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굴뚝에 대한 글을 쓰면서, 제일 먼저 궁궐의 화려한 굴뚝에 대한 글을 썼다. 그리고 사대부가의 기와집의 굴뚝에 대한 글을 적었다. 이제 남은 것은 사대부가도 있지만, 주로 민초들이 살던 초가의 이야기이다. 사람들은 궁궐의 굴뚝과 사대부가인 기와집의 굴뚝도 특징이 있지만, 초가의 굴뚝은 또 나름대로 특징이 있다.

초가는 지붕을 얹은 짚이 불에 잘 붙는다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비교적 굴뚝을 높게 올리거나, 멀리 떨어져 세운다. 대개의 경우는 높이 올리는 편인데, 이는 낮은 굴뚝을 통해 불똥이 날아오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48호 정원태 가옥의 사랑채 굴둑. 전형적인 초가의 굴뚝이다. 제천시 금성면 소재. 이 집은 사람이 살고 있다. 


초가의 굴뚝은 높거나 멀거나

문화재 답사를 다니면서 한 가지 답답한 일을 겪는다. 그것은 바로 복원이라는 허울아래 망가지고 있는 우리의 문화재들이다. 전문적인 보수 기술자들이 복원을 한다고 믿고 있는데, 정작 돌아보면 그렇지가 않다는 점이다. 괜히 겉멋을 부리려고 그렇게 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마음이 아프다.

초가의 굴뚝인 그 구조상 굴뚝이 지붕보다 높아야 한다. 아니면 연도를 길게 빼어 집과 멀리 떨어트려 놓는다. 이러한 이유는 불을 붙기 쉬운 지붕 때문이다. 사대부가에서는 장작을 주로 때지만, 민초들은 삭정이나 검불 등을 주로 땐다. 그러다가 보니 불똥이 굴뚝을 통해 날아오를 수가 있는 것이다. 짚으로 이은 초가는 불똥만 튀어도 불이 붙을 수가 있다.

(사진은 용인 한국민속촌에 있는 초가집 굴뚝이다. 하나는 지붕보다 높게 올라가고, 돌로 쌓은 굴뚝은 집에서 떨어져 있다)

그런 화재를 염려해서 굴뚝을 높게 올리는 것이다. 굴뚝이 높으면 그만큼 불똥이 튈 확률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굳이 높게 할 수가 없을 때는 굴뚝을 연도를 길게 빼서 멀리 놓는다. 이 또한 불똥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어이없는 요즘 초가의 굴뚝, 아예 굴뚝이 없기도

초가의 굴뚝이 더 높은 이유는 민초들의 아픔이기도 하다. 잘 마른 장작하나 제대로 땔 수가 없는 지난 시절, 그나마 나무 삭정이나 검불이라도 많이 때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러한 땔감들은 굴뚝을 통해 곧잘 시뻘겋게 불똥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서 화재가 발생하기 때문에, 굴뚝을 높이거나 멀리 설치를 해야만 한다.


위는 사적 제230호인 천안의 유관순 생가지의 굴뚝이다. 전형적인 민초들의 굴뚝 모습이다. 아래는 충북 문화재자료 제38호인 청원 낭성 관정리민가의 굴뚝이다. 연도에서 솟은 연소통이 짧다. 이 집이 있던 곳은 바람이 많지 않았다고 하지만, 초가의 연소통치고는 너무 짧은 감이 있다.


이런 초가 굴뚝의 특성은 복원이라는 허울로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변질이 되어버렸다. 굴뚝의 연도를 뺀 후 길게 연소통을 올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굴뚝 연도 끝에 작은 통 하나를 박아놓는 것으로 그쳤다. 만일 그런 곳에 검불이나 삭정이들을 아궁이에 집어넣고 불을 지핀다고 하면, 그야말로 불조심과는 거리가 먼 일이다.

그런데 여기저기 옛 집들을 돌다가보니, 더 가관인 집도 있다. 아궁이는 있는데 아예 굴뚝이 없다. 세상에 굴뚝이 없는 집도 있을까? 그렇다면 연소는 어떻게 할까? 그저 대충 집만 비슷하게 만들어 놓고, 그 다음엔 무관심했다는 것이다. 굴뚝은 집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구조물이다. 그런 굴뚝이 없이 집을 지어놓고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는 것이 말이 되는 소리일까?



위는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의 초가집 굴뚝이다. 바람이 강한 곳이기 때문에 담장에 연도를 집어 넣었다. 가운데는 중요민속문화재 제39호인 고창 신재효 생가의 굴뚝이다. 낮지만 연도를 길게 빼어 집에서 떨어트려 놓았다. 그리고 아래는 삼척시 도계의 신리 너와집 굴뚝이다.


사는 집과 살지 않는 집의 차이

이런 오류는 사람이 살고있는 집과, 사람이 살고있지 않은 집이 극명하게 대비가 된다. 사람이 살고 있으면 제대로 된 굴뚝이 보인다. 문제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집들이다. 거의 제 몫을 못하는 보여주기 위한 굴뚝을 만들어 놓고 있다.

초가집에도 아름다운 굴뚝이 있다.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에 가면 굴뚝이 담장에 올라앉아 있다. 그것도 항아리로 마련하였다. 바람이 센 지역에서는 이런 굴뚝이 보이기도 한다. 담장 안에 연도를 집어넣고, 그 위에 항아리를 올려놓은 것이다. 바람에 무너지거나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위는 수원 파장동에 있는 중요민속문화재 제123호인 광주이씨 월곡댁의 굴뚝을 세우는 연도이다. 연도만 마련하고 연소통은 마련하지 않았다. 아마도 아궁이는 사용하지 않는 듯하다. 가운에와 아래는 남원 운봉에 있는 가왕 송흥록의 생가지에 세워진 집이다. 측면을 보고, 뒷면을 보아도 굴뚝이 아예 보이지를 않는다.


굴뚝 하나에도 철학이 있는 우리네의 집들. 그 굴뚝을 돌아보면, 나름대로의 멋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우리 선조들의 미학이다.

사람으로 태어나 세상을 살다가 죽음에 이르면, 많은 회상에 잠길 것이다. 과연 나는 무엇을 위해서 세상을 살았는가 정도는 정리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곳이 바로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반계서당’이다. 그곳을 오르면 절로 왜 사는가? 혹은 무엇을 할 것인가? 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전북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산 128-7번지. 부안에서 곰소를 항해 30번 도로를 타고 가다가 보면, 우측 산 중턱에 집이 한 채 보인다. 우동리 마을로 접어들면 길가에 '반계선생 유적지'란 이정표가 보인다. 마을로 진입해서 들어가면 '반계서당'이라는 안내판이 길에 서있다. 안내판을 따라 10여분 오르면, 저 멀리 서해 끄트머리가 보이는 곳에 반계서당이 자리한다.


『반계수록』을 집필한 반계서당

지금의 집이 당시 선생이 살던 집은 아닐 것이다. 현재 전라북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 되어있는 이 터는, 조선조 효종과 현종 때 실학자로 활동한 반계 유형원(1622-1673) 선생이 일생동안 학문을 탐구하던 곳이다. 1636년 병자호란 이후에 한양을 떠나 여러 곳을 다니면서 학문에만 열중하던 반계선생은, 효종4년인 1653년 선조의 체취가 남아있는 이곳 우동리로 이주하여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평생을 야인으로 살다 세상을 하직한 반계선생. 선생은 농촌을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학문의 목적을 두어야 한다는 일념으로 평생을 살아오셨다. 조선후기의 수많은 실학자들이 반계선생의 학풍에 영향을 받았다. 반계서당에 몸을 의탁한 선생은 32세에서 49세까지 『반계수록』 스물여섯 권을 이곳에서 저술하셨다.




선생의 마음과 닮아 하늘 아래 걸린 반계서당

반계서당을 찾아 길을 오른다. 마을을 지나 흙길인 산으로 난 길을 천천히 오른다. 땀이나고 숨이 가빠오지만, 길이 꺾이는 곳마다 '반계서당'이라는 푯말이 있어 고맙다. 산길을 걸어 오르다가 뒤를 돌아보니, 저만큼 물이 빠진 서해가 삐죽이 고개를 내밀고 있다. 저만큼 산 중턱에 반계서당이 보인다. 돌담을 쌓고 일각문을 내었다. 소나무 몇 그루가 주인 잃은 서당과 친구가 되었다.

일각문을 들어서기 전 잠시 머리를 숙인다. 선생의 발자취에 행여 누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문을 들어서니 일각문 앞쪽으로 샘이 보인다. 샘에는 맑은 물이 차 있어 갈증도 나던 차라, 검불만 떠 있지 않다면 한 모금 마시고 싶다. 누군가는 해골의 물도 마셨다는데, 검불 몇 가닥 떠 있다고 물을 마시지 못하는 인간이다. 하기에 이 자리에 있기가 버거운지도 모르겠다.



산 중턱에 서당을 지은 까닭을 깨우치다

서당 누마루에 앉아 땀을 닦는다. 멀리 보이는 서해가 햇볕을 받아 반짝인다. 변변한 나무도 없는 이 산 중턱에서 선생은 어떻게 그 오랜 겨울을 나신 것일까? 아마도 검불이며 삭정이를 모아다가, 겨우 방안에 온기만 들게 하셨을 것이다. 자연을 벗 삼아 사신 선생의 마음이 느껴진다.

많은 천거를 받았지만 모두 물리치고, 스스로 야인이 되어 반계서당에 오른 선생은, 52세라는 많지 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이곳에 올라 나를 돌아본다. 과연 나는 선생의 만분지 일이라도 마음을 닮을 수가 있을까? 반계서당에 올라 선생의 마음 한 조각을 담아간다. 아마도 내가 죽은 후 누군가 나를 기억할 때, 이곳 반계서당에서 조금은 변화가 되었을 것이란 마음 하나면 족하리라.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