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이 절에는 어마나 많은 사부대중이 살았던 것일까? 공양간에서 밥을 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전하는 개태사 철확을 보면서, 어림짐작을 하려고 해보지만 이해가 가질 않는다. 논산시에 소재한 개태사는 고려 태조인 왕건이 세운 사찰로, 철확은 이곳 주방에서 사용했다고 전하는 철로 만든 대형 솥이다.

 

이 철확은 벙거지 모자를 뒤집어 놓은 모양으로, 지름이 약 2m에 둘레길이 6.28m, 높이 97이다. 조선시대에 절이 없어지면서 벌판에 방치된 채 있던 것을, 가뭄 때 솥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비가 온다고 하여 여러 곳으로 옮겼다가, 일제강점기 때 서울에서 열린 박람회에 출품된 후 새로 건립한 지금의 개태사에서 보존하고 있다.

 

 

우주정에 얽힌 뜻은?

 

그러고 보니 개태사를 다녀온 지가 꽤 오래되었다. 가끔은 답사를 하고도 바로 글을 올리지 못하면, 이렇게 늦어질 수가 있다. 개태사에는 몇 기의 문화재가 전하고 있어, 그것들을 소개하다가 보니 철확의 소개가 늦어져 버렸다. 사실은 개태사를 찾아간 것도 철확 때문이었지만, 주객이 전도가 된 셈이다.

 

어쨌거나 문화재를 소개한다는 것은 순번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래도 조금은 자위를 해본다. 개태사 철확은 경내 한편에 우주정이라는 전각을 세우고, 그 안에 보관을 하고 있다. 전각 안을 꽉 채우고 있는 철확을 보면서, 이 전각의 이름이 우주정이라는 것이 이해가 간다.

 

 

우주를 담을 만한 우물이라는 뜻인지? 그렇게 큰 철확을 보관하고 있다는 뜻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 철확의 크기로 따진다면, 어찌 그 안에 우주인들 담을 수 없을 손가? 아마도 이 큰 철확에 우주를 담을 수 있는 수많은 사부대중들의 마음이 함께 했는가도 모르겠다.

 

초심을 지키는 것은, 문화재 답사의 즐거움

 

문화재를 만난다는 것은 늘 즐겁다. 그것은 나도 모르던 것을 하나씩 배워나간다는 생각 때문이다. 다 아는 것을 돌아보는 것과, 모르는 것을 하나씩 깨우치면서 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다르다. 그래서인가 참 답사를 다니면서 못된 버릇 하나가 생겼다. 몇 번씩 찾아간 문화재도 안내판부터 찬찬히 읽어 내려가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아무 것도 모르는 양, 초심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함이다.

 

 

사실 초심을 잃지 않는다는 것은 답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누가 하라고 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것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불이익을 당하는 것도 아니다. 하기에 초심을 잃어버린다면 시간 뺐기고, 물질 남아나지 않는 답사를 벌써 그만 두었을 것이다. 늘 새로운 것을 만나고, 늘 그것을 마음속에 담아두면서 길을 걸어야 제대로 답사를 할 수아 있다.

 

개태사 철확을 만났을 때도 그랬다. 개태사는 아마도 5회 이상은 찾아갔을 것이다. 아주 오래전에 대전에서 방송 일을 할 때부터 들리던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철확을 보는 순간 참으로 반가웠던 것은, 그 오랜 시간동안 여기저기 끌고 다녔음에도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깨어지고 많이 떨어져나가 온전한 모습을 아니라고 하지만, 그나마 남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솥 안에 동전 한 닢을 던져보다. 둔탁한 금속소리가 난다. 벌써 누군가 그곳에 동전과 지전을 던져 넣었다. 그 사람들은 무슨 소원을 빌었을까? 나는 그저 마음속으로 천년만영 잘 견디고 있기를 빌어보았다. 다음에 또 이곳을 찾아왔을 때도, 지금 그모습 그대로 볼 수 있기를.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248-1에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2층집이 있다. 현재 등록문화재 제19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집은, 한식 민가의 건축기술을 기반으로 한 2층 집이다. 근대에 지어진 농촌지역의 집으로는 드물게 보이는 2층집으로, 당시의 농촌 건축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5월 3일 찾아간 진안군. 마령면 소재지를 지나 전주 방향으로 가다가 만난 강정리 길가에, 진안 전영표 가옥이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고택답사를 연재하는 나로서는 이런 안내판이 보이면 그보다 더 반가울 수가 없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 집을 찾는데, 영 고택다운 집이 보이지를 않는다. 마을 주민들에게 물러 겨우 집을 찾았다. 담장이 아니라면 그저 지나칠 듯한 집이다.


꽁꽁 닫힌 철문, 담 밖으로만 돌아

전영표 가옥은 일제강점기 지역의 민간인 목수에 의해 지어진 집으로, 당시 지방 목수들의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집이다. 당시에 이렇게 2층으로 집을 지을 수 있었다는 것은, 상당한 재력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 담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니 원래는 기와지붕이었을 것이나, 현재는 슬레이트 지붕으로 이어 놓았다.

최근에 담장을 새로 조성한 듯한 이 집은, 전통 돌담에 철 대문을 달아놓아 보기에도 이상하다. 안을 마주하면 중앙 뒤쪽으로 이층으로 올린 안채가 서 있고, 우측에는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의 맞은편에는 헛간채가 서 있는데, 블록 담으로 꾸민 것으로 보아 나중에 다시 지은 듯하다.




이층은 유리창을 넓게 달아내

일제강점기에는 지역에도 2층집을 많이 지었다. 이런 유풍은 대도시나 지방의 작은 도시나 다를 바가 없었던 것 같다. 한식으로 짓기도 하고, 일본식의 건물도 상당수가 건축이 되었다. 이 집은 궁이나 사찰 등을 짓는 대목수가 지은 것이 아니라, 지역에 있는 일반 목수들이 지은 집으로 당시 목수들의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집이다.

진안 전영표 가옥은 1924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 집을 지은 건축주인 전영표는 집을 크게 지으면 안된다고 하였다고 하지만, 이집은 마을에서는 눈에 EL게 큰 집이다. 집 앞으로 가니 밭에서 일을 하고 있던 주민 한 분이, ‘문화재라고 하는데 담장만 새로 해서 멀쩡하지 볼 것이 없다’라고 하신다. 아마 그 분들이야 등록문화재라는 것이 얼마만한 가치를 갖고 있는지 모르는 듯하다.



안채는 정면에서 바라보면 좌측에 부엌을 내고 옆으로 안방을 드렸다. 중앙의 두 칸은 앞에 툇마루를 놓았으며, 우측으로는 반 칸 정도의 누마루를 깔았다.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으니 담장 밖으로 이리저리 다니면서, 집안을 살펴 볼 수밖에.

이층은 세 칸으로 되었으며 좌측 한 칸은 담벼락을 구성하고, 우측의 두 칸은 커다란 유리창을 달아냈다. 아마도 이렇게 커다란 유리창문을 앞뒤로 달아낸 것은, 주변의 경치를 보기 위함이었는가도 모르겠다.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은 안에 있는지 밖에서는 찾을 수가 없다.

평범한 2층 집은 당시의 유행이었을 듯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전영표 가옥. 당시 지역 목수들의 기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집이라고는 하지만, 특별한 꾸밈은 보이지를 않는다. 다만 그 당시에 2층집들이 많이 지어졌고, 이런 시골의 소도시에서도 이런 집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당시에 유행하던 가옥의 형태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안으로 들어가 꼼꼼히 살펴볼 수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안채 뒤편에 장독대가 있고, 사랑채의 앞으로는 작은 연못도 보인다. 건축주인 전영표는 당시 이런 집을 지을 정도의 재력가였던 것 같다. 정원에는 각종 꽃나무들이 아름답게 꽃을 피우고 있다. 기와 대신 올린 슬레이트가 조금은 부담을 주기는 하지만.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우두산 일대와 주암리 뒷산인 옥녀봉. 그리고 서원리 뒷산을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수도 없이 많은 굴을 발견할 수가 있다. 마을 주민들은 상교리 뒷산인 우두산에 만도 어림잡아 40~50여개는 넘을 것이라는 말이다. 물론 이굴은 자연적인 굴이 아니다. 모두가 일제에 의해서 파여진 인공적인 굴이다. 굴 중에는 군인들에 의해서 군 작전상 막아놓은 것들도 있다.


굴은 대개 땅을 아래로 파 들어가 그곳부터 옆으로 굴착한 것들이 있고, 처음부터 암벽을 평행으로 파 들어간 것 등 다양하다. 이 굴들은 주변에 바위를 뚫고 들어간 것인데, 깊은 것은 수 십 미터에 이르는 것들도 있다고 한다. 왜 이렇게 많은 굴들을 이곳 여주군 북내면 일대 산에 뚫어놓은 것일까?


금광채취를 위해 뚫어놓은 굴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즘골 뒤 우두산.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금광이 있었다 

다음지도에서 본 금광굴이 집단으로 있는 위치

옥녀봉 방향 뒷산은 눈이 많이 쌓여있어 오르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할 수없이 북내면 상교리 ‘즘골’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즘골이란 예전에 가마가 있던 곳이라고 한다. 눈길은 아무래도 위험할 듯 해, 카메라를 소지하고 오르기를 포기했다. 우두산은 그리 높지는 않지만, 쌓여있는 낙엽과 녹지 않은 눈으로 인해 길이 미끄럽다.


잎이 다 떨어진 앙상한 나뭇가지들엔 새들이 앉아 낯선 사람을 경계하듯 시끄럽다. 눈이 녹은 나무 밑에는 한겨울을 보낸 영지버섯 하나가 추위에 떨고 있다. 생명의 끈질김을 본다. 눈길에는 고라니를 비롯한 짐승들의 발자국이 무수히 찍혀있다. 낮에도 사람의 발길에 놀란 고라니들이 뛰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산으로 얼마 오르지도 않았는데, 산 중에 축대를 쌓은 듯한 돌담들이 보인다. 잘 다듬어진 돌이 삐죽 고개를 내밀고 있다. 아마도 이곳에 집이라도 있었는가 보다. 금광을 채굴하기 위해서 파 놓은 굴 옆에는, 지금도 알아볼 수 있는 축대가 있다. 금광을 채굴하던 사람들이 묵었던 막사를 지었던 곳이었나 보다.



산으로 오르다가 보면 집터인 듯한 곳이 보인다. 주추돌인 듯한 돌들과 축대가 있다.

한 때는 60호가 넘는 집들이 있던 곳


즘골의 뒤편에 있는 우두산은 ‘소머리산’이다. 이 즘골로 들어가는 곳에는 유난히 소를 키우는 목장이 많다. 현재 즘골에는 16호 정도의 집들이 있다. 하지만 금광을 한창 채굴 할 당시에는 60여 호나 되는 집들이 있었다고 한다. 산에서 캔 광석을 잘게 부수어 마을 앞으로 흐르는 냇가에 와서 채질을 했다는 것이다.


이 우두산은 산세가 그리 높지는 않다. 하지만 이 산은 명산이라고 한다. 마을 어르신들은 이 우두산은 가히 인재를 키워낼 만한 산이었기에, 인근에 ‘고달사지’가 자리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 우두산이 일제강점기에 무수히 파 놓은 굴로 인해, 그 명산의 혈이 모두 끊겨버렸단다. 그래서 즘골에는 인재가 나오기 힘들 것이라는 이야기도 한다.




금광굴의 흔적. 이 사진들은 모두 핸드폰으로 촬영하였다.

가시지 않는 상처


산을 이리저리 돌아다녀 본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양편에 무수히 많은 굴들이 있다. 이곳에는 아직도 금이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들도 한다. 산 중에 축대를 쌓고 관리를 하는 집까지 지었던 흔적이 있는 것을 보면, 아마도 상당한 금이 묻혀있었던 것 같다. 산 위에도 여기저기 예전 집터가 보인다.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와 재화를 찬탈해간 일제. 그런 점도 마음이 아픈데 이런 흔적들이 전국에 수도 없이 널려있는 것을 보아야 하다니. 언제나 이 아픔이 그치려는지 모르겠다. 마을의 어르신들조차도 “죽어도 그 원수는 갚아야 혀. 너무 많이 고통을 받았어. 우리 민족들이” 라고 분노를 표한다. 산을 내려오는데 철모르는 딱따구리 한 마리가, 가지만 남은 오동나무가지를 쪼아댄다.


산으로 오르는 길에 난 야생동물이 지나다닌 흔적과 영지버섯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