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609-1번지. 미륵산 정상 부근에 있는 옛 절터인 사자사터이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04사자사지(師子寺址)’는 현재는 사자암이라는 작은 절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차도가 없어 걸어서 미륵산 정상 부근까지 걸어 올라야 한다. 날이 잔뜩 흐린 날 찾아간 사자암.

 

절 입구에는 물건을 실어 나르는 기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만만치 않을 것만 같다. 천천히 좁을 길을 따라 오르니 주변 경관이 아름답다. 그런데 얼마 오르지 않아 후두둑거리고 빗방울이 떨어진다, 이런 낭패가 있나. 답사를 나갈 때 늘 챙기는 것이 우신이지만, 이 날따라 우산도 지참하지 않았다.

 

 

익산 미륵사보다 앞서 창건한 사자사

 

사자사는 미륵사보다 앞서 창건된 사찰이다. 백제의 무왕과 선화비가 이 사자사로 행차하던 중, 용화산 아래 연못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나자 그곳에 절을 이룩하라고 일러 미륵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사자사로 행차를 하던 무왕이 미륵사를 창건하라고 일렀으니 그보다 먼저 창건한 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자사는 미륵사 창건의 계기를 마련해준 점에서, 백제 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찰이다. 하지만 이 사자사의 위치에 있어서 논란이 제기되어왔지만, 1993년 발굴조사에서 기와조각들이 발견됨으로써 사자사터임이 확인되었다. 지금은 옛 모습은 찾을 수가 없고, 현재는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과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 그리고 창고 등이 있으며 대웅전 앞에 석탑 1기가 남아있다.

 

 

자욱한 운무 속 풍광이 일품

 

비를 피할 곳도 마땅치가 않다. 그저 걸음을 빨리 옮겨 사자암으로 가서 피하는 수밖에. 조금 더 오르니 길이 가팔라진다. 그런데 우리가 걷는 소로 길 옆으로 무엇인가 움직이는 소리가 난다. 곁으로 지나가는 것을 짐을 운반하는 곳에 사람들이 타고 있다. 그런 줄 알았으면 처음부터 전화라도 걸어 볼 것을.

 

아는 사람들은 그렇게 편히 오르려고 하지만, 답사를 할 때는 가급적 걷는 것을 우선한다. 그래야 절을 찾았을 때의 느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비는 어느새 그쳐있다. 많이 내릴 것 같았지만, 비안개인 운무만 자욱하다. 길이 바위 위로도 나 있어 위험하다. 비에 젖은 바위는 더 미끄럽기 때문이다.

 

 

저만큼 사자암의 담장이 보인다. 그리고 절로 오르는 계단의 우측에 커다란 바위에는 獅子洞天이라고 깊게 음각한 글자가 보인다. 누가 이곳에 이렇게 글을 새겨놓은 것일까? 대웅전 입구에 낯선 석탑 한 기가 서 있다. 석질로 보나 깨나 오래됨직해 보인다. 하지만 제 짝을 맞추지 못한 것만 같다.

 

문화재는 없지만 후회가 안 돼

 

미륵사보다도 먼저 창건을 했다는 사자사. 하지만 그 어디에도 문화재는 찾아볼 수가 없이, 사자사지만이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이 되어있을 뿐이다. 하지만 비까지 맞으면서 힘들게 올라간 사자암에 문화재가 없다고 해도, 마음 한편이 너무 즐겁다. 운무가 자욱한 모습이 정말로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절은 우리나라 어디에도 있다. 그리고 오래된 사찰이면 문화재 하나쯤은 다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자암은 문화재는 없었다. 딴 때 같았으면 마음 한편이 허전했을 텐데, 사자암은 오히려 풍광을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다. 이제 나도 슬슬 절에 익숙해져 가는 모양이다. 하기야 이미 30년 세월을 길에 서 있었으니.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소재한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인 633년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이다. 절의 명칭을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가 내소사로 바뀌었다. 절의 명칭이 바뀐 까닭은 확실하지 않으며, 다만 그 시기가 임진왜란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내소사에는 보물 제291호인 대웅보전과 설선당, 보종각 등 전각이 있으며, 부안군 벽산면의 실상사 터에서 옮겨 세운 연래루가 있다. 특히 대웅전은 조선 인조 2년인 1633년에 청민대사가 지은 건물로, 건축양식이 정교한데 단충과 보상화를 연속적으로 조각한 창호가 눈여겨 볼 만하다.

 

 

내소사에 소중한 성보문화재 고려 동종

 

내소사에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보물 제277호인 고려 동종이 남아있다. 이 동종은 고려 고종 9년인 1222년에 내변산에 소재한 청림사에서 제작되었으나, 청림사가 폐사된 후 오랫동안 매몰되었다가 조선 철종 4년인 1853년에 내소사에 옮겨진 것으로 전형적인 고려후기의 동종이다.

 

보물 제277호인 부안 내소사 동종은 고려 시대 동종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종으로, 종의 높이는 103, 입지름 67의 크기이다. 이 종은 한국 종의 전통을 잘 계승한 종으로, 그 표현이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고려 후기 걸작으로 손꼽힌다.

 

종의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부분에는 꽃무늬 장식을 하였다. 종의 어깨 밑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4개 있고, 그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유두가 있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유두가 멸실이 된 부분도 보인다.

 

 

삼존상을 조각한 내소사 동종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는 연꽃으로 장식을 했으며, 종의 몸통에는 구름 위에 삼존상을 돋을새김으로 조각하였다. 우리나라의 종 중에서도 특이한 형태로 삼존상을 조각하여 놓았다. 중앙에 있는 본존불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고, ·우 양쪽에 협시불이 서 있다. 오랜 세월 매몰이 되어서인가, 삼존상의 정확한 형태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종 정상부에는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과, 큰 용머리를 가진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가 있다. 용은 힘차게 용틀임을 하고 있으며, 당장이라도 종을 박차고 뛰어나올 듯 힘이 엄쳐 보인다.

 

 

내소사 경내 보종각(寶鐘閣)에 보관하고 있는 내소사 고려 동종은 비록 크지는 않지만, 고려시대의 동종의 양식을 잘 간직한 종이라는 점에서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 사찰마다 전하는 많은 문화재 중에서 수많은 동종들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종에 대한 가치를 접어두고, 종을 주술적인 형태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불교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각종 철조조형물인 범종은 한국예술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종은 청정한 것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 범종이라 함은 청정한 불사나 범찰에서 사용하는 종을 말한다. 범종은 홍종, 포뢰, 경종, 화경, 거경, 조종, 당종 등 그 규모나 용도에 따라 반종, 만종 등으로 구분하나, 대부분 통틀어 범종이라고 부르고 유형별 구분은 하지 않는다.

 

사찰에서는 아침에는 28추를 치고, 저녁에는 33추를 울린다. 아침에 26추는 곧 28숙을 의미한다. 곧 마하가섭부터 육조혜능까지 28조사를 상징한다. 저녁에 치는 33추는 수미산 위에 있는 천계인 삼십삼천을 의미한다. 중앙에 제석천이 있고 사방에 팔천(八天)33천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소재한 사적 제150호인 미륵사지. 뒤편으로는 미륵산이 자리하고, 그 남쪽 기슭에 자리한 백제시대의 절터이다. 『삼국유사』권2 무왕조에 따르면, 백제 무왕(600~641)이 왕비와 함께 사자사(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소재 사자암)로 향하고 있을 때, 큰 연못 속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무왕과 함께 거동을 하던 왕비가 이곳에 절을 세우기를 간청하자, 무왕은 못을 메우고 탑과 법상, 미륵삼회전, 낭무 등의 전각을 건립하고 ‘미륵사’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미륵사가 언제 사라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7세기경에 이미 폐사가 되었다고는 하지만 백제의 멸망이 나당연합군에 의해서 이었다고 보면, 그 당시 전쟁 통에 이미 사라진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세 개의 화려한 탑이 서 있던 미륵사

현재 미륵사지에는 반쯤 파손되어 있는 국보 제11호인 서탑을 해체 복원중이다. 1980년대에 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본격적인 발굴조사의 결과로는, 동탑과 서탑 사이에 목탑을 세워서 일직선상에 탑 3개를 배열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2011년 1월 25일 찾아간 미륵사지에는 날이 추운 탓인지, 사람들이 보이지를 않는다. 아직도 눈이 많이 쌓여 있는 미륵사지에는, 찬바람만이 스산하게 불어댄다.

해체를 한지 수년이 지났지만 국보인 미륵사지 서탑은 아직도 해체된 그대로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건너편에 화려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중원 9층 석탑으로 발길을 돌린다. 장중한 모습으로 복원이 된 동탑은 몇 개의 돌만이 당시의 석재이다. 1974년 동원 탑지를 발굴 조사한 결과, 기단의 형태 및 발굴 유물 등으로 보아 이 동원 탑지에도 서탑과 같은 백제시대의 석탑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복원된 미륵사지 동원 9층 석탑은 백제 때의 기단석재 등을 사용하였다

복원된 동탑의 아름다움

동원 9층 석탑은 동탑지에 1991년부터 복원을 시작하여, 1992년에 복원을 완성하였다. 이 9층 석탑의 복원에 따른 고증자료는 서탑과 동원 동탑의 기단부 및, 1980년 이후 동탑지 부근에서 발굴조사 때 발굴된 노반석 등을 비롯한 탑의 석재를 이용하였다. 현재 이 동원 9층 석탑의 기단부에는 발굴 당시 발견이 된 석재 일부가 사용이 되었다.

이중 기단위로는 높은 1층 탑신이 서 있다. 1층 탑신은 사방에 계단을 놓았으며, 계단 위에는 철문이 있다. 이 문을 통해 탑신 안으로 들어서면, 十 자 모양으로 통로가 사방으로 나 있다. 하지만 이층부터는 위가 막혀있다. 9층 석탑과 상륜부까지의 총 높이는 27.8m나 되는 거대한 탑이다.



일층 탑신 안에는 사방으로 통로가 나 있다

금이 가고 있는 복원된 탑, 방치하면 안 돼

이 동원 9층 석탑을 재현하는 데는 익산 황등에서 캐낸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총 2,000여개의 석재는, 그 무게만도 2,700여 톤이나 되는 양이다. 이 탑을 복원하는 데는 백제시대의 기단석과 탑신석 35개가 사용이 되었다. 탑의 지붕돌인 옥개석과 상륜부에 달린 풍탁은 동탑지에서 발견이 된, 백제시대의 금동풍탁을 복제한 것이다.


금이 가고 있는 미륵사지 동원 9층 석탑

동원 9층 석탑을 한 바퀴 돌아본다. 탑 안까지 살피고 난 후 밖으로 나왔다. 건너편에는 서탑을 복원하느라 커다란 구조물을 세워놓았는데, 밖으로 나와 9층 석탑으로 바라보니 무엇인가 이상하다. 일층 탑신석 철문 위쪽에 금이 가 있다. 그러고 보니 그 위에도 금이 보인다. 문 위 석재에 금은 그 끝이 약간 어긋나 보일 정도이다.

1992년에 복원이 되었다고 하면, 이제 복원된 지가 20년째다. 익산 황등 화강암은 단단하기로는 전국에서 명성이 자자하다. 그런 석재가 금이 가고 있다니. 괜한 걱정이 앞선다. 요즈음 광화문 현판을 비롯한 문화재 복원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데. 이곳도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닐까? 더 이상 금이 가는 것을 방치하면 안 될 것 같다. 아무리 복원이 된 탑이라고 하지만, 그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