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도를 앞에 놓고 무릎을 꿇었다. 그리고 그 월도를 하늘 높이 받쳐 들었다. 선대의 장용영 무사들에 대한 예의였다. 햇볕에 번쩍이는 월도가 바람을 가른다. 순간 단단하게 묶어 놓은 5개의 짚단이 한 순간에 동강이 난다. 짚단의 검불이 날아오른다. 기합소리에 함께 순식간에 짚단이 날아간 것이다.

 

지난 20, 수원 화성 동문인 창룡문 앞에서 수원문화재단 소속인 무예24기 시범단의 공연이 있던 날 수석단원인 무사 배국진(, 45)의 모습을 보면서, 아마도 정조시대의 장용영 무사들이 저런 모습이었을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날이 지나면서 그 모습이 머리에서 떠나지를 않는다. 24일 오후, 시범공연을 하는 화성 행궁 신풍루를 찾았다.

 

 

어려서부터 무예에 관심이 높아

 

이제 무예를 시작한지는 20년이 되었나 봐요. 1994년부터 시작했으니까요. 그 이전부터 우리 무예에 관해서 관심이 많았어요. 그 전에는 태권도를 했거든요. 공인 5단예요. 그런데 무예 24기가 더 하고 싶어서 무예를 시작했어요. 제 갈 길을 바로가지 못한 것이죠.”

 

말을 하는 것이 칼을 휘두르고, 월도로 짚단을 베는 우락부락한 무사이기 보다는 곱상한 처자같이 조심스럽다. 배국진씨는 어려서부터 태권도로 단련되었다. 공인 5단이라고 한다. 부친이 태권도 공인 9단이시고, 어려서부터 부친이 운영하는 태권도 도장에서 수련을 했단다. 대학은 전기공학과를 나왔지만 무예에 깊이 빠진 마음은 자꾸 그곳으로 발길을 돌리게 만들었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벌써 20년의 세월이 흘렀다.

 

 

무예24기 시범단 창단 멤버

 

무예24기를 시작한지 10년이 지난 2003년에 무예24기 시범단이 수원에서 창단되었어요. 그때 이곳에서 본격적인 무예 시범을 보일 수가 있어서 행복했죠. 지금은 시범단 3명의 수석단원 중 한 명입니다. 날마다 두 차례씩 오전 11시와 오후 3시에 화성 행궁 신풍루 앞에서 시범을 보이고 있어요.”

 

자신이 좋아서 택한 길이란다. 하지만 결혼을 하고 아이들을 낳고나니 생계가 걱정이 되었다고 한다. 아내가 함께 맞벌이를 하지만 그래도 윤택한 생활은 아니라는 것. 늘 아내와 아이들에게 마안하다는 것이다.

 

 

남들처럼 돈을 많이 벌면 좋죠. 하지만 저희들은 정규직이 아니기 때문에, 시범을 보이는 날만 일급으로 수당을 받고 있어요. 비가 오거나 눈이 와서 시범을 보이지 못하면, 대체 근무를 서죠. 그것도 다행이란 생각이 들어요. 예전에는 그런 날은 아예 공치는 날이었거든요. 고생을 하는 집사람에게는 늘 미안하죠.”

 

수원 최고의 문화 콘텐츠, 활성화 되어야

 

수원 화성 행궁을 찾는 사람들은 수원의 최고 문화 콘텐츠는 바로 무예24기라고 한다. 그들이 무예24기 시범이 열리는 행궁 신풍루 앞을 떠나지 못하는 것도. 바로 무예24기 시범 때문이다. 수원 화성을 찾아온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들 무예24기 시범단의 생활은 넉넉지가 않다.

 

 

저는 가끔 이런 생각을 해요. 지금 화성열차가 달리는 길을 옛 무사들이 말을 타고 달리듯, 그렇게 함께 말을 타고 달리는 꿈을 꾸죠. 그리고 동장대에서 활을 쏘고 무예 시범을 보이면 아마 더 많은 사람들이 무예24기를 즐겨 찾을 것 같아요.”

 

조심스럽게 말을 하지만 무사 배국진씨는 정말 마음속에 깊이 숨겨놓았던 이야기를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전수관과 시범을 보일 수 있는 실내 공연장이 필요한 것은, 눈이오나 비가오나 이들이 마음껏 기량을 펼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저는 머리가 하얗게 백발이 날리더라도 무예24기를 할 것입니다. 멋있잖아요, 예전 무사들처럼 백발을 날리면서 말을 타고 창검을 휘두를 수 있다는 것이. 몸이 허락하는 날까지는 무예24기와 함께 할 것입니다.”

 

신풍루 앞에서 보인 오후 3시 시범장을 정리해야 한다고 일어서는 무사 배국진씨. 몸이 움직일 수 있는 날까지 무예24기 시범을 보이겠다고 이야기를 하는 그에게서 정조대왕 시대의 장용영 무사의 기개가 보인다. 딴 고장에서처럼 수문장 교대행사를 벌이는 것이 아닌, 진정한 무예를 보여주는 무예24시 시범. 장용영의 후예 무사 배국진씨가 자긍심을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선소유적지. 사적 제392호인 선소유적은 여수시 시전동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원래 고려시대부터 배를 만들던 조선소가 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선소유적은 임진왜란 때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하게 한 거북선을 최초로 건조했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선조 24년인 1591년, 이곳 여수에 전라좌수사로 부임을 하였다. 전라좌수영의 본영인 여수는 선조 26년인 1593년 8월부터, 선조 34년인 1601년 3월까지 삼도수군통제영의 본영이었다. 이곳은 옥포, 합포, 당항포, 율포, 노량, 명량, 한산도 등에서 수군이 왜적에게 대승을 거두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곳이다.


배를 만들고 숨겨두었다는 굴강

그리고 보니 벌써 선소유적을 다녀온 지가 꽤나 시간이 흘렀다. 10월 10일 여수를 답사하면서 다녀온 선소유적. 선소유적 입구에는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표석으로 삼았다는 벅수가 나란히 한 쌍이 서 있다.

이곳 선소유적은 지도상으로 보면, 가막만의 가장 북쪽에 조선소가 있다. 현재 이곳 선소유적지 안에는 거북선을 만들고 수리했던 ‘굴강’과 칼과 창을 만들던 ‘대장간’이 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칼과 창을 갈고 닦았다는 ‘세검정’과 수군지휘소였던 ‘선소창’, 수군들이 머물렀던 ‘병영막사’ 등을 돌아볼 수가 있다.



‘만약 호남이 없었다면, 국가가 없었을 것이다.’(若無湖南, 是無國家) 이 말은 이곳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한 수군의 거점인지 알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그만큼 이곳 선소는 나라를 구하는데,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선소유적 안으로 들어가면 바닷물을 돌로 쌓은 방파제가 있다. 입구는 좁게 만들어 놓아, 배를 숨겨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굴강’이라고 부르는 이곳은 조선시대 해안 요새에 만든 군사항만 시설이다. 여기에서 고장난 배를 수리하거나, 군사물자를 배에 싣고 내린 곳이라고 한다. ‘굴강(掘江)’이라는 명칭은 대피한 배를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를 흡사 작은 만처럼 조형을 한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선소주변에는 승리의 함성소리가

선소의 중심부에 마련된 직경 42m(면적 1,388㎡)정도의 굴강. 거북선 두 척이 들어갈 수 있었다는 굴강은, 깊이가 돌로 쌓은 축대 위에서 바닥까지는 5~6m 정도가 된다. 북쪽으로 난 굴강의 입구는 폭이 9m 정도에 이르며, 방파제 역할을 하는 축대는 자연선과 깬돌로 막쌓기를 하였다.

이충무공 선소 유적지는 2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하였다. 보고서에 의하면 1980년 1차 발굴조사 시 출토유물은, 금속류 7종에 94개, 자기류 2종에 13개, 기타 4종에 18점이 출토되었다. 1985년 2차 발굴조사 시 출토유물은 금속류 5종에 21개, 자기류 4종에 387개, 기타 4종에 44개가 발굴이 되었다.





이곳 굴강에서 서남방향으로 20m 부근에는 ‘세검정(洗劒亭)’과 군기고가 현재 복원되어 있다. 항상 검을 닦고 갈았다는 세검정. 그 마루에 앉아 앞으로 보이는 바닷물을 바라본다. 400여 년 전 해전에서 승리를 하고 난 거북선과 수군들이 이 세검정 앞을 지나면서, 승리의 환호로 이곳이 떠나갈 듯 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우리의 선조들이 승리의 함성을 지르던 이곳 여수 선소유적. 그곳 세검정 마루에 걸터앉아 자리를 뜨질 못하는 이유는, 그러한 함성이 그립기 때문인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