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에 소재한 백장암. 백장암은 남원 실상사의 부속 암자이다. 실상사는 백장암은 천왕봉의 서쪽 분지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인 828년 증각대사(일명 홍척국사)가 선종9산 중 실상산문을 열면서 창건하였다. 절 안의 백장암 남쪽 밑으로 울타리를 마련하여 몇 점의 유물을 보호하고 있는데, 석등은 국보 제10호인 백장암 삼층석탑과 함께 있다.

 

석등은 일반적으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밑에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데, 이 석등은 받침의 기단석은 땅속에 묻혀있는 상태이다. 받침은 가운데에 8각의 기둥을 두고, 아래와 윗받침돌에는 한 겹으로 된 8장의 연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큼지막하게 새긴 연꽃잎은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 보존이 되어있다.

 

간결하게 처리한 화사석

 

보물 제40호인 백장암 석등의 화사석은 8각형으로 네 면에 창을 뚫어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간결하게 처리하였고, 그 위의 머리장식으로는 연꽁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가 큼지막하게 올려져 있다. 각 부분에 새긴 세부적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짐작된다.

 

 

전체 높이가 2.5m인 백장암 석등은 조각을 한 기법 등으로 보아 곁에 함께 서 있는 국보 제10호인 석탑과 동일한 시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백장암은 실상사로 가는 길 좌측으로 난 산길로 한참을 걸어 올라가야 만날 수가 있다. 11월 말이라고 해도 한 낮의 날씨는 땀이 날 정도이다.

 

하물며 구불구불 산 정상부로 향해 난 도로를 따라 걷는 길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흐르는 담을 닦아내며 찾아간 백장암. 경내 한 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석탑과 석등은 흐르는 땀을 잊을 정도로 아름답다. 도대체 이렇게 높은 곳이 있는 절집에,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 석조물을 조성할 수가 잇엇을까?

 

 

뛰어난 석조각 눈에 현란해

 

국보인 백장암 석탑이야 말할 필요가 없다. 그 아름다움이란 사람이 조각을 했다고 말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런 국보 옆에 서 있는 석등 역시 단출하지만 품위를 지키고 있다. 보주의 조각 아래 지붕돌의 날렵한 처마는 한옥의 고운 처마 선을 연상케 한다. 그리고 그 밑에 4개의 창을 낸 화사석 역시 보기에도 반듯하다.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위 받침돌의 조각은 큼지막하게 연꽃잎을 조각하고 그 안에 술을 표현했다. 그 큼지막한 연꽃잎은 통일신라의 기상을 나타내듯 힘이 넘친다. 팔각의 기둥은 딴 석등의 간주석에 비해 조형미가 뛰어나다. 그리고 아래받침돌에 새겨진 앙련 역시 힘이 넘친다.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감탄이 절로 나온다. 만일 이 백장암 석등이 석탑 옆에 자리하지 않고 별개로 서 있었다고 하면 그 아름다운 힘찬 기상이 더했을 것이다. 그런 아쉬움을 두고 바라보아도 이렇듯 훌륭한 석조 예술품이다. 석탑과 석등을 돌아보고 난 뒤 경내를 한 바퀴 돌아 산 밑을 바라본다.

 

저 밑 계곡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흐르는 땀을 식혀준다. 몇 분의 선방에 있는 스님들이 포행이라도 나가는 듯 줄지어 뒷짐을 지고 걸어나간다. 어디로 나가는 것일까? 바쁜 여정만 아니라면 스님들의 뒤를 따라 산길을 걸어 포행에 동참을 하고 싶다. 늘 절집을 찾아다니면서 스님들의 포행길을 일부러 걸어보는 것도, 그렇게라도 하면 세속에서 찌든 때가 조금은 가실 것만 같아서이다. 산봉우리에 걸린 구름 한 점 미동도 하지 않는 오후 시간이다.

(두번 째 사진은 문화재청 자료입니다)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4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옛 한계사 터. 한계령 중턱의 장수대에 자리하고 있는 이 사지에는 보물 제1275호인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 다. 앞으로는 한계천이 흐르고, 뒤로는 산줄기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이 한계사는, 만해 한용운이 지은 책에 의하면 신라 진덕여왕 원년인 647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쳐 약 17세기 말까지는 절의 명맥을 유지했던 것으로 짐작이 되는데, 이는 정확한 것은 아니다. 현재 이 한계사지에는 건물의 주춧돌과 석수, 불좌대 등이 남아 있고, 삼층석탑 2기와 불상, 석등 등 많은 석조물이 있다.


떨어져 있는 남북 탑, 쌍탑으로도 추정해

한계사지에는 두 기의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두 기의 탑을 쌍탑으로 보기도 한다. 그 이유는 두 삼층석탑이 비슷한 시기에 삼층석탑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남 삼층석탑은 금당터 앞에 서있는데, 받침대 역할을 하는 이층의 기단을 두고 있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 당시의 전형적인 신라탑 형식으로 조성이 되었다. 처음으로 이 탑을 보는 사람들도 ‘참 반듯하다’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아래층 기단에는 한 면에 3개씩의 안상을 새겨 넣었다. 그저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형태의 탑으로, 그 가운데서도 기품을 느끼게 하는 탑이다.




지붕돌에는 풍경을 단 흔적이 있어

위층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각 면의 중앙에 기둥을 본떠 새겼다. 양우주와 중앙에 탱주를 돋을새김 한 것이다. 탑신의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1, 2층은 5단으로, 3층은 4단으로 줄어져 있다.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끝부분에 이르러 살짝 들려 있어 밋밋함을 벗어나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은 다 없어졌으니, 최근에 둥근 돌을 하나 복원하여 얹어놓았다.

이 남 삼층석탑은 9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계사지를 정리할 때 낡은 산장 옆에 옮겨져 있던 것을, 원래의 자리를 찾아 복원한 것이다. 탑은 파손되었던 부분을 복원하면서, 일부를 너무 모나게 다듬어서인가, 원래의 석재들과 잘 맞지 않는다. 서북쪽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북 삼층석탑과 비교하면, 기단에 새긴 조각의 모양이나 지붕돌받침수가 서로 달라 석탑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붕돌의 끝 모서리 부분에는 작은 구멍이 하나씩 보인다. 아마 풍경을 매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탑의 크기 등으로 보아 무게가 나가는 풍탁을 매단 것 같지는 않다. 오랜 세월 한계사지를 지켜 온 남 삼층석탑. 그 모습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든다.

옛 선조들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을까?

답사를 하면서 늘 궁금하게 느끼는 것은, 이렇게 많은 석탑과 석불을 만든 장인들의 마음이다. 무슨 마음을 갖고 이렇게 힘든 작업을 한 것일까? 물론 지금도 석불이나 석탑을 조성한다. 하지만 그 당시와 지금의 작업방법은 전혀 다르다. 망치 하나와 정만을 갖고 조성했을 당시의 장인들. 아마 이렇게 석탑이나 석불, 그 외에 많은 문화재를 보고 감동을 받는 것은, 그러한 장인정신의 마음을 읽기 때문이나 아닐는지.



한계령을 오르다 만난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에서 그 해답을 얻어 보고도 싶지만, 아직은 그럴만큼 농익지 않은 문화재 답사길이다.

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산44번지에 자리한 약사여래불. 속칭 ‘팔공산 갓바위’ 라고 부르는 해발 850m의 험준한 팔공산 남쪽 관봉의 정상에, 병풍처럼 둘러 쳐진 암벽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좌불상이다. 관봉을 ‘갓바위’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불상의 머리에 마치 갓을 쓴 듯한 넓적한 돌이 올려져 있어서 유래한 것이다.

7일 아침 일찍 남원을 출발했다. 예정으로는 갓바위를 거쳐, 동화사와 또 한 곳을 둘러보리라 한 것이다. 그러나 이건 또 무슨 일인가? 88도로 좁은 길에서 버스가 그만 고장이 나, 오도 가도 못하고 1시간 이상을 지체했다. 대체된 버스를 갈아타고 출발을 했으나. 예정보다 근 1시간 이상을 지체한 것이다.


9세기에 조성된 당시 최고의 걸작품

10여일이 가깝게 몸살감기로 진이 다 빠져버렸다. 갓바위 주차장에 버스를 대고 걸어 올라가는 길이 그리 험할 줄이야. 벌써 7차례나 갓바위를 올랐다. 여느 때 같으면 한 걸음에 오르던 갓바위다. 그러나 기운이 쇠할 대로 쇠한 뒤라, 조금만 계단을 올라도 숨이 차다. 몇 번을 쉬면서 겨우 갓바위에 올랐다.

보물 제431호 갓바위 부처님은 약사여래불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뚜렷하다. 머리 위에 커다란 돌을 이고 있어, 갓바위라 부른다고도 한다. 언제보아도 갓바위 부처님은 근엄하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며 탄력이 있고, 눈 꼬리가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가 있다. 귀는 어깨에 닿을 듯 늘어지고, 굵고 짧은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어깨는 일반적인 석불에 비해 위로 약간 올라간 듯하다. 넓은 어깨는 반듯해서 당당하고 건장하다. 그러나 신체의 부위는 가슴이 평판적이라 조금은 둔한 느낌을 준다. 두 손은 무릎 위에 올렸는데, 조금은 투박한 듯하다. 오른손 끝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과 유사한 손모양은 석굴암의 본존불과 닮았다. 그러나 불상의 왼손바닥 안에 조그만 약함을 들고 있는 것을 보면 약사여래불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수능이 시작되면 바빠지는 갓바위 부처님

불상이 자리하고 있는 대좌는 4각형인데, 앞면과 옆면으로 법의 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다. 불상의 뒷면에 병풍처럼 둘러쳐진 암벽이 광배의 구실을 하고 있으나, 뒷면의 바위하고는 떨어져 따로 존재하고 있다. 풍만하지만 경직된 얼굴, 도식화된 옷주름, 평판적인 신체는 8세기의 불상과는 구별되는 9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지칠 데로 지쳤지만 우선 손을 모으고 참배를 한다. 앞에 놓인 자리에 앉아 겨우 고개를 숙인다. 많은 사람들의 서원을 비는 소리가 조금은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만든다. 자리들을 차지하느라 일행을 불러대는 사람들도 있다. 수능 100일전부터 갓바위 부처님은 몹시 바빠지신다.

자녀들의 좋은 성적을 기원하기 위한 부모들의 마음은 한결같다. 자신의 아이가 좀 더 나은 점수를 받게 해달라고 마음속으로 빌 것이다. 바위에 손과 이마를 대고 비는 사람들도 보인다. 이곳에서는 어떤 형태로 기원을 하든지, 아무도 간섭을 하지 않는다. 비는 사람들마다 각자 자신의 서원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갓바위 부처님은 늘 바쁘시다. 그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을 들여다보셔야 하기 때문이다. 그 서원을 일일이 귀담아 들으시고, 그것을 들어 주시려면 아마 쉴 틈도 없을 것이다. 그렇게 갓바위 부처님은 늘 표정 하나 변하지 않고, 사람들의 원을 들어주시나 보다. 오늘도 사람들은 갓바위 부처님께 서원을 한다. 그 많은 중생들을 일일이 내려다보고 계시는 갓바위 부처님.

“얘야, 나 요즘 엄청 바쁘거든. 네 서원은 네가 알아서 이루어라”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