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에 소재한 현 금둔사. 금둔사 일주문을 들어서 경내를 향하다가 보면 우측 산 절개지에 보물 제946호인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이 자리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금전산에 금둔사(金芚寺)가 있다고 하여 이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승주군 낙안면 금전산의 서쪽에 있는 절터에 삼층석탑과 함께 있다.

 

낙안면은 백제시대에 분차 또는 분사군이었으며, 통일신라 제35대 경덕왕 때는 분령군이라 불렀다. 고려 때에 들어서 낙안 또는 양악으로 칭하여 나주에 속해 있으면서, 1172년인 고려 명종 2년 에 감무를 두고 그 후에 지주사가 되어 군으로 승격되었다.

 

1515년인 조선조 중종 10년에는 고을에 불륜한 일이 일어나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575년인 선조 8년에 복구되어 낙안군이라 하였다. 1908년인 융희 2년에 낙안군이 폐지됨에 따라 읍내면이라 칭하여 순천군에 편입되었다. 그 후 191441일 군면 폐합에 따라 내서면 20개리와 동상면의 교촌, 이동일부와 보성군 고상면의 지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낙안면이라 칭했다.

 

 

비석의 형태로 조형한 통일신라의 석불입상

 

이 석불입상은 지붕 모양의 보개와 대좌를 갖추고 있다. 직사각형의 평평한 돌 한쪽 면에 불상을 조각하여, 마치 거대한 비석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낮은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솟아있고 얼굴은 원만한 형태이다. 신체는 우아하게 굴곡이 있어 부피감이 느껴지며 단아해 보인다.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의 양 어깨에 걸쳐 입은 법의에는 평행의 옷주름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다. 양 손은 가슴 위로 올려 양 손의 엄지와 검지의 끝을 맞대어 설법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다소 엄숙해진 인상, 투박한 옷자락 등의 표현은 9세기 현실적인 사실주의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귀중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불상의 뒷면에 글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이나 마멸이 심해서 읽어내기 어려운 상태이다. 뒷면의 윗부분에는 보살상을, 아랫부분에는 코끼리상을 조각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보개는 탑의 지붕에 해당하는 옥개석과 모습이 비슷하다. 대좌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잎과 위로 향한 연꽃잎이 새겨져 있다.

 

 

삼층석탑과 함께 조형된 석불입상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은 앞에 자리하고 있는 삼층석탑과 동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 이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을 만났을 때 참으로 신기했었다. 마치 넓적한 돌을 한 면을 깎아내어 조형을 한 석불입상이 비석에 새긴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돋을새김으로 조각을 한 솜씨로 보아 뛰어난 기능을 가진 장인의 솜씨였을 것으로 보인다.

 

위에 올린 넓적한 보개는 탑의 옥개석과 마찬가지로 사방의 끝이 약간 치켜 올라가 있어 처음에는 딴 곳의 탑의 지붕돌을 올려놓은 것으로 알았을 정도이다. 보개석 밑면 역시 탑위에 올리는 지붕돌과 같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불을 새긴 돌과 맞물리는 곳을 보면, 이 보개석이 석불입상 위에 조형한 것임을 알 수가 있다.

 

손의 표현이며 법의의 옷주름, 그리고 법의 밑으로 약간 삐져나온 듯한 발가락 등이 뛰어난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원으로 조성한 대좌는 아랫기단과 위기단이 맞물려 연꽃잎이 서로 반대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조형이 상당히 수준작임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입상에서 보기 힘든 석조불비상. 다음에 금둔사지를 찾으면 더 자세한 형태를 살펴보고 싶다.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은 옛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낙안읍성이 있다. 낙안면은 백제시대에 분차 또는 분사군이었으며, 통일신라 제35대 경덕왕 때는 분령군이라 불렀다. 고려 때에 들어서 낙안 또는 양악으로 칭하여 나주에 속해 있으면서, 1172년인 고려 명종 2년 에 감무를 두고 그 후에 지주사가 되어 군으로 승격되었다.

 

1515년인 조선조 중종 10년에는 고을에 불륜한 일이 일어나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575년인 선조 8년에 복구되어 낙안군이라 하였다. 1908년인 융희 2년에 낙안군이 폐지됨에 따라 읍내면이라 칭하여 순천군에 편입되었다. 그 후 191441일 군면 폐합에 따라 내서면 20개리와 동상면의 교촌, 이동일부와 보성군 고상면의 지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낙안면이라 칭했다.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었다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에 소재하고 있는 금둔사. 현재의 금둔사는 과거 이곳에 있던 금둔사와는 별개의 사찰이다. 이 금둔사 일주문을 들어서 절 경내를 행하다가 우측 산 밑에 보면 보물 제945호인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는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조그마한 사찰이 지어져 금둔사의 명맥을 잇고 있다. 낙안읍성을 돌아보고 난 뒤 찾아간 금둔사지. 옛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석불입상이 이 곳이 예전 금전산 금둔사지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돋을새김한 팔부중상이 압권

 

금둔사지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양우주와 가운데 기둥 모양인 탱주를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새겼다.

 

 

특히 1층 몸돌의 앞뒷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을, 양 옆면에는 불상을 향하여 다과를 공양하는 공양보살상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밑면의 받침이 5단씩이고, 처마는 평평한 편이다. 낙수면은 완만하게 경사가 지다가 끄트머리 네 귀퉁이에서 힘차게 치켜 올려져 있다.

 

이 금둔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을 갖추고 있어, 9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1층 몸돌에 공양상이 새겨져 있는 점은 특이한 예이며, 각 부의 비례도 좋고 조각수법이 세련된 석탑이다. 탑의 뒤편에는 절개지 연의 앞에 석불입상이 서 있는데, 이들은 서로 연관된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엣 금둔사는 어떤 절이었을까?

 

동국여지승람에 소개가 되어있다는 금전산의 금둔사. 지금 절이 들어서 있는 금둔사의 모습이나. 석불입상과 삼층석탑의 자리 등으로 보아서 옛 금둔사도 큰 절은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만한 가람이 들어서기에는 장소가 협소한 듯하다. 하지만 석불입상이나 석탑의 형태로 보면 이곳에도 제대로 일탑 일가람 형식의 절은 있었을 것 같다.

 

세월이라는 시간 속에서 사라져 버린 수많은 문화재를 갖고 있는 절터들. 전국을 돌면서 만난 수많은 사지들은 늘 마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아마도 그 많은 절들이 보존만 되었다고 해도, 지금보다는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났을 것이기 때문이다. 금둔사지를 돌아보고 뒤돌아 내려오면서 내내 속이 편치가 않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