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불 답사를 하면서 ‘어떻게 이렇게 조각을 했을까? 마치 살아있는 그대로 바위벽에 붙인 것은 아닌가?’ 할 정도로 아름다운 마애불을 보았다면, 누구나 그 앞에서 무릎을 꿇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423호 신계리마애여래좌상. 도선국사가 하루 밤 만에 조성을 하였다고 전해지는 마애불이다.

마애불을 찾을 때부터 애를 먹었기 때문인가,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을 만났을 때의 감회는 더욱 깊었는가 보다. 도로변에 신계리 마애불이 3.0km에 있다는 이정표가 있다. 좁고 구불거리는 도로를 따라 마을로 들어가니, 그곳에서 2.2km 를 더 가야 마애불이 있다는 안내판이 보인다. 그리고 그 밑에는 ‘임도’와 ‘오솔길’이라는 글이 적혀있다.


산을 헤매다가 발견한 이정표 난감해

임도와 오솔길이라는 말의 뜻을 알 수가 없다. 주변을 한참이나 헤매다가 주민들에게 물으니, 마을 위로 산을 향해 계속 따라 올라가라는 것이다. 마을을 벗어나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올라가다가 보니, 작은 이정표 하나가 보인다. 이곳에서 800m를 올라가면 주차장이 있고, 거기서 다시 0.45km를 가야한다는 것이다.

좁디좁은 도로를 구불거리고 올라가니 정말로 그 안에 차 몇 대가 설 수 있는 곳이 나온다. 여기까지가 임도이고, 거기서부터 오솔길을 따라 가라는 말이다. 그런 표현을 안내판 밑에 임도와 오솔길로 적어 놓았으니, 처음 이곳을 찾는 사람에게는 정말로 알 수 없는 표현이란 생각이다.



마을을 벗어나 임도와 오솔길을 지나 만날 수 있는 신계리 마애불
 
오솔길을 따라가 만난 마애불

오솔길을 따라 한참이나 올라간 듯하다. 물이라도 한 병 사들고 올라올 것을. 전날 저녁을 먹으면서 반주로 먹은 술기운이 있어서인가, 목이 더 타는 듯하다. 답사를 할 때는 가급적이면 음주를 피하는 것도, 이렇게 애를 먹기 때문이다. 그런데 웬 넓은 길이 다시 나타난다. 계단을 지나 소나무 숲길을 따라 산 쪽으로 오르다가 보니, 돌로 쌓은 축대가 보인다.

가까이 가서보고는 탄성을 지르고 말았다. 어찌 이 산속에 저런 바위가 있으며, 저렇게 조각을 할 수가 있을까? 아마 사람의 실력으로 만들었다고 한다면 믿을 수가 없을 정도의 아름다운 조각품 하나가 그 곳에 있었다. 도선국사가 하룻밤 만에 만들었다는 신계리 마애여래좌상. 전설로 남아있지만, 그 전설을 믿고 싶어진다.




역동적인 모습, 생동감이 있는 걸작품

한 마디로 걸작품이다. 어떻게 바위면을 이렇게 깎아내고, 그 안에 돋을새김을 하였을까? 사람이 했다고 하면, 도대체 얼마나 오랜 시간을 공을 들인 것일까?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은 커다란 바위의 한 면을 반듯하게 쪼아내고, 그 안을 둥글게 깎아내면서 여래좌상을 돋을새김을 하였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구슬로 꿰어 광배주위를 감싸고 있다. 광배 안에는 연꽃잎인 앙화를 조각하였다. 이런 조각기술은 보기가 힘들다. 법의는 왼쪽 어깨에 걸쳐 흘러내렸는데, 비교적 단순하게 표현을 하였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며 살이 통통한 것이 이목구비가 뚜렷하다.



넓은 어깨와 불룩한 가슴, 그리고 통통한 팔 등이 생동감이 있다. 입체감과 생동감이 살아있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바위 뒷면 역시 칼로 잘라낸 듯하다. 양편을 깊게 잘라내 좁은 길 하나를 만들어 두었다. 아마 축대를 쌓기 전에는 이 바위가 밑에까지 내려가, 그 윗면에 마애불이 조성된 것은 아니었을까?

힘들에 찾아온 마애불 앞에서, 안내판이 부실함을 투덜거리며 올라온 것이 괜히 부끄럽다. 이런 걸작품을 볼 수 있다면, 숨이 턱에 닿은들 어떠하리. 마애불 앞에서 내려다보이는 들녘이 시원하다. 11월 28일, 초겨울 바람 한 점이 이마에 맺힌 땀을 스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