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소재한 전등사.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11년인 38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성문사, 375년에 창건한 이불란사에 이어 전등사는 한국 불교 전래 초기에 세워진 이래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전등사를 창건한 것은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 화상이었다. 당시 아도 화상은 강화도를 거쳐 신라 땅에 불교를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도 화상이 강화도에 머물고 있을 때 지금의 전등사 자리에 절을 지었으니 그때의 이름은 진종사(眞宗寺)’라 하였다.

 

고려 왕실에서는 삼랑성 안에 가궐을 지은 후 1266년에 진종사를 크게 중창시켰으며, 16년이 지난 충렬왕 8년인 1282년에는 왕비인 정화궁주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한 것을 계기로 전등사라 사찰 명칭을 바꾸었다. 이때는 고려 왕실이 개경으로 환도한 뒤였고, 39년 동안 쓰였던 강화 궁궐터는 몽골군에 의해 폐허로 변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삼랑성 안의 전등사는 꾸준하게 사세를 유지해나갔다.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

 

전등사 대웅보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범종각 안에는 보물 제393호인 전등사 철종(傳燈寺 鐵鍾)’이 있다. 이 종은 우리나라의 범종과는 그 모습이 전혀 다르다. 이 쇠로 만든 철종은 일제강점기 말기에 금속류의 강제수탈로 빼앗겼다가, 광복 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하여 전등사로 옮겨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다.

 

전등사 철종은 형태와 조각수법에서 중국종의 모습을 하고 있다. 종의 높이는 1.64m, 입지름 1m의 종으로, 종 꼭대기에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웅크려서 종의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은 없다. 몸통 위 부분에는 8괘를 돌려가며 나열하고, 그 밑으로 종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8개의 정사각형을 돌렸다.

 

 

겉에는 상하로 구획이 지어져 띠가 둘려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 표면에 8개의 네모진 구획이 마련되어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많이 마멸되어 판독하기가 어렵다. 이 정사각형사이에는 명문을 새겼는데, 이 명문으로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이라는 것과, 북송 철종 4, 곧 고려 숙종 2년인 1097년에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에 의해 강제 수탈되었던 종

 

이 종은 기하학적 무늬로 장중하고 소박한 중국 종의 솜씨를 보이며, 종소리가 맑고 아름다운 게 특징이다. 이 종은 일제 말기 군수 물자 수집에 광분한 일제가 공출이란 명목으로 빼앗아 가는 바람에 한때 전등사를 떠나기도 했다. 하지만 광복 이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되어 다시 전등사로 옮겨왔다.

 

 

전체적인 종의 형태가 웅장하고 소리가 청아하며, 중국 종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화재로 평가를 받고 있는 전등사 철종. 이 종이 어떤 경로를 통해 전등사로 유입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일제에 의해 공출이 되었던 종이, 무사히 전등사로 돌아올 수 있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일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