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루는 이순신 장군의 유명한 시인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 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에 나오는 누정이다. 수루는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에 소재한 사적 제113호인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지 안에 소재한다. 10월 14일 통영유람선터미널에서 배를 타고 한산도로 향했다. 불과 20분 정도의 거리였지만, 들어가면서 바라본 한산만 일대는 작은 섬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다도해(多島海)라 하기에 손색이 없다.

 

 

 

 충무공의 유적지를 돌아보다.

 

관람을 할 수 있는 표를 구입한 후 출입문인 ‘한산문’을 통과하여 제승당으로 향했다. 이 곳 유적지는 선조 25년인 1592년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한산대첩에서 왜선을 섬멸한 후, 선조 26년부터 30년인 1597년까지 삼도수군의 본영으로 삼았던 곳이다. 두억포에는 임진왜란 때 전함인 판옥선과 척후선 등 100여척이 정박해 있었으며, 740여명의 수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천천히 바닷가를 거닐어 제승당으로 향한다. 굽이굽이 돌아가는 길에는 늙은 적송들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두 병의 모형병사가 문을 지키고 있는 앞에는 우물이 있다. 물을 들여다보다가 그만 울화가 치민다. 어떻게 유적지 안에, 그것도 이순신 장군이 이곳에 머물 때 1,340일을 사용했다는 우물을 이렇게 쓰레기가 떠다니게 만들 수 있단 말인가?

 

 

 

 

 계단을 올라 유적지 안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제승당이 보인다. 제승당은 현재의 해군작전사령부와 같은 역할을 한 전각이다. 1593년 7월 15일부터 1597년 2월 26일(음력) 한양으로 압송을 당하기까지 3년 8개월을 이곳에 진영을 설치했다. 장군의 일기인 ‘난중일기’ 1,491일 중, 1,029일이 이곳에서 쓰였다.

 

한산만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는 수루

 

사실 수루는 정자가 아니다. 일종의 망루와 같은 곳이다. 장군은 늘 이곳에 올라 한산만 일대의 지형을 살피고, 시간마다 달라지는 조수의 차를 꼼꼼히 살펴보았다. 이 곳 일대에는 유난히 많은 암초가 있다고 한다. 그 암초들까지도 일일이 헤아렸을 것이다.

 

 

 

 

 

이곳에서 오른쪽의 고동산, 왼쪽의 미륵산, 뒤쪽의 망산을 이용하여 적의 동태를 살폈다고 한다. 봉화와 고동 연 등을 이용하여 적의 동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작전을 세운 곳이다. 이곳 수루에서는 한산만 일대가 한 눈에 들어온다. 수도 없이 지형을 파악하고, 그 지형에 따른 작전을 세웠기에 55척의 배를 갖고 세계 4대 해전 중 하나인 ‘한산대첩’을 이루어내지 않았겠는가?

 

고증을 통해 복원한 수루가 시멘트 건물이라니

 

수루의 앞에는 설명을 하는 안내판이 보인다. 그곳에는 1976년 정화사업 때 한산만을 내려다 볼 수 있는 현 위치에 고증을 통해 세웠다고 적혀있다. 양편으로 계단을 내고,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다. 주변에는 난간을 둘러 운치를 더했으며, 수루는 팔작지붕이다.

 

 

 

 

수루 위에 올라 멀리 한산만을 바라본다. 한산만은 통영의 미륵도와 한산도 사이에 있는 만으로, 이곳은 안쪽은 넓고 입구가 좁다. 이 한산만은 수심이 낮아 소형선박들의 출입이 가능한 곳이다. 크고 작은 섬들과 낮은 수심, 여기저기 만과 포구들을 이용한 이순신 장군의 전략이 한산대첩의 승리를 만들어 낸 곳이기도 하다.

 

수루를 둘러보다가 보니 무엇인가 이상하다. 칠이 벗겨진 곳에 들어난 부분이 아무래도 나무 같지가 않다. 두드려본다. 시멘트로 만들어 놓은 듯하다. 어이가 없다. 물론 그 당시에 는 목재를 다듬어 수루를 복원한다는 것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딴 곳도 아닌 충무공의 유적지 안에, 역사적인 전각인 수루를 시멘트로 조성을 했다는 것은 납득이 가질 않는다.

 

 

 

 

 

장군의 혼이 깃든 곳인데, 더럽게 부유물이 떠돌고 있는 우물도 그렇고, 수루도 마음을 아프게 한다. 영웅은 사라지고 수루만 남았지만, 그 수루마저 사람을 슬프게 만들다니. 연신 사람들을 실어 나르는 유람선을 뱃고동이 더욱 슬프게 들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