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옛 사지인 선림원지에 소재한 네 기의 보물 중 보물 제445호인 석등은 사지 안에 자리한 보물 제446호인 홍각선사탑비와 함께 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선림원은 발굴 당시  출토된 신라 범종에 의해 당시 해인사를 창건한 순응법사에  의해 창건된 절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석등은 불을 켜두는 곳인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는 기단과 상,중, 하대석을 놓는다. 위로는 덮개석인 지붕돌과 머리 장식을 올리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보물 제445호인  이 석등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이 팔각형식을 따르면서도. 받침돌의 구성만은 매우 독특하여 눈길을 끈다.


받침돌과 머릿돌에 귀꽃을 장식해

선림원지 석등은 아래받침돌과 머릿돌에 같은 형태의 귀꽃을 장식하고 있다. 받침돌인 지대석은 4매의 네모난 돌을 받쳐놓고 그 위에 팔각의 하대를 올려놓았다. 하대의 각 면에는 안싱을 음각하였으며,그 위의 복련에는 팔각에 앙증맞은 귀꽃이 돌출되어 아름답다. 그 위로는 가운데 받침돌을 기둥처럼 세웠는데, 마치 서 있는 장고와 같이 허리가 잘록해 미적 감각이 돋보인다.

기둥의 양끝에는 구름무늬띠를 두르고 홀쭉한 가운데에는 꽃송이를 조각한 마디를 둔 후, 이 마디 위아래로 대칭되는 연꽃조각의 띠를 둘렀다. 간석의 아름다움 만으로도 이 석등의 가치를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 석등의 간석과 화사석은 색깔이 달라 보는이로 하여금 의아한 생각이 들기도 한다. 후에 파손된 부분을 보수 한 것은 아닌지.


받침돌의 뛰어난 조각과 음각한 안상(아래)

귀꽃이 조형미의 극치

전국에 있는 많은 석등을 보아왔지만 이렇게 팔각으로 조형을 한 석등에 받침돌과 머릿돌에 함께 귀꽃을 장식한 예는 흔하지가 않은 듯하다. 화사석은 사면에 장방형의 화창을 뚫었고, 각 면의 아래에는 작은 공간에 장방형의 액을 마련하고 그 안에 한 구씩의 안상을 새겨 넣었다. 이러한 형태도 찾아보기 힘든 아름다움을 지닌다.


장고통처럼 조성한 간석

화사석을 덮은 몸돌은 팔각의 모서리선이 뚜렷하며, 추녀에는 아래받침돌에서 보았던 같은 모양의 귀꽃조각이 장식되어 있다. 일부가 깨어져 나간 지붕돌의 귀꽃이 더욱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그나마 남아있다는 인도감 때문인가 보다. 처마의 선은 부드럽게 굴곡을 이루고 있으며, 귀꽃조각과의 만남이 자연스러워 이 석등의 조각술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석등의 맨 위에 올린 상륜부는 연꽃이 새겨진 머리장식의 작은 받침돌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만일 이 파손이 된 귀꽃과 상륜부만 온전하다면, 아마도 국보로 지정이 될만한 걸작이다. 장고통처럼 조형한 간석 상, 하의 권운문이나 상대석에 조각한 겹잎앙련 또한 이 석등이 갖는 아름다움이다.


귀꽃을 장식한 머릿돌과 화시석

신라 시대의 석조미술 품 중에서도 뒤쳐지지 않는 훌륭한 아름다움을 지닌 선림원지 석등. 이러한 소중한 문화유산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에, 우리나라의 뛰어난 예술세계를 느낄 수가 있다. 다만 그것을 알지 못하는 일부의 문화사대주의자들이 우리 문화를 폄하하는 일만 없다면.


양양군 서면 황이리, 양양에서 출발을 하여 구룡령으로 가는 길에 만나게 되는 선림원지는, 미천골이라는 계곡 곁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선림원지에는 4종의 보물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선림원지 한 편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446호는, 홍각선사의 탑비 귀부 및 이수이다. 이 탑비는 홍각선사의 공로를 기리기 위한 탑비이다.

2004년 10월에 선림원지를 답사 갔을 때는 비 받침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이 남아있었다. 이번 11월 14일 답사를 할 때는 새롭게 조성을 한 비가 새워져있어 완전한 옛 형태를 보이고 있다. 비문이 파편만 남아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것을 재현하여 세웠다고 한다. 이 홍각선사 탑비의 재현된 비는 가로 94cm, 세로 173.5cm 정도로 1,340자 내외가 있던 것 중, 710자를 복원하였다고 한다.



새로 몸돌인 비를 세운 이번 답사 때의 모습과(위) 지난 2004년 10월 귀부와 이수만 있을 때의 모습(가운데와 아래)

통일신라 때 세워진 홍각선사 비

보물 제446호인 홍각선사 비는 통일신라 때인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탑비는 비받침인 거북이인 귀부와 몸돌, 그리고 머릿돌인 이수로 구분한다. 홍각선사 비의 받침의 거북은 목을 곧추세운 용의 머리모양으로 바뀌어있다. 이런 형태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로 넘어가는 시대에 많이 보이는 형태이다.

이 거북이는 땅에 납작 엎드린 형태이며, 등에는 육각형의 귀갑문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네 발은 모두 날카로운 발톱을 갖고 있어, 거북이의 발톱이라고 보기보다는 용의 발톱에 가깝다. 이 거북이의 또 하나 특징은 바로 네발에 있는 수염 같은 형태이다. 발에서 나온 이 수염 같은 형태의 조각은 보기가 힘들다. 아마도 이 수염 같은 것은 날개를 대신한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다리에 붙은 저 조각은 수염인지? 혹은 날개를 상징한 것인지 궁금하다.

특징 있는 홍각선사비의 조각예술

귀부의 등에 붙어 있는 네모난 돌은, 비의 몸돌을 세우는 자리이다. 이곳에는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측면에는 소라형의 무늬 위에 안상이 새겨져 있다. 비머리인 이수에는 전체적으로 구름과 용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었고, 중앙에는 네모난 안에 ‘홍각선사비명’이라는 전액을 양각하였다. 그 주변에는 온통 운용문을 새겨, 신라 하대 석비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비 머리에 보면 두 마리의 용은 서로 마주하고 입을 벌리고 있으며, 두 마리의 용은 머리를 아래로 하고 양편에 자리하고 있다. 비명을 사이로 대각으로 마주하고 있는 형태이다. 사실적으로 묘사가 되었다고 하지만, 그 힘찬 조각은 절로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새로 조성된 몸돌인 비와 머릿돌인 이수의 앞과 뒤

홍각선사에 대해서는 자세히 전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비의 파편과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의하면, 홍각선사는 경서에 해박하고, 수양이 깊어 따르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전한다. 비문은 운철이 왕희지의 글씨를 다른 곳에서 모아 새긴 것이라고 한다. 비문의 내용은 비명과 비문의 찬술 관련자, 홍각선사의 생애와 선사가 입적 후 비를 새우게 된 내력 등을 적고 있다.

처음 찾았을 때는 귀부와 이수만 남아 한편에 엎드린 듯 보이 던 홍각선사 탑비. 새롭게 조성을 한 탑비로 인해 제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국에 이렇게 비문이 사라진 수많은 문화재들이 제 모습을 찾을 수 있기를 고대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