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돈에서 남수문까지의 거리는 440m에 불과하다. 화성 겉돌기의 아홉 번째 구간으로 정한 이 곳에는 동이포루와 동삼치, 그리고 성벽 안으로 떨어져 지은 동남각루와 급격한 경사면 밑에 자리하고 있는 수원천의 남수문이 자리하고 있다. 남수문은 올해 6월 9일 90년 만에 복원이 되었다.

 

화성 축성 당시 축조를 하였던 남수문은 1842년과 1922년의 대홍수로 인해, 두 차례나 유실이 되었다. 일제 때에는 그나마 남은 것을 철거시켜 터만 남아있던 것인데, 화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면서,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를 거쳐, 어떠한 비에도 무너지지 않는 최신공법을 이용해 복원을 하였다.

 

 

 

밖으로 돌아보는 축성의 극치

 

이 화성 겉돌기의 아홉 번째 구간인 봉돈에서 남수문까지의 길은, 사실 화성의 외벽을 돌아보면서 만나는 가장 아름다운 곳이란 생각이다. 이곳까지 화성의 겉모습이 다양하게 변하는 곳은 없기 때문이다. 벌써 이 구간을 답사한 날짜가 꽤 오래되었다. 그동안 화성이 변한 것이야 아니겠지만, 이렇게 뒤늦은 답사기를 쓴다는 것은 사실 답사의 감이 떨어진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비록 답사를 한 날은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그 뒤로도 이 구간을 몇 번인가 지났다는 것이다. 가장 최근에 답사를 한 것은 화성문화제 기간인 10월 7일이었으니, 그 때의 시각으로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에는 화성 외벽으로 답사하다가 보면, 꽤 많은 관광객들이 함께 성 밖 길을 걷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구간을 특히 많은 관광객들이 돌아보게 되는 것은, 남수문과 팔달문 인근에 재래시장이 몰려있어, 시장구경을 마치거나, 지동시장 순대타운에 들렸던 사람들이 성을 돌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곳은 지형의 격차가 크고, 더구나 화성에 두 개의 수문 중 한 곳인 남수문이 있어 사람들이 외부로 관람을 하기에 좋기 때문이다.

 

 

 

동이포루와 동삼치를 지나다

 

포루는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시설로 군사들이 휴식을 취할 수도 있는 구조물이다. 동이포루는 봉돈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었으며, 치 위에 세웠다. 정조 20년인 1796년 7월 3일에 완성을 한 동이포루는 이층 누각으로 지어졌으며, 판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밖에서 보는 동이포루 위에는 사람들이 쉬고 있는 듯, 왁자하니 떠드는 소리가 들린다.

 

밑에서 올려다본 동이포루의 날렵한 지붕이, 지금이라도 당장 날아오를 듯 하늘을 향해 비상하는 모습이다. 성벽 위에 지은 전각 하나하나가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을 주는 곳, 그것이 바로 화성 외곽을 돌아보는 즐거움이다.

 

 

 

그동안 오랜 세월을 지난 듯, 돌보다 색이 다르게 변한 동삼치로 향하다가 보면, 그 성벽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감회가 깊다. 이 돌들은 200여 년 전 화성 축성당시, 팔달산, 여기산, 숙지산, 궐동 등에서 날라 온 것들일 것이다. 200년 세월을 그렇게 기다리고 있다가 만나게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감회가 남다르다.

 

동남각루와 남수문의 조화

 

동삼치를 지나 조금 더 걷다가 보면 갑자기 성벽이 변한다. 그 위를 보면 지붕 끝만 삐죽이 얼굴을 내민 동남각루가 있다. 이곳은 평지를 이루고 있던 성벽이 갑자기 이래로 곤두박질을 한다. 성벽을 둥글게 감아 들이고 아래로 층층이 여장을 놓은 곳, 그 아래 남수문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남각루는 중간 지휘소 역할을 하는 곳이다. 동남각루는 높은 곳에 남공심돈과 마주하고 있으면서 남수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 중 한 곳이다. 각루는 비교적 높은 곳에 설치를 하였으며 주변을 잘 감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병사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한데, 예전 이 동남각루에 쉬고 있던 장용영의 병사들은, 그 밑으로 펼쳐지는 장시의 떠들썩한 소리와 함께 했을 것이다.

 

 

밑으로 고꾸라지듯 떨어져 내리는 성벽. 그리고 그 밑으로 서 있는 남수문. 아마도 지금은 사라진 남공심돈 등을 함께 조망을 할 수 있었다면, 그 어느 곳에 뒤지지 않는 화성의 아름다운 곳 중 한곳이 아니었을지.

 

아홉 번째 그간을 걸으면서 또 다시 느끼는 것은, 역시 화성은 겉돌기를 할 만한 성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깨닫는다.

 

화성에서 가장 견고한 구간은 바로 화서문(서문)과 장안문(북문) 사이일 것이다. 우연히 이곳의 야경을 보게 된 후 화성의 진가를 알았다고 한다면, 그럼 지금까지 자랑 질을 한 것은 무엇이냐고 묻는 분들도 계실 것. 하지만 화성이야 전 구간이 다 아름답지만, 특히 화성의 견고함을 보려면 서문과 북문 사이를, 그리고 아름다운 야경을 보려면 이곳에서 방화수류정까지 일 것이다.

 

화성을 겉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무미할 수도 있다. 성 밖으로 보이는 성벽과 치성 위에 올려 진 구조물들. 그 외에 무엇이 있느냐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성은 단순히 성벽과 치성위에 올린 구조물이 다가 아니다. 화성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몇 곳 안 되는 성이기 때문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공심돈, 우리나라의 많은 성곽 중 유일하게 화성에만 있는 축조물이다. 1796년 3월 10일 완공한 서북공심돈. 공심돈이 완공을 한 이듬해인 1797년 3월, 서북공심돈을 둘러 본 정조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든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고 이야기를 했다는 것이다. 서북공심돈은 그 건축물의 우수성과 역사성을 인정받아, 2011년 3월 3일에 보물 제1710호로 지정이 되었다.

 

원래 화성에는 모두 세 곳의 공심돈이 있었다. 서북공심돈과 동북공심돈, 그리고 남공심돈이다. 하지만 현재 남공심돈은 사라지고, 동, 서북공심돈만이 남아있다. 공심돈은 높은 곳에 올라 적의 동향을 살피고, 공격하기 위한 시설이다. 공심돈의 형태는 특이하게 조성해, 마치 화성 안에 작은 고성(古城) 하나가 자리를 잡은 듯하다.

 

 

높은 성벽과 견고한 전각들

 

이곳의 성벽은 견고하다, 그리고 어느 곳보다 높다. 이곳은 평지에 축성을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게 쌓아올렸다. 그리고 적의 공격을 대비하기 위해 화서문서부터 장안문 사이에 북포루와 북서포루를 마련했다. 북포루(北鋪樓)는 병사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다. 야경으로 보는 북포루는 절로 감탄이 나온다.

 

화성의 구조물인 '포루(鋪樓)'의 설명을 보자. 「성서(城書)에 이르기를, '치성의 위에 지은 집을 포(鋪)라 한다'고 하였다. 치성에 있는 군사들을 가려 보호하려는 것이다. 치성은 성 밖으로 18척 5촌이 튀어 나왔는데, 외면의 너비는 24척이고, 현안 1구멍을 뚫었다. 5량으로 집을 지었는데, 판자를 깔아 누를 만들었다. 7영 3간이고, 높이는 여장 위로 6척 8촌이 솟았는데, 전체 높이는 13척이다.

 

여장의 3면은 모두 벽돌을 사용하였고, 여장 안은 벽 등을 이중으로 쌓았는데, 아래 위에 네모난 총안 구멍 19개(사방 각 9촌), 누혈 11개(사방 각 4촌)를 뚫어 놓았다. 누의 위 4면에는 판문을 설치하고 외면과 좌우에는 사안을 내어 놓았다. 내면에 벽돌 층계를 설치하여 오르내리게 하였다. 단청은 3토를 사용하였고, 들보 위는 회를 발랐다.」고 하였다.

 

 

어찌 화성을 무시할 것인가?

 

화성에서 가장 중요한 공격 시설은 성 5곳에 조성한 '포루(砲樓)'이다. 화성의 포루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치성과 유사하게 축조하면서, 내부를 공심돈과 같이 비워 놓았다. 이는 그 안에 화포 등을 감춰 뒀다가 위·아래와 삼면에서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포루는 3층으로 축조가 되었는데, 지대 위에는 대포를 발사하기 위해 뚫어 놓은 구멍인 '혈석(穴石)' 을 전면에 2개, 좌우에 3개씩 놓았다. 야경으로 보는 북서포루는 근처에 다가서기도 힘들 듯한 위용을 자랑한다. 아마 이런 모습을 달빛에 적이 보았다면, 그 모습만으로도 혼이 백리나 달아났을 듯.

 

 

그렇게 야경에 취해 제대로 걸음조차 옮기지 못한다. 이렇게 아름다운 정경을 보면서 걸음을 빨리한다는 것은 화성을 무시하는 행동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저만큼 장안문이 보인다. 그러나 그곳까지 걸어갈 수가 없다. 이곳에서 좀 더 이 아름다운 밤경치를 보고 싶기 때문이다. 비가 멈춘 밤하늘이 구름 사이로 얼굴을 내민다.

바위들이 널려있다. 그리고 한편이 절개한 흔적도 보인다. 이 바위들도 누군가 쪼아내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오랜 세월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스스로 세상구경이 하고 싶어 쪼개져 구른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그 위 솟구치는 벼랑위로 성벽이 보인다. 이곳은 왜 이렇게 높은 것일까? 바로 그 위에 서장대와 서노대가 있는 곳이다.

 

만일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하면, 적들은 정말로 힘들었을 것이다. 우선은 가파른 비탈이고, 거기다가 높기까지 하다. 옆으로는 숨겨진 암문이 있어, 도대체 어디서 병사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인지 조차 분별하기가 힘들다. 그런데다 성 위에서 쏟아져 내리는 화살을 피할 수도 없다. 바로 서노대에서 쏘아대는 다연발 화살인 쇠뇌 때문이다.

 

 

바위야 니들은 왜 그곳에 있느냐?

 

이곳은 성벽 가까이 다가갈 수가 없다. 비가 오는 날 길도 미끄럽지만, 바위와 소나무들이 성벽 근처에 접근하는 것을 허락지 않는다. 이곳의 바위들은 정말 제멋대로이다. 그저 눕고 싶으면 눕고, 서고 싶으면 서 있다. 누가 무엇이라고 하지야 않겠지만, 그래도 오랜 시간을 제멋대로 생긴 채로 화성을 바라보고 있다.

 

나무도 바위도 그리고 사람도, 이 구간은 화성을 탐낸다. 비에 젖은 소롯길은 미끄럽다. 겨우겨우 비에 젖은 바위를 의지해 바위틈을 벗어난다. 갑자기 성벽이 급하게 아래로 내리닫는다. 그리고 그 성벽 위에 여장들도 함께 구르듯 한다. 나무들도 덩달아 성벽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화서문에 무슨 풍각쟁이라도 온 것일까?

 

 

포루의 으스스한 모습에 겁을 먹었을 것

 

급한 경사는 화서문까지 이어진다. 서장대에서 화서문까지의 길이는 630m 정도. 그 거리가 모두 내리막길이다. 조금 가면 서이치를 지난다. 굽은 소나무 한 그루, 치를 넘겨보고 있다. 화성 성 밖의 나무들은 왜 그리도 화성을 탐내는 것일까? 아마 이들도 전화(戰禍)를 피해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철옹성인 화성 안으로 피신을 하고 싶음인지.

 

저만큼 서포루가 보인다. 화성의 포를 쏘아대는 5개 포루 중 한 곳이다. 성이 돌출된 치 위에 지은 구조물이다. 그런데 이 서포루의 형태는 색다르다. 딴 곳의 포루가 밑을 돌로 쌓고 그 위에 포사를 설치 한 것에 비해, 서포루는 아래부터 온통 검을 벽돌로 쌓아 올렸다. 그리고 그 위에 포사 역시 딴 곳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견고한 모습이다.

 

 

저런 서포루의 모습을 본 적들은 어떤 생각들을 했을까? 아마도 그 으스스한 모습을 보고, 포를 쏘기도 전에 줄행랑을 쳤을 것이다. 치성의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서포루를 지난다. 그런데 이건 또 무슨 일인가? 배터리가 없다고 카메라에 불이 들어온다. 그리고는 화면이 사라져버렸다. 카메라마저 겁을 먹은 것일까?

 

 

세상은 참 살기 편해졌다

 

잠시 고민을 한다. 이제 화서문까지 남은 거리는 420m. 이처럼 비가 퍼붓는 날 지금까지 잘 견뎌왔는데, 배터리가 떨어지다니. 그러나 사람이 죽으란 법은 없는 법. 카메라 대신 지니고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된다는 생각이다. 소형 카메라를 접어 주머니에 집어넣고, 대신 휴대폰을 꺼내들고 걷기 시작한다.

 

서이치를 지난다. 저만큼 성벽이 휘어진 곳에, 사방이 훤하게 트여있는 서북각루가 보인다. 서북각루 역시 치성 위에 설치한 구조물이다. 서북각루도 예전에는 사방이 모두 판문으로 막혀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온돌방까지 마련해 겨울에도 군사들이 따듯하게 쉴 수 있도록 마련한 곳이다.

 

 

서북각루 가까이 가니 빗길에 나그네 한 사람이 하염없이 서 있다. 아마도 저 나그네도 나처럼 이 비에 화성 길을 오를 것인지를 고민하는 듯하다. 서북각루를 지나면 소나무 몇 그루가 그림처럼 서 있다. 그리고 그 사이로 화서문이 보인다. 비는 그칠 줄을 모르고 더욱 세차진다.

 

9월 4일, 오늘의 발길을 멈춘다. 화서문 옆으로 지나는 차들이, 도로를 흐르는 물을 튀기고 지나간다. 화성을 겉도느라 어차피 다 젖었는데, 누구 탓해 무엇 하리오. 그러고 보니 나도 점점 화성을 닮아 가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