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한 겨울에 보면 정말 설악이란 말이 실감이 나는 산이다. 속초에서 3년 정도를 머무는 동안 참 수도 없이 발걸음을 했던 곳이지만, 내가 본 것은 그 광활한 설악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그만큼 설악산은 수많은 비경을 숨기고 있는 곳이다. 난 설악산을 보면서 늘 이런 생각을 했다.

 

새색시가 몸 전체를 장옷으로 감추고, 겨우 눈만 뭇 남성들에게 보여주고 있는 곳같다고. 그만큼 설악산은 우리에게 많은 곳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그래도 감출 곳은 다 감추고 있는 듯하다. 설악산에 8기가 있는 것도 그만큼 이곳은 감추고 있는 곳이 많다가 보니, 사람들이 그렇게 명명한 것이나 아닐까?

 

 

설악산의 기이한 현상이라는 8(八奇)

 

설악산에는 팔기팔경이 있다. 여덟 가지의 기이함과, 여덟 가지의 절경이 있다는 소리이다. 그 중 팔기는 첫째 천후지동(天候地動)이라고 하여서 여름철이면 비가 많이 내려 뇌성벽력이 칠 때, 땅이 갈라지고 지축이 흔들리는 소리를 꼽았다. 두 번째는 기암동석(奇巖動石)으로 흔들바위와 같이 흔들리는 괴이한 돌이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백두구혈(百斗九穴)이라고 했다. 인제군 북면 용대리 외가평에서 백담사로 가는 길목의 백담계곡에 하식작용에 의한 구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네 번째는 전석동혈(轉石洞穴)로 외설악의 계조암은 대표적인 전석동혈이다. 바위와 바위가 서로 맞대 생긴 굴을 말한다. 다섯 번째는 수직절리(垂稙節理)로 암질과 구조의 차이에 의해 차별침식으로 생겨난 내설악의 하늘벽, 외설악의 천불동처럼 절리현상에 의해 생겨난 천태만상의 형상을 말한다.

 

 

여섯 번째는 유다탕폭(有多湯瀑)이다. 12선녀 탕과 같이 쏟아지는 물로 인해 바위가 패여 마치 탕처럼 생긴 것을 말한다. 일곱 번째는 금강유혈(金剛有穴)로 비로봉의 금강굴과 같이 큰 석산에 바위가 생긴 것을 말한다. 그리고 여덟 번째는 동계설경(冬季雪景)으로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려 11월부터 이듬해 음 3월이 지나도록 백설이 만연한 것을 말한다.

 

주변조차 둘러보기 버거운 설악산

 

아침 일찍 길을 나섰다. 설악산 입구에 있는 신흥사를 지나 천천히 산길로 접어든다. 길옆에 선 이정표를 보니 비선대 2.5km, 금강굴 3.1km라고 적혀있다. 그저 흰고무신을 신고 나들이 겸 금강굴을 오르고 싶었을 뿐이다. 바쁠 것도 없지만 그렇다고 주변 경관을 살펴보지 않을 수가 없는 길이다.

 

 

이른 시간인데도 벌써 많은 사람들이 숲길을 걷고 있다. 아마 이 너른 설악의 어디를 찾아가는 것이겠지? 설악에서는 궁금한 것이 없다. 모든 것이 그저 다 궁금하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를 들어 궁금증을 갖는다면, 어디 한 곳 돌아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숲속 냄새가 짙다. 숨을 깊게 들이쉬면서 돌들이 삐죽 고개를 내민 길을 걷는다.

 

그렇게 걷다보면 비선대를 만난다. 커다란 암반에 누군가 커다랗게 비선대라고 음각을 해놓았다. 그리고 주변에는 잡다한 글들이 보인다. 비선대를 지나면 길이 갈라진다. 오른편 산길로 들어서면 금강굴로 가는 길이고, 왼편 숲길로 들어가면 천불동을 지나게 된다. 금강굴을 향해 걸음을 옮긴다.

 

 

원효대사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금강굴은 신라의 원효스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했던 곳이라고 전한다, 왜 스님은 이곳 설악산 비로봉 아래 굴에서 정진을 하셨을까? 금강굴이라는 명칭도 원효스님의 금강삼매경 중 앞 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금강굴은 외설악의 가장 아름다운 경치를 만날 수 있다는 곳이다.

 

길이 점점 가팔라진다. 이제는 뒷짐을 지고 여유를 부리기에는 버겁다. 새로 조성한 듯한 층계가 하늘 높은 줄을 모르고 위로만 치솟는다. 계단을 오르니 다시 암벽에 겨우 달라붙은 수직계단이 나온다. 비로봉 수직절리에 매달린 듯한 철계단. 그 위에 원효스님이 정진하셨다는 금강굴이 있다.

 

원효스님은 저 곳을 어찌 오르셨을까? 그 때는 이런 구조물도 없었을 텐데. 설마 날아오르지는 않았을 테고. 위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올 수도 없는 곳인데.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철계단을 오른다.

 

금강굴에서 천불동을 바라보다

 

 

금강굴. 1300년 전 원효스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하셨다는 곳이다. 스님 한 분의 독경소리가 비로봉 벽을 타고 계곡으로 쏟아져 내린다. 그 계곡 밑에 바로 비선대가 보인다. 그리고 건너편에 천불동 솟은 바위들이 가득 시야에 들어온다. 이곳에 서면 누구나 시인이 된다고 했던가?

 

죽 일렬로 선 것 같은 천개의 봉우리들이 저마다 자태를 뽐내고 있다는 천불동. 그 천불동의 장관이 눈앞에 펼쳐진다. 원효스님은 이곳을 어찌 아셨을까? 아무리 우리가 모르는 것이 많다고 하지만, 이 자리에서니 모르는 것 투성이란 생각이다. 이곳에서 천불동을 백날만 바라보고 있어도 무엇인가를 깨달을 것만 같다.

 

 

이른 아침 원효스님의 체취를 만나기 위해 오른 금강굴. 굴 입구에 서서 이곳이 왜 설악 8기 중 한 곳인가를 깨닫는다. 아마 스님도 이곳에서 그런 깨우침을 얻은 것은 아니었을까? 원효스님이 이곳에서 정진을 한 것도, 알고 보면 천불동에 서 계신 천분의 부처님 때문이었을 것을.

속초시 동명동에 소재한 보광사는 도심 속에 있으면서도 산사의 느낌을 받는 곳이다. 앞으로 20m 정도를 나가면 영랑호와 닿고, 주변으로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다. 시내 중심가까지도 걸어서 15분 정도면 나갈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면서도, 산사의 분위기를 맞볼 수 있기도 하다.

이 절은 예전 원효스님이 도를 닦던 자리라고도 전해지며, 골짜기 이름을 불당골이라도 한다, 소나무 숲길을 따라 오르면 커다란 바위에 '관음'이라고 각자를 해 놓았으며, 이 관음바위 위에서 '영랑스님'이 동해와 금강산을 바라보고 공부에 전념을 했다고도 한다.



소나무 숲길, 정말 명품이야

보광사 경내를 벗어나면 소나무 숲길이다. 천천히 뒷짐을 지고 숲길로 접어들면 온갖 산의 내음이 코를 간질인다. 길 밖으로 삐죽 얼굴을 내밀고 있는 소나무 뿌리들을 보아서도 이 숲이 어제오늘 조성된 숲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길도 그리 가파르지 않아 천천히 걸어오르면, 어린 아이들도 따라 걸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다. 하루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 길을 따라 산책을 즐기고는 한다.

산이라고 해도 그저 작은 소나무 동산 정도이다. 그 위로 오르면 바위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그 바위 옆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는 어르신들과 눈 인사를 나눈다. 그리고 한편으로 가면 커다란 바위가 자리한다. 이 바위가 바로 영랑스님이 날마다 공부에 정진하던 '관음바위'라는 것이다. 밑으로 내려가면 바위에 커다랗게 '관음'이라는 글자를 각자해 놓았다.




이렇게 좋은 바위에 마애불 하나 있었다면 정말 제격이었을 것이다. 동해에 뜨는 해를 바라다보는 마애불의 자비스런 모습. 상상만으로도 즐겁지 아니한가? 이 바위를 볼 때마다 나는 저 각자가 마애관음이란 생각을 한다. 아마도 마애불을 그리고 싶은 어느 사람이 그럴 수 없어 대신 글자를 새긴 것이나 아닌지.



콧소리가 절로 나오는 소나무 길

바위 한편에는 누군가 일부러 파 놓은 듯한 자국이 보인다. 저 밑에 혹 삼존불이라도 모셔 두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관음바위 위에 오르면 펼쳐지는 동해와 설악산, 그리고 금강산까지 한 눈에 들어온다. 밑으로는 영랑호의 푸른 물이 소나무 사이로 삐죽 얼굴을 내밀고 있다.

다시 관음바위를 떠나 봉우리 위의 바위 밑을 통과한다. 흡사 석문과 같은 바위돌이 서로 의지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세상사 저리 의지를 하고 믿고 살면 참 좋으련만. 한 20년 전에는 이 바위 아래서 기도를 하는 사람들이 꽤나 시끄럽게 징을 두드려대고는 했다.




영랑호가 보이는 길로 접어든다. 몇 사람이 바삐 걸어 지나친다. 무엇이 그리 급한 것일까? 이 명품길이라는 소나무 숲길. 그리고 앞으로 펼쳐지는 자연경관. 이런 것을 어찌 그리 즐길 줄을 모르는 것인지. 그저 마음 바쁜 버릇은 어딜가나 볼 수가 있다. 괜히 나 혼자만 할일 없는 사람인 듯하다. 그러거나 말거나 세월을 붙잡을 수 없으면, 세월을 타고가면 될 것을, 무엇을 그리 앞서려고 하는지.



그 길 끝에는 소나무 줄기에 흰 표식을 해놓았다. 숫자를 보니 1부터 10까지가 있다. 짧은 거리를 도는 곳이니, 이렇게 표시를 해놓고 한 바퀴를 돌 때마다 하나씩 옮기는 것인가 보다. 괜히 몇 개를 한 편으로 밀어본다. 바쁠 것도 없고, 굳이 다시 돌아야 할 이유도 없다. 그곳 나무 틈사이로 보이는 동해와 영랑호를 바라보다가 걸음을 옮긴다. 까지 한 마리 소나무 가지에 앉아 시끄럽게 짖어댄다.               

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1번지 천성산에 소재한 홍룡사는 신라 제30대 문무왕 13년인 673년에 원효스님께서 창건했다는 절이다. 당시에는 ‘낙수사(落水寺)’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송고승전』에 의하면 원효스님께서 천문을 보니 중국 태화사 승려들이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것을 미리 알고 구했다고 한다.

원효스님은 곁에 있던 판자를 하늘로 던졌는데, 그것이 당의 태화사까지 날아갔다는 것이다. 태화사 스님들은 갑자기 하늘이 컴컴해져 놀라 뛰쳐나왔는데, 그 순간 산이 무너지면서 절이 매몰이 되었다는 것이다. 놀란 태화사 승려들이 하늘에서 떨어진 판자를 집어보니 ‘해동원효 척판구중’이란 글씨가 적혀있었다고 한다. 즉 원효스님이 널판자 하나를 던져 많은 무리를 구했다는 이야기다.

홍룡폭포와 관음전

천명의 승려가 원효의 제자가 되다

이 일로 인해 천명의 중국인 승려가 신라로 와 원효스님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이에 원효스님께서는 천성산에 89개의 암자를 짓고, 이 승려들을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이 곳 홍룡사에서 바로 판자 한 조각을 던졌다고 하는데, 홍룡사는 원효스님과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친견했다고 전하는 곳이다.

홍룡사에는 홍룡폭포가 있어 더욱 유명하다. 이 폭포는 천룡이 폭포 아래에 살다가 무지개를 타고 하늘로 승천을 했다고 전해진다. 아름다운 홍룡폭포를 찾아 홍룡사를 찾아들어갔다. 산신각을 지나 계단을 오르니 홍롱폭포가 보인다. 80척에 달한다는 폭포는 물이 많이 즐었다. 폭포 좌측으로는 관음전이 자리하고 있고, 우축으로는 좌불상이 자리하고 있다.



천자형으로 흘러내리는 홍룡폭포

세 갈래로 나뉘어져 떨어지는 홍룡폭포,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타고 흐르는 물은 가히 절경이다. 물이 많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물이 없다고 그 아름다움이 어디로 가겠는가? 떨어진 물이 고인 소에는 낙엽이 떨어져 또 하나의 아름다움을 만들어 낸다. 어찌 인간세상에 이런 절경이 있을 것인가?

이리저리 각도를 재보지만, 그 아름다움을 다 담아낼 수가 없을 것만 같다. 무엇을 탓할 수 있으랴? 지금도 날이 좋은 날에는 물방울이 튀면서 무지개를 만들어 낸다고 한다. 하지만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했던가. 잔뜩 흐린 날 찾아간 홍룡폭포는 그렇게 소리 없이 암벽을 타고 내리기만 한다.



원효스님이 관음보살을 친견했다는 관음전에 들려 예를 올리고, 돌아내려오는 길에 몇 번이고 폭포를 돌아본다. 그저 저 맑은 물속에서 한 마리 천룡이 금방이라도 물길을 헤치고 하늘로 오를 것만 같다. 아마 이 아름다움은 또 몇 날 동안 나를 답사의 길로 내몰 것만 같은 느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