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창군 북상면 농산리. 위천 가에는 용암정이라는 정자가 서 있다. 위천을 지나다가 만난 용암정을 찾아 들어가는 길은, 좁은 다리를 지나 농로를 따라 한참을 들어가야만 한다. 얼핏 보면 길이 없는 듯 보이지만, 빙 돌아 들어가는 길이 있다. 처음에는 지은 지가 얼마 되지 않은 듯해, 그냥 지나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자가 냇가에 서 있고, 분위기 역시 괜찮다. 저런 정자라면 십중팔구는 역사를 지니고 있는 정자이다. 지나던 길을 되돌려 안으로 들어가니, 용암정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경남문화재자료 제253호라고 한다. 용암정은 순조 1년인 1801년에 용암 임석형이 위천 가에 처음으로 지었으니, 올해로 210년이 된 정자이다.



사방을 돌아보면 다른 정자가

1864년에 보수 공사를 했다는 용암정은 고색이 찬연한 정자이다. 정자 위에는 방을 한 칸 들이고, 아궁이를 두어 불을 땔 수 있도록 하였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정자에는 용암정, 반선헌, 청원문, 황학란이라고 쓴 액자가 걸려있다. 아마도 풍류를 아는 용암 선생이 사방을 둘러 걸 맞는 이름을 지은 듯하다.

이 정자는 지붕의 끝이 날렵하게 치켜 올려져, 마치 한 마리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는 듯하다. 누마루 아래의 기둥은 둥근 기둥을 썼으며, 누마루 위에 세운 기둥은 원형으로 다듬어 놓고, 마루방의 기둥은 사각으로 조성하였다. 난간은 간단하게 나무를 듬성듬성 대어, 시원한 느낌이 들게 조성을 하였다.



위천을 보고 시심을 불러일으키다

정자의 뒤편으로는 기암과 어우러진 위천 맑은 물이 흐른다. 누마루 한편에 마련한 한 칸의 방을 중앙에 두고 문을 내었다. 정자 안에 또 하나의 정자가 자리를 잡은 듯한 느낌이다. 격자문으로 짠 문틀 안에 작은 문짝을 달아, 방으로 들어가는 문지방을 높인 것도 이 정자의 색다른 멋이다.

정자에는 몇 개의 편액이 걸려있는데, 그 중 눈에 띠는 것은 정자의 이름을 적은 편액이다. 나무 판에 커다란 글씨로 양각을 한 용암정과, 반선헌 등의 글씨가 제각각 달라 글을 쓴 이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 이 용암정에 오른 뭇 사람들이 이렇게 편액의 글씨를 적어 기념을 하였나 보다.




사방에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초석을 세우고, 그 위에 기둥을 내어 처마 끝을 받치고 있는데, 이는 정자가 지어진 한참 뒤에 세운 듯하다. 이 용암정도 정자를 오르는 계단을 통나무로 찍어내어, 발을 디딜 수 있게 만들었다. 투박한 그 모습에 호화롭지 않은 정자의 모습이, 오히려 기품을 잊지 않은 선비의 흐트러짐 없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선생이 용암정에 오른 사연

용암 임석형 선생은 출사를 하지 않았다. 은진사람으로 자는 원경, 호는 용암이다. 함안에 살았으며, 영조 27년인 1751년에 태어나, 순조 16년인 1816년에 세상을 떠났다. 용암정을 짓고 나서 16년 만에 세상을 떠난 것이다. 16년이란 세월을 용암 선생은 이 용암정에 머물며, 이곳을 찾는 많은 시인묵객들과 교류를 한 것이다.



31책의 용암유집이 전하며, 그의 묘갈은 유만식이 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글귀가 적혀있다. 공의 초연한 취미와 락()은 만년의 용암정에서 볼 수 있다. 영호남 선비들이 여기를 지나면서 모두가 원학주인이라 그를 칭송하였다. 탁월한 기량과 의민한 재주를 갖고도 출사하지 못했음이 한스러울 뿐이다

정자의 주인인 용암 임석형 선생. 위천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을 보면서, 이곳에 시심을 띠워 보냈던 것일까? 1211일의 찬바람이 용암정으로 몰려온다. 위천 맑은 물이 잔 파문을 일으킨다. 선생이 계셨더라면 시 한 편을 지필묵을 갈아 일필휘지로 써 내려가지 않았을까? 그 모습이 그리운 용암정이다.


부처상은 언제 최초로 만들어졌을까? 전하는 바에 의하면 석가모니가 성불 한 후, 한 때 도리천에 올라가 그곳에서 다시 태어났다. 그리고 어머니에게 설법을 하였는데, 밧사국의 우드야나왕이 지상에 부처가 없는 것을 허전해 하였다고 한다. 우드야나왕은 그 허전함을 달래기 위해 150cm 정도의 여래상을 만들어 공양하였는데, 이것이 최초로 만들어진 불상이라는 것이다.

그 때 만들어진 여래상의 법의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여래상과는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런 최초의 여래상과 같은 법의를 걸친 석불입상이 우리나라에도 있다. 바로 보물 제1436호로 지정된 농산리 석불입상이다. 경남 거창군 북상면 농산리 산53번지에 소재한 이 석불입상은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이다.

보물 제1436호 농산리 석불입상은 석불과 강배가 일석으로 조형되었다

최초의 밧사국 여래상과 같은 법의

이 석불입상의 법의는 양쪽 어깨에 걸쳐, 가슴 위로 몇 갈래의 U자형 주름을 그리면서 내려온다. 이 법의는 허리부분에서 Y자 형으로 갈라졌다가, 두 다리에 밀착되어 작은 U자를 그린다. 그리고 종아리 부분에서 다시 큰 V자를 그리며 마무리를 짓는다. 바로 이런 형태의 법의가 밧사국의 우드야나왕이 최초로 조성한 여래상과 같은 형태라는 것이다,

이런 법의의 표현법의 형태를 보고, 인도 우드야나왕의 여래상 형식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우드야나상의 법의 형태는 몇 곳에서 보이고 있는 석불입상의 법의 형태이다. 통일신라 때 조성된 석불입상에서 이런 법의의 형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것은 당시의 특징적인 석불입상의 조형 형태라고 것을 알 수가 있다.



인도 밧사국의 우드야나왕이 최초로 만든 여래상과 같은 법의를 입고 있다.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한 석불입상

농산리 석불입상은 산 속에 자리하고 있다. 길을 가다가 자세히 보지 않으면, 이정표조차 찾을 수가 없다. 도로에서 산속으로 올라가는 길에는 몇 개의 이정표가 길 안내를 하고 있다. 자칫 딴 곳으로 빠지기 쉬운 산길이기 때문이다. 농산리 석불입상을 들어가기 전에는 커다란 바위들이 보인다. 그리고 넓게 마련한 공지에 석불입상이 서 있다. 석불입상을 찾아간 날은 아직 눈이 녹지 않아, 여기저기 흰 눈이 보인다.

농산리 석불입상은 광배와 받침대까지 모두 갖추고 있는 완전한 형태의 모습이다. 바위를 원추형으로 쪼아서 불상과 광배를 하나의 돌에 조각을 하였다. 알맞은 형태의 이목구비와 상투가 듬직하게 자리하고 있다. 얼굴은 온화한 미소를 띠우고 있으며, 적당히 벌어진 가슴으로 인해 날렵한 인상을 준다.



받침돌은 마모기 되었다.

당당한 어깨에 잘록한 허리, 그리고 법의 속에 드러난 사실적인 몸매 등이 이 석불입상의 조각이 뛰어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형미는 뛰어난 입체감을 보여주고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광배의 한편 쪽이 떨어져 나갔다는 것이다.

통일신라시대 뛰어난 예술성이 돋보여

이 석불입상의 광배는 몸 전체를 감싸고 있다. 광배에는 불꽃 무늬를 새겼으며, 석불입상이 딛고 서 있는 받침대에는, 연꽃잎이 아래로 행하고 있으나 심하게 마멸이 되었다. 이 석불입상에서 한 가지 특이한 것은 바로 발이다. 발은 몸과 광배를 조각한 돌과 떨어져, 받침돌에 발을 조각하였다. 그래서 발과 몸이 떨어져 있다.


발은 몸에서 떨어져 받침돌 위에 조각하였다. 뒤편은 자연석 그대로 놓아두었다.

통일신라 사대에 조성된 농산리 석불입상. 전날 내린 눈으로 인해 여기저기 눈에 쌓이고, 12월 11일의 날씨는 차갑다. 더구나 숲속에 있는 석불입상을 만나기 위해 들어간 곳에는 주변 나무에 가려 햇볕조차 들지 않는다. 옷자락을 여미게 하는 산바람이 차갑지만, 쉽게 석불입상 주변을 떠날 수가 없다.

한 해에 몇 명이나 이곳을 찾아오려나. 그래도 누군가 관리하고 있는 듯하다. 주변이 말끔히 청소가 되어 있는 것을 보면. 인도 첫 여래상과 같은 형태의 법의를 입고 있는 농산리 석불입상 앞에서 잠시 머리를 숙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