대로 버젓이 담배를 피우는 사람. 아이들이 시끄럽게 떠들거나 말거나 제지를 하지 않는 부모들. 이런 분들은 제발 보고 싶지가 않다. 산은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