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양사터라고 전하는 홍천 물걸리 사지. 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보물 5점이 옛 절터를 지키고 있다. 19674월에 이 절터를 발굴하면서, 출토 유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 1, 고려시대 철불 파편 4, 철쇄 파편 2, 암막새 4, 수키와 조각 6, 암키와 조각 6점 등이 발굴되었다.

 

또한 청자 조각 4, 토기 조각 5, 조선시대 백자 조각 7점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1호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 대좌, 보물 제544호 대좌 및 광배, 그리고 보물 제545호인 삼층석탑이 옛 절터에 보존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물걸리 사지는, 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이곳에 절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이곳은 사지 앞에 대승사라는 절이 들어서 관리를 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의 석조여래좌상

 

이 물걸리 사지 동편에 마련한 전각. 그 안에는 4기의 보물이 보관되어 있다. 그 중 보물 제541호로 지정이 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얼굴은 마멸이 심해 세세한 표현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전체적은 형태의 모습에서 이 여래좌상이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이 되었음을 쉽게 알 수가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의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은 듯하다.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 묶음인 육계가 펑퍼짐하게 솟아있다. 법의는 양 어깨에 걸치고 있고, 가슴에는 띠 모양의 매듭을 단정하게 묶은 것이 보인다. 어깨는 둥글지만 두텁고 투박하게 보인다.

 

 

광배가 사라져버린 이 석조여래입상은 상체는 8세기 불상에 비해 평판적이고 왜소한 편이다. 그런 표현을 하다가 보니, 당당한 양감이 사라져버린 모습이다. 손은 오른손을 무릎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왼손은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하여 무릎 위에 올렸다. 이런 수인은 항마촉지인으로 부처가 깨달음에 이른 순간을 상징한다. 이러한 수인으로 보아 이 석조여래좌상은 석가모니 부처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얼굴은 마모가 심해 자세히는 알 수가 없으나, 눈과 코, 입이 적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얼굴모습은 통일신라 후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통일신라 전기에 비해 양감면에서 뒤처지고 있다.

 

 

여러 마리의 팔부중상과 가릉빈가로도 부족했소?

 

불상이 앉아있는 불대좌는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있다. 오랜 세월 풍상에 씻기면서 조금은 마모가 되기도 했지만, 문양 등을 정확하게 알아볼 수가 있다. 이 불대좌는 상, , 하대로 구분되어 있다. 8각형으로 조성된 하대에는 각 면마다 무늬가 있고, 향로와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가 새겨져 있다.

 

가릉빈가와 향로는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부조로 조각하였다. 중대석은 아랫돌에는 커다란 앙화의 끝에 귀꽃을 새겨 넣어 멋을 더했다. 그리고 8각의 각 면에는 팔부중상을 돋을 새김하였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팔부중상의 흔적은 많이 마모가 되어, 정확한 표정이나 행동등을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다.

 

 

상대에는 활짝 핀 모양의 여러 장의 연꽃무늬를 겹쳐 새겨져 있다. 마모로 인해 신체표현을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둥근 얼굴에 눈, , 입이 작고 신체가 두텁고 투박한 점과, 불대좌에 많은 장식을 한 점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중엽 이후의 전형적인 석불의 양식을 보여주고 작품이다.

 

가릉빈가와 팔부대중, 그리고 향로와 연꽃 등. 비록 섬세한 표현은 아니라고 해도, 많은 문양 등을 이용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아마도 광배가 남아있었다고 한다면, 그곳에는 화불과 넝쿨문양 등을 조각했을 것이다. 사라진 한 부분이 상당히 아쉽게 느껴지는 것은, 역시 문화재란 처음 모습 그대로를 만날 대 가장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중리 산195-1 번지에 소재한 쌍봉사. 쌍봉사에서 좌측으로 산길을 조금 오르면 국보 제57호인 ‘철감선사탑’이 자리한다. 이 철감선사탑은 철감선사의 부도탑이다. 부도란 옛 고승들의 사리나 유골을 모신 일종의 무덤을 말한다. 철감선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28세 때 당으로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였다.

신라 문성왕 9년인 847년에는 범일국사와 함께 돌아와, 풍악산에 머무르면서 도를 닦았다. 경문왕대 때에 이 곳 화순의 아름다운 경치에 끌려 절을 지었는데, 절 이름을 그의 호인 ‘쌍봉’을 따서 ‘쌍봉사’라고 이름 하였다. 경문왕 8년인 868년에 71세로 쌍봉사에서 입적을 하였으며, 경문왕은 ‘철감’이라는 시호를 내리어 탑과 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국보 제57호인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조각예술의 백미로 꼽히고 있다


뛰어난 조각술이 돋보이는 철감선사탑

8월 21일에 쌍봉사를 찾았으니, 벌써 한 달이 다 되어간다. 화순지역의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찾아간 쌍봉사. 쌍봉사는 고찰답게 많은 문화재들이 경내에 소재한다. 철감선사탑이 있다는 곳으로 오른다. 주변을 담을 쌓은 안에 자리한 탑 옆에는, 보물 제170호인 비문이 사라진 탑비도 함께 있다. 담이 터진 입구 쪽으로는 탑이 서 있고, 그 안쪽에 탑비가 있다.

철감선사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통일신라 때의 일반적인 탑의 형태로 조성을 하였다. 탑은 전체적으로 모두 남아있으나, 아쉬운 것은 꼭대기의 상륜부인 머리장식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철감선사탑은 기단이 상중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단부의 장식이 화려한데 그 중 밑돌과 윗돌의 장식이 화려하다.





하층기단인 밑돌은 2단으로 조성했는데 8마리의 사자가 구름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조각하였다. 이 사자들은 저마다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시선은 앞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다. 마치 탑으로 접근하는 자들을 감시하는 듯한 모습이다. 사자의 아래는 조금 넓게 조성을 해 구름문양을 조각하였다, 그래서 마치 사자들이 구름위에 앉은 모습을 표현하였다.

조각한 장인의 염원이 담긴 탑

상층의 윗돌 역시 2단으로 조성을 하였다. 아래에는 커다란 앙화를 조각해 두르고, 윗단에는 불교의 낙원에 산다는 극락조인 ‘가릉빈가’를 새겼다. 이 가릉빈가들은 모두 악기를 타는 모습을 돋을새김으로 새겨두었다. 사리가 모셔진 탑신은 몸돌의 여덟 모서리마다 둥근 기둥모양을 새기고, 각 면마다 문짝모양, 사천왕상, 비천상 등을 아름답게 조각해 두었다.


몸돌에는 사천왕상과 함께 비천상까지 돋을새감으로 조각하였다(위) 천상에 산다는 극락조인 가릉빈가들은 모두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몸돌의 조각은 사천왕상을 조각하는 것에 비해, 철감선사탑은 비천상까지 함께 새겨져 더욱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뛰어난 조각 솜씨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깊게 패여 있고 각 기와의 끝에는 막새기와가 표현되어 있다. 처마에는 서까래까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뛰어난 장인에 의해 조각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철감선사탑을 조성한 시기는 선사가 입적한 해인 통일신라 경문왕 8년인 868년쯤으로 추정된다. 상륜부가 사라져 아쉽기는 하지만, 조각 하나하나를 정성스럽게 다듬은 장인의 정성이 고스란히 전해져 오는 걸작품이다. 아마도 이 탑을 조성한 장인은 자신이 이렇게 아름다운 비천인이나 가릉빈가들이 살고 있다는 극락을 염원에 둔 것은 아니었을까?


8마리의 사자들은 각각 자세를 달리해 앞을 주시하고 있다. 탑을 지키기 위한 것일까? 


당시에 만들어진 탑 가운데 최대의 걸작품이라 평가를 받고 있는 철감선사탑. 그곳을 떠나기 아쉬운 것은 언제 또 다시 이런 아름다운 탑을 만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더 눈에 담아두고 싶은 마음이다

부도란 예전 스님들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부도의 꾸밈은 석탑과 같이, 기단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전체적으로 보면 기단부와 탑신, 그리고 머릿돌로 조형이 된다. 머릿돌은 지붕을 얹고 그 위에 연꽃모양으로 만든 보주를 얹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런 일반적인 부도와는 다른 아름다운 부도가 눈길을 끈다.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 돌 위에 세워진 국보 제53호 연곡사 동부도는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인 진평왕 6년인 545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한 연곡사는, 고려 초기까지도 스님들이 선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다. 그래서인가 연곡사에는 이 외에도 보물 제154호인 서부도로 불리는 소요대사부도와 국보 제54호 북부도가 있다.


천상의 반인반조인 가릉빈가를 새겨

동부도의 기단은 세 층으로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그리고 위 받침돌을 차례로 올렸다. 이단으로 꾸며진 아래받침돌에는, 구름에 휩싸인 용과 사자모양을 각각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에는 둥근 테두리를 두르고, 부처님의 설법을 들으러 몰려드는 팔부중상을 새겨 넣었다.

위받침돌은 밑면을 둥글게 하여 두 겹의 연꽃잎과 기둥모양을 세밀하게 묘사했다. 그리고 둥근 테를 두른 안에 불교의 낙원인 극락에 산다는 전설 속의 새인 ‘가릉빈가’를 새겨 넣은 점이 독특하다. 가릉빈가는 전설속의 극락조로 하반신은 새이고, 상반신은 사람인 점이 특이한 모습이다.



자태가 아름답고 소리가 묘하다는 가릉빈가는 불가의 호법신장의 일종으로 볼 수가 있다. 일찍 고구려 안악고분 등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그림이 보인다. 가릉빈가는 결국 부도 안에 모셔진 사리를 보호하기 위한 호법의 기능과, 부처님을 덕을 찬양하기 위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극락조로 불리는 가릉빈가는 반인반조의 몸으로 호법과 찬양의 기능을 갖고 있다.
 
통일신라 최고의 걸작인 동부도

탑신인 몸돌에는 각 면에 테두리를 두르고, 그 안에 수호신장인 사천왕상과 향로 등을 새겨 넣었다. 돋을새김을 한 사천왕상은 지금보아도 당장 호령을 하고 뛰쳐나올 듯한 기개를 보인다. 팔각으로 정교하게 마련한 지붕돌은 돌 위에 새겼다고는 볼 수 없게 화려함을 보이고 있다. 서까래와 기와의 골은 물론, 부연과 막새기와까지 표현을 할 정도로 뛰어나다.



머리장식은 화려함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사방에 날개를 활짝 펴고 있는 봉황을 두고, 연꽃무늬를 아래위로 새겨놓았다. 일설에는 도선국사의 부도라고도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알 수가 없다. 이 부도의 아름다움에 반한 일제는 동부도를 동경대학으로 옮겨가려고 하였다는 소리에 간담이 서늘해진다. 안타까운 것은 머리장식에 새긴 네 마리 봉황의 머리가 다 잘려나갔다는 점이다.



사방에 날개를 펼친 봉황의 머리는 모두 잘려나갔다

느낌이 일부러 그렇게 잘라버린 듯 해 씁쓸하다. 한 마리도 아니고 어떻게 네 마리의 머리가 하나도 남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 봉황의 모습이 더욱 궁금하다. 아마 머리 위에는 또 다른 장식은 없었는지. 그리고 그 머리를 잘라낸 또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영원한 미궁으로 남을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