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 법흥동에 가면 보물 제182호인 임청각이 있다. 임청각은 중종 14년인 1519년에 형조좌랑을 지냈던 고성 이씨인 ‘이명’이 지은 고택이다. 원래는 99칸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70여 칸만 남아있다. 70여 칸이 남은 현재의 집안을 둘러보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집이다. 과거에는 과연 어떠했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민가 중 하나인 임청각은, 독립 운동가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1858 ~ 1932)의 생가이다. 석주 이상룡은 아들과 손자가 모두 독립운동을 했던 집안으로, 삼대가 독립운동을 한 유공자다.

 

 

주거공간이 구분된 임청각

 

임청각은 흔하지 않게 보물로 지정이 된 집이다. 우리나라에 고택 등이 보물로 지정이 된 경우는 경주 안강읍에 소재한 보물 제413호인 독락당 등 몇 채에 불과하다. 그만큼 임청각은 독특한 구성과, 오랜 세월 원형을 잘 보존한 고택임을 알 수 있다.

 

이 임청각은 남녀의 주거공간이 매우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어서, 건물의 위계질서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 별당형식인 임청각의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은 사랑채로, <정(丁)>자를 옆으로 누인 형태이다.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고 하는 군자정은, 임청각의 한편에 자리를 잡고 있다.

 

 

 

좁은 지하통로를 통해 다가선 군자정

 

지금은 앞으로 철로가 지나고 있어서, 좁은 지하통로로 들어가야 하는 군자정. 작은 문 안으로 들어가면 바로 정자로 오를 수 있는 돌계단이 있어, 나그네들이 들어오기에 편하게 만들었다. 안으로 통하는 작은 문이 또 하나가 나 있어,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기에 불편함이 없이 만들어 놓았다. 문은 나무로 짜서 양편으로 열리게 만들었으며, 난간을 둘러 운치를 더했다.

 

일각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계단이다.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쌓아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한편은 담으로 둘러 온돌을 놓았다. 그리고 우측으로는 장초석을 이용해 높임 누마루를 놓아 운치를 더했다. 높임마루 앞으로는 작은 연못을 두어, 주변경관을 아름답게 꾸몄다. 임청각의 주인이 남다른 건축미에 대한 해박한 식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자나 누각은 대개 하나의 개별 형태로 떨어져 지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는 사랑채로 사용하는 누정은 사랑채 한편을 돌출시켜, 누정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가독의 경우이다. 하지만 임청각의 군자정은 집 안에 사랑채를 정자를 지어, 사람들과 교류를 통하게 하였다는 것이 의미가 크다.

 

요즈음 사람들 군자정에서 소통의 의미를 배웠으면

 

요즈음 어느 계통에 사는 사람들이나 서로 소통이 안 되는 바람에 목소리들을 높이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이 군자정의 지어진 형태를 보면서 주인의 마음을 읽어본다. 밖에서 들어오는 과객들조차 마음 편하게 오를 수 있도록 꾸며 놓은 군자정. 지금은 철길로 인해 시야가 막혀있지만, 그 예전에는 앞으로 흐르는 도도한 물줄기를 바라다보면서 시흥에 취했을 것 같다.

 

 

수많은 정자들이 서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군자정은 세상 속에서 스스로 군자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주인의 여유 있는 마음을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더 멋진 정자라는 생각이다. 오늘 군자정을 기억하면서, 세상을 사는 지혜 한 자락을 배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