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창군 북상면 중산마을에는 지은 지가 150년 정도 되어 보이는 고택 한 채가 있다. 주인인 임종호는 2~3년 전에 세상을 떠났으며, 현재는 구 가옥 곁에 새로 거처를 마련하고 모친이 살고 있다고 한다. 주변 제각 앞에서 만난 마을 어르신은, 그 집에 살고 계신 분이 자신의 질부라고 하시면서 자세한 설명을 해주신다.

 

이 집은 치목구조나 여러 가지 형태 등으로 보아 조선조 말경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어르신은 120~130년 정도 되었다고 하신다. 솟을대문 안으로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고, 그 뒤편 우측에 광채가 있다. 그리고 사랑채와 나란히 뒤쪽으로 안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돌담으로 집 전체를 둘러놓았다. 집의 형태로 보면 이곳에서 꽤나 잘 살았던 집안이란 생각이다.

 

 

다섯 칸으로 지은 사랑채의 풍취

 

사랑채는 모두 다섯 칸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자연석 주초를 그대로 쓴 집은 기둥을 모두 사각으로 치목을 하였다. 이런 치목의 방법이나 대들보를 받치고 있는 목재들을 보아도, 지방의 목수들이 다듬은 손길이 아니다. 사랑은 바라다보면서 좌측에 아궁이를 두고, 두 칸 마루방을 드렸다. 그리고 안채로 드나들 수 있는 누마루 한 칸과, 온돌방 한 칸을 계속 두고 있다.

 

우측 온돌방 앞으로는 누마루에 난간을 둘러 정자방으로 꾸며 놓았다. 사랑채 뒤편으로 길게 늘어선 광채는 중문채를 겸하고 있는 듯 보인다. 광채 옆으로는 담을 터 바깥으로 출입을 하게 하였는데, 그 문을 통해 제각으로 드나든 듯하다. 광채는 우측 한 칸은 방을 드리고, 가운데는 광채를 그리고 좌측으로는 뒤주를 삼았다.

 

 

그리고 그 끝에는 다시 한 칸의 방을 드린. 네 칸으로 구성이 되어졌다. 아마도 사랑채 쪽의 방은 남자가, 안채 쪽의 방은 여자가 사용한 듯하다. 사랑채 방향의 방이 앞으로 돌출이 되어있어, 남은 공간에는 활주를 대고 지붕을 내어 달았다.

 

안채에도 굴뚝이 보이지 않는다.

 

사랑채와 나란히 뒤편에 조성한 안채 역시 다섯 칸이다. 좌측으로부터 한 칸의 부엌과 안방, 윗방 그리고 대청마루 뒤편에 문을 달아 신주방으로 꾸민 듯하다. 맨 오른쪽의 건넌방은 사랑채와 마찬가지로, 난간을 두르고 높임마루를 달아냈다. 임종호 가옥의 특징은 대청마루 뒤편에 마련한 신주방이다.

 

 

부엌의 뒤편에도 작은 부엌방을 마련해 놓았는데, 이런 구성은 딴 곳에서는 보기가 힘들다. 사랑채와 광채, 그리고 안채의 동선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조성한 임종호 가옥. 전체를 이으면 자 모형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앞으로는, 안마당을 시원하게 만드는 정원이 있다. 그 정원 한 가운데 흙담으로 꾸민 굴뚝이 서 있다.

 

어르신 저 집의 마당 가운데 굴뚝은 사용하는 것인가요?”

얼마 전까지도 사용을 했지. 지금은 살림을 하지 않으니 쓰지 않지만

그런데 왜 마당 가운데에 굴뚝을 마련했나요?”

낸들 아나 여기저기 연기가 나면 안 좋으니까 그랬나보지.”그럼 안채와 사랑채에도 굴뚝이 모두 저 가운데로 빠지나요?”

처음엔 그렇게 만들었지. 지금은 잘 모르겠구먼.”

 

 

왜 모든 연도를 마당 한 가운데로 모아 굴뚝을 낸 것일까? 주인 잃은 집은 휑하기만 하다. 언제가 다시 시간을 내어 후손들이 모인다는 명절 때 찾아보아야겠다. 궁금증을 풀 수 있으려는 가는 모르겠지만.


남원 선원사에 제 발로 걸어 들어온 녀석이 새끼를 낳았다는 이야기를 들은지가 꽤 시간이 지난 듯하다. 경남 함안 쪽의 답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오랫만에 들린 선원사. 늘 웃음으로 반갑게 맞이하시는 주지 운천스님께 강아지를 좀 찍겠노라 말씀을 드리고, 녀석이 있는 곳으로 가보았다.


모두 다섯마리를 낳았는데, 네 녀석은 이미 분양을 하고 한 녀석만 어미 곁을 지키고 있다. 절집에 사는 녀석들은 넓은 마당을 뛰어 놀수가 있으니, 참 행복할 것이란 생각을 한다. 녀석들도 신바람이 나게 마당을 뛰어다닌다. 오랫만에 날씨도 따듯해져인가, 마당을 덮고 있는 마른 잔디에서 어미를 따라하는 작은 녀석의 행동에 절로 웃음이 터져 나온다.   

따라하기 정말 힘들어요

봄이 오는 2월 20일. 밖으로 어미를 따라나 온 어린 강아지가 어미 곁을 떠나지 않는다. 그저 어미가 하는대로 쫒아다니면서 하는 짓이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어미 뒤를 따라다니는 녀석. 아직도 배 밑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보니, 젖 생각이 났는가보다. 그래도 어미는 여석에게 젖을 물리지 않는다. 혀를 내밀고 있는 녀석의 모습에(가운데 사진) 한참이나 웃었다.






어미가 하던대로 따라하던 녀석이 실실 지겨웠나보다. 땅에 등을 대고 문대고 있는 어미를 졸라대는 듯. 날이 따듯해 모처럼 마당에서 뛰어노는 녀석들의 모습이 행복함을 가져다 준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