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촌 양반가 안초당과 사당

수원 남창동에서 민속촌으로 이건 복원을 한 99칸 양반집. 중부지방 양반집의 특징을 그대로 살린 이 집은, 한 마디로 입이 벌어진다고 밖에는 표현을 할 수가 없다. 2월 18일 찾아갔던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가장 오랜 시간동안 둘러본 집이다. 이 집의 답사기 중 다섯 번째로 안초당과 사당을 소개한다.

99칸, 그렇게 어마어마한 집인 줄은 생각하지 않았다. 그동안 99칸이라고 소개를 하는 전북 정읍의 김동수 가옥 등을 둘러보았으나, 이 남창동 양반가옥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한 마디로 이 남창동 가옥은, 앞으로도 이 만한 집을 만나기가 힘이 들 것이란 생각이다.


 



시집을 가기위한 수업을 하는 안초당

‘안초당’이라는 이름은 양반가의 안에 자리하고 있으면서, 지붕을 초가로 엮어 안초당이라고 부른다. 안초당은 내당을 바라보고 좌측에 낸 작은 문을 들어서면 초가로 된 집이다. 안초당은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으로 된 작은 건물이다. 안초당을 바라보고 좌측 한 칸은 방이고, 남은 두 칸은 마루방이다.

그러나 이 한 칸은 앞뒤로 구분을 하여 두 개의 방을 드리고, 남은 두 칸을 마루를 깔았다. 이 안초당은 시집을 가기 전의 집안의 딸들이 거처를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서예, 자수 등을 배우면서 시집갈 준비를 하는 곳이다.



모든 집들이 와가인데 비해, 왜 안초당을 초가로 꾸몄을까? 안초당 뒤편에는 연못을 마련하고, 마당은 비교적 너르게 배치를 하였다. 집은 겨우 세 칸 밖에는 안 되지만, 한 마디로 시원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꾸민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 고래 등 같은 집에서 겨우 세 칸의 초가로 엮은 안초당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었을 것만 같다.


집의 맨 위에 자리한 사당

사당은 어느 집이나 규격이 비슷하다. 대개는 정면 세 칸에 측면 한 칸으로 마련한다. 이 사당은 집의 크기와 관계없이 이런 구조로 나타난다. 양반집의 사당도 예외는 아니다. 99칸 양반집의 사당은 초당을 끼고 좌측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작은 협문을 들어서면 사당이 자리한다. 대개의 사당은 정침인 안방의 후원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당은 조상의 신위를 모셔놓고 제사를 올리는 곳이다. 하기에 집안에서 가장 조용하고 신령스러운 곳을 선택한다. 양반집의 사당은 바닥을 모두 마루방으로 처리를 하였으며, 앞으로 세 짝의 문을 달아냈다. 안에는 항상 제물을 차려놓아 이곳이 제를 지내는 사당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99칸 양반집을 돌아보고

모두 다섯 번에 걸쳐 양반집을 소개했다. 고택답사를 하면서 웬만큼 큰 집도 한 번에 끝냈는데, 이 남창동 99칸 집은 그런 집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우선 줄행랑이나 회랑, 안초당, 내별당, 외별당 등, 딴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전각들의 명칭도 다양하다. 그만큼 이 집의 넓이나 전각들이 대단하다.



수원 팔달산 기슭에 있었다는 중부지방 양반가. 어찌되었거나 수원으로서는 대단한 문화재 하나를 잃은 셈이다. 이 양반가가 있었던 자리에 다시 재현을 할 수만 있다면, 이 또한 명물이 될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양반가를 돌아 나오면서 못내 아쉬웠던 것은, 이 집이 팔달산을 배경으로 자리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지 못함이다.

요즈음 들어 많은 사람들이 우리 것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이는 고택만이 아니고, 각종 문화재나 먹거리, 심지어는 우리의 정서가 그대로 남아있는 길과 동, 식물 등 다양한 방면에서 관심을 갖고 글을 쓴다. 이렇게 무궁한 소재를 갖고 있는 것 중에서, 아무래도 문화재라는 것은 약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산재해 있는 고택. 그것이 사적이던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던 간에, 그저 찾아가 보는 것보다는 이모저모를 따져보는 것이 한결 재미있다.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이냐를 먼저 생각하고 그 집의 특징을 살펴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집이 눈앞에 그려지기도 한다.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소재한 경남유형문화재 제407호 오담 고택을 돌아보면서, 우리 고택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살펴본다.



함양 오담고택은 사랑채와 안채가 깉은 형태로 구성이 되어있다. 건축물을 볼 때 그 형태를 보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그리고 주변의 대지(아래)를 살펴보면 과거 그 집의 가세를 판단 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종가에서 분가한 양반저택인 오담 고택

오담 정환필(1798~1859) 선생은 일두 정여창 선생의 12대손이다. 선생은 종가에서 분가해 와 정여창 선생의 고택 멀지 않은 곳에 집을 짓고 살았다. 종두리에 기록된 상량문을 보면 사랑채는 1838년에, 안채는 1840년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사랑채와 안채는 모두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지었으며, 자연석을 3~4단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집을 지었다.

오담 고택은 종가에서 분리해 온 영남 양반집의 전형적인 주택으로, 조선 후기 주거건축의 양식과 가구기법을 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오담 고택은 최근 복원과 보수를 한 듯한데, 이런 면을 찬찬히 살펴보면 우리 고택이 좀 더 자세히 보인다.

1) 먼저 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알아보자




집의 전체적은 구조란 와가인지 초가인지를 본다. 이런 형태야 한 눈에 알 수 있는 것이지만, 와가에도 팔작지붕, 맞배지붕, 합각지붕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위 오담 고택은 맞배지붕에 부섭지붕을 벽에 달아낸 형태로 자칫 팔작지붕으로 볼 수도 있다. 초가의 경우에도 그 이엉을 얶어 용마름을 앉는 방법이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어,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는 그 집의 툇마루나 대청, 방의 꾸밈과 기단, 기둥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기단은 장대석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일반 부정형의 돌을 사용했는지를 본다. 기둥은 배흘림기둥인지, 팔각이나 사각,혹은 원형기둥인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의 구성고 알아보아야 한다. 대개 고택에는 수 많은 집이 있다. 사랑채를 비롯해 안채, 행랑채, 대문채, 아래채, 광채, 별당채 등 그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2) 집의 뒤편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




고택에는 많은 문들이 있다. 대문을 비롯해 중문, 협문, 쪽문 등 큰 집의 경우에는 집 안에 문에 10여 개가 되는 수도 있다. 하기에 그 문은 어떻게 생겼으며, 어느 용도로 사용이 되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중문의 경우에는 바깥 중문과 안 중문이 있고, 때로는 담에 쪽문을 내어 사용하기도 한다. 하기에 그 문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쓰임새를 알아보아야 한다.


오담 고택에는 문이 그리 많지는 않다. 최근에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이는 사랑에서 안채로 통하는 협문은 나무로 꾸몄다. 대문의 경우에는 소슬대문 옆에 쪽문을 달아낸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은 대개 대문을 열지 않고, 집안의 식솔들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 고택은 문 하나라도 그냥 내는 것이 아니다. 문을 낼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고, 거기에 따른 내적 사고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집 뒤편을 돌아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대개는 정면을 많이 보는데, 집 뒤편에는 굴뚝을 비롯해 벽의 형태, 배수로 등 볼 것이 많다. 또한 굴뚝은 어떤 형태로 만들어 졌는지도 꼼꼼히 따져보아야 한다.

3) 볼품 없는 작은 것 하나도 글이 된다.





고택을 둘러보면 가재도구가 있다. 실생활에 사용했을 이런 것들은 고택을 둘러보면서 가장 눈여겨 보아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툇돌은 어떻게 놓았는지, 마르 밑의 공간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도 보아야 한다. 부엌은 창문을 어떻게 내었으며, 환기를 돕는 까치구멍은 어떤 형태인지도 살펴보자. 그리고 시렁은 어디에 놓았는지, 시렁 위에는 무엇을 올려 놓았는지도 빠트리지 말아야 한다.


그 외에도 여기저기 널려있는 많은 가구들과 문짝의 형태, 또는 난간은 어떻게 꾸며졌는지도 보아야 하다. 그런 것을 하나하나 찾아보다가 보면, 집집마다 나름대로 특징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4) 제대로 꾸민 집인지를 알아보자



오담 고택을 돌아보면서도 그렇지만 복원을 하면서 정확하게 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복원이란 말 그대로 예전에 형태를 원형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즈음 복원이 되었다는 집을 찾아가 보면, 황당할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오담 고택의 경우에 사랑채와 안채 중간 한편에 장독대를 마련하였다. 시멘트로 바른 것은 그렇다치고 장독대에 담장을 둘러 놓았다. 보기가 좋은 수도 있지만, 문화재란 항상 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담장을 둘러 놓은 것도 보기가 껄끄러운데, 사랑채 뒷방을 보면 앞쪽 방보다 방바닥이 낮게 되어있다. 그리고 방의 층 간격이 넓어 오르내리기도 버겁게 보인다. 원래 이런 형태였는가를 알아보니, 복원을 하면서 형태가 달라졌다고 한다. 고택 답사를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렇게 원형이 변형이 되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중한 문화유산을 돌아보면서, 그 소중함을 먼저 깨우치지 않으면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 이런 문화재 답사는 단지 사진을 올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사고를 알아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쉽지 만은 않은 문화재 답사. 앞으로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 생각한다. 답사를 하시는 분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