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부터 작정을 했다. 올해는 23일 여행을 계절별로 해보아야겠다고. 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발목을 잡혀 제철 여행을 가지 못했다. 그리고 여름이 끝나가고 있다. 이번에는 이 여름이 끝나기 전에 여행을 떠나야겠다고 짐을 꾸릴 준비를 한다. 그런데 생각 외로 짐 보따리가 묵직해 질 것만 같다.

 

23일 여행 채비를 하려고 준비를 해보았다. 그런데 꽤 소소한 것들을 많이 준비를 해야 한다. 이렇게 준비를 해서 여행을 떠나야 할까? 앞으로는 이런 준비물보다 더 소규모화가 될 수 있는 여행 보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아마 앞으로 2~3년 안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은 지금도 소형화된 것들이 많이 있지만, 앞으로는 PC를 대신할 소형화된 제품들이 많이 나온다고 한다. 거기다가 카메라와 휴대폰이 서로 상응을 해 그 자리에서 바로 시진을 편집할 수 있고 글을 올릴 수 있다고 하니, 이렇게 번잡하게 준비를 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다.

 

23일간 어디로 갈까?

 

긴 시간을 돌아볼 수가 없으니 피서 겸 그리 멀지 않은 곳을 택하고 싶다. 어차피 가까운 곳이라야 무슨 일이 있으니 바로 올라올 수 있는 곳이 편하기 때문이다. 우리 같은 사람들은 수시로 일이 생기다 보니, 어디 가서 진득하니 며칠씩 묵을 수 있는 호사를 누리지 못한다. 하기에 가까운 곳에서 가고 싶었던 곳을 찾고 싶다.

 

 

그중 가장 바람직한 곳은 역시 강화도이다. 강화도는 거리도 가깝지만 수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어 도보를 이용하면서도 많은 문화재를 담아올 수가 있다. 거기다가 강화도에는 성곽까지 자리하고 있으니 금상참화가 아니겠는가? 예전에 전등사를 들어가면서 둘러본 성곽 말고도 또 다른 성들을 둘러보고 싶다.

 

강화도의 매력은 역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어있는 많은 고인돌들이다. 거기다가 해안가에 마련한 수많은 진들과 각종 문화재들. 또한 민속자료 등도 산재해 있는 곳이다. 아마도 23일의 일정으로는 강화도의 일부밖에는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래도 이곳을 돌아보고 올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이 아니겠는가.

 

 

두 번째 기고 싶은 곳은 판소리 발원지

 

이번 여행에서 두 번째로 가고 싶은 곳은 바로 판소리 발원지이다. 판소리라고 하면 사람들은 동편제와 서편제만 알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경기 충청간의 소리인 중고제(中高制)가 있었다. 중고제는 한수 이남과 금강 이북의 지역인 경기 충청간의 소리이다. 송서율창이라고 하여 마치 선비가 달밤에 글을 읽는 듯한 소리라는 중고제의 지역을 찾아보는 것이다.

 

중고제 중 경기도의 소리인 경제는 여주 신륵사에서 득음을 한 염계달의 창법이다. 또 하나의 창법은 판소리사에서 귀중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3대 명창을 배출한 김성옥-김정근-김창룡, 김창진의 기문인 김문이다. 이들의 고향인 바로 강경 일끗리라고 한다. 그곳과 이동백의 고향인 서천군 종천면 희이산, 김정근이 두 아들을 데리고 와서 살았다는 서천군 장항읍의 빗금내를 돌아보고 싶다.

 

그리고 시간이 허락한다면 돌아오는 길에 부여 부소산성과 공주 공산성 등 충청남도 공주와 부여의 백제의 흔적을 만나보고 싶다. 시간이 23일 밖에 안되는데 갈 곳이 너무 많아 병이라도 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곳 날을 잡아 준비 해놓은 짐을 들고 길을 나서리라 마음을 먹는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소재한 전등사.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11년인 38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성문사, 375년에 창건한 이불란사에 이어 전등사는 한국 불교 전래 초기에 세워진 이래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전등사를 창건한 것은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 화상이었다. 당시 아도 화상은 강화도를 거쳐 신라 땅에 불교를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도 화상이 강화도에 머물고 있을 때 지금의 전등사 자리에 절을 지었으니 그때의 이름은 진종사(眞宗寺)’라 하였다.

 

고려 왕실에서는 삼랑성 안에 가궐을 지은 후 1266년에 진종사를 크게 중창시켰으며, 16년이 지난 충렬왕 8년인 1282년에는 왕비인 정화궁주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한 것을 계기로 전등사라 사찰 명칭을 바꾸었다. 이때는 고려 왕실이 개경으로 환도한 뒤였고, 39년 동안 쓰였던 강화 궁궐터는 몽골군에 의해 폐허로 변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삼랑성 안의 전등사는 꾸준하게 사세를 유지해나갔다.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

 

전등사 대웅보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범종각 안에는 보물 제393호인 전등사 철종(傳燈寺 鐵鍾)’이 있다. 이 종은 우리나라의 범종과는 그 모습이 전혀 다르다. 이 쇠로 만든 철종은 일제강점기 말기에 금속류의 강제수탈로 빼앗겼다가, 광복 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하여 전등사로 옮겨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다.

 

전등사 철종은 형태와 조각수법에서 중국종의 모습을 하고 있다. 종의 높이는 1.64m, 입지름 1m의 종으로, 종 꼭대기에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웅크려서 종의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은 없다. 몸통 위 부분에는 8괘를 돌려가며 나열하고, 그 밑으로 종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8개의 정사각형을 돌렸다.

 

 

겉에는 상하로 구획이 지어져 띠가 둘려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 표면에 8개의 네모진 구획이 마련되어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많이 마멸되어 판독하기가 어렵다. 이 정사각형사이에는 명문을 새겼는데, 이 명문으로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이라는 것과, 북송 철종 4, 곧 고려 숙종 2년인 1097년에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에 의해 강제 수탈되었던 종

 

이 종은 기하학적 무늬로 장중하고 소박한 중국 종의 솜씨를 보이며, 종소리가 맑고 아름다운 게 특징이다. 이 종은 일제 말기 군수 물자 수집에 광분한 일제가 공출이란 명목으로 빼앗아 가는 바람에 한때 전등사를 떠나기도 했다. 하지만 광복 이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되어 다시 전등사로 옮겨왔다.

 

 

전체적인 종의 형태가 웅장하고 소리가 청아하며, 중국 종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화재로 평가를 받고 있는 전등사 철종. 이 종이 어떤 경로를 통해 전등사로 유입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일제에 의해 공출이 되었던 종이, 무사히 전등사로 돌아올 수 있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일이다.

사랑하는 여인이 배신을 했다. 장인은 그 여인에게 평생 벗어날 수 없는 멍에를 씌웠다. 전등사는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번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족산성 안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의 말사이다. 고구려 소수림왕 11년인 381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이름을 ‘진종사(眞宗寺)’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원종 7년인 1266년에 중창하였으며, 충렬왕 8년인 1282년에 충렬왕의 비인 정화궁주가 승려 인기에게 부탁하여, 송나라의 대장경을 가져와 이 절에 두게 하고 옥등을 시주하여 전등사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충숙왕 6년인 1337년과 1341년 승려들이 중수하였고, 그 뒤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는 고찰이다.

 

 

고졸한 멋을 풍기는 전등사 대웅전

 

전등사대웅전은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78호로 지정이 되었다. 전등사 대웅전은 1916년 수리 시에 발견된 ‘양간록(樑間錄)’에 의하면 선조 38년인 1605년에 일부가 불탔으며, 다시 광해군 6년인 1614년에 불이나 전소가 되었다. 다음해인 1615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광해군 13년인 1621년에 거의 완공을 본 것으로 되어 있다.

 

『전등본말사지(傳燈本末寺誌)』에는 철종 6년인 1855년에 규영화주에 의해 중건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전등사 대웅전은 아름답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팔작집으로 막돌 허튼층 쌓기 한 높은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민흘림 두리기둥을 세워 공포를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짜올린 다포식 건축이다.

 

 

 

처마를 받치고 있는 벌거벗은 여인들

 

전등사를 몇 번이나 찾아갔지만 전등사와 만날 때마다 새로운 기분에 젖는 것은 주변의 경관이 아름답다는 점도 있겠으나 볼 때마다 달라지는 처마 밑 ‘나목녀(裸木女)’들의 표정인 것 같다. 어느 날은 편안한 듯한 표정이었다가, 또 어느 땐가는 절박한 표정이기도 한 것은 찾을 때의 내 마음이 비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전하는 이야기 대로라면 도목수를 속이고 정분이 나서 사라진 여인을 영원히 절의 처마를 바치고 참회를 하라는 뜻으로 조각을 해서 올렸다는 것이다. 전하는 이야기가 참으로 마음 아프게 다가오는 것은 왜인. 휴일을 맞아 찾아드는 많은 관광객들은 그저 처마 밑에 웬 사람이 있느냐고 반문을 하다가도 죄를 지은 여인이 벌을 받고 있다는 말에 시큰둥한 표정이다.

 

쭈그리고 앉은채로 무거운 처마를 받치고 있는 나목녀

 

아마도 요즈음에 그런 것이 무슨 죄가 되겠느냐는 그런 마음인지도 모른다. 전등사 처마 밑의 나목녀들을 바라보면서 세상이 참으로 많이도 변했다는 생각과, 이제는 그만 그 올무를 벗고 처마 밑에서 내려왔으면 하는 마음이다.    

 

여인을 벌거 벗겨놓은 도목수의 숨겨진 마음

 

전등사 대웅전의 처마를 받치고 있는 나목녀는 마을에 사는 여인네라고 한다. 절집을 짓던 도목수는 그 여인에게 반하여 돈을 벌어 모두 그 여인에게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여인은 도목수가 벌어다 준 많은 돈을 갖고 딴 남자와 눈이 받아 도망을 갔다는 것. 실의에 빠져 있던 목수는 배신감을 느꼈고, 그 여인을 벌거벗겨 대웅전 처마 밑에 올렸다. 그 곳에서 참회를 하고 살라는 것이다.

 

 

나는 이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의아심을 갖는다. 그 도목수의 마음이다. 참회를 하라고 그 여인상을 만들아 올렸다고 하는데, 그러면 옷이나 입혀줄 일이지 하필이면 발가벗겨 놓았을까? 갈 때마다 그 여인을 바라보면서 측은하다는 생각을 한다. 오랫동안 무거운 처마를 이고 벗은 몸이 부끄러워 한손으로는 처마를 받치고, 한손으로는 무릎 밑을 가린 채 엉거주춤 쭈그리고 앉아있는 그 여인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때로는 그 도목수가 원망스럽기도 하다.

 

그러나 그 도목수의 깊은 마음을 알게 된 것은 몇 번인가 전등사를 찾은 후였다. 옷을 입혀 놓으면 자신이 사랑했던 여인이 다시 도망을 갈 테고 그러면 죄를 또 짓게 되어 그 업보가 더 깊어질 것을 막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사랑하던 여인이 더 이상 죄를 짓지 못하게, 마음이 아프지만 옷을 벗겨 대웅전 처마 밑에 올린 도목수.

 

 

 

그야말로 정녕 그 시대의 아름다운 사랑을 안 것은 아닐는지. 요즈음 그런 이야기를 듣고 콧방귀를 뀌는 사람들에게,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것 같아 고개가 숙여진다. 이번 여름 피서도 할 겸 강화 전등사를 찾아 나목녀를 바라보며, 다시 한 번 사랑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