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찾아가기도 쉽지가 않다. 도로 이정표에 적혀있는 사찰명 하나만을 갖고 찾아 나선 절이다. 백련사,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가실리 신43번지. 주소를 알았다고 하면 내비게이션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절이었지만, 그저 이정표의 화살표 방향만 보고 따라갔기 때문에 애를 먹었다.

 

용인 에버랜드를 지나 도로로 마장IC 방향으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한참이나 산길로 들어가다가 또 다시 오래된 포장도로를 따라 들어갔다. 아마도 거의 산길을 3km 정도를 돌아 돌아 찾은 것만 같다. 일반차량은 들어갈 수 없다는 안내판에서도 한참이나 들어가야 만날 수 있는 절. 백련사는 그렇게 심산유곡에 자리하고 있었다.

 

 

신라 애장왕 2년에 창건한 백련사

 

백련사는 용인시 전통사찰 제54호이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로 1791년 석담대사가 쓴 약사에 보면 신라 애장왕 2년인 801년에 선응선사에 의해서 창건된 고찰이다. 고려 경종 원년인 1399년에 천공스님이 중수하였으며, 조선 태종 4년인 1404년에 무학대사가 중건하면서 18 나한상을 조성 봉안하였다고 전한다.

 

현종 12년인 1671년과 정조 11년인 1787년에 수경스님과 석담 스님에 의해 각각 중건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종 18년인 1891년에 편찬된 용인현 읍지 사찰조에 백련사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도 사찰이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 거의 폐사가 되었던 백련사는 청신녀 청정월의 화주로 요사와 법당을 중수하였고, 성월스님의 중창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경내에는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석불상 1구와 조선후기 나한상 13, 수경스님의 부도 등이 남아있다. 당우로는 대웅전, 산신각, 나한전, 요사, 종각 등이 있다.

 

가파른 계단 위에 자리해

 

주차장에서 백련사의 경내로 들어가기 위해 계단을 오른다. 계단 중앙서부터 위까지 3층으로 된 전각은 방들이 주욱 늘어서 있다. 아마도 이곳에서 수행을 하기 위한 방으로 보인다. 그 전각의 중앙으로 경내의 삼층석탑의 상륜부가 보인다.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우측에 종각이 있고, 앞으로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의 우측 조금 위로는 삼성각이 자리하고 있으며, 대웅전의 좌측으로는 지장전이 있다. 그리고 지장전 좌측으로 소대와 조금 떨어져서 나한전이 자리한다. 나한전은 원형으로 만들었으며 기와와 황토를 이용해 특이하게 조성을 하였다. 나한전 앞에서 절 경내를 내려다본다. 대웅전 앞에 서 있는 삼층석탑은 석가모니불의 진신 사리탑이라고 한다.

 

절을 들어가 대웅전을 한 바퀴 돌아본다. 심산유곡에 자리한 사찰치고는 대웅전이 큰 편이다. 창호는 꽃창살로 조성을 해 아름답다. 나한전 앞은 유리로 막아놓아 안이 들여다보인다. 수미단의 위에는 작은 나한들이 여러 형태로 좌정을 하고 있다. 아마도 저 나한상들이 조선후기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경내를 한 바퀴 돌아 내려오니 커다란 사자를 닮은 개 한 마리가 마당에 앉아있다. 그런데 이 녀석은 사람이 가까이 가도 영 아는 체를 하지 않는다. 그저 세상일에는 관심이 없는 듯한 자세이다. 절에서 오래 살다가 보니 해탈의 경지라도 이른 것일까? 축대 밑에 있는 샘에 가서 물 한 잔을 떠 마신다. 내장까지 다 시원해진다.

 

이렇게 깊은 산 속에 자리하고 있는 절의 물이니 얼마나 그 맛이 좋을까? 주변에는 아무 것도 없으니 이 물이야말로 정말 깨끗할 것이란 생각이다. 고즈넉한 고찰에서 마시는 물 한 대접. 이 물로 인해 세상에서 묻힌 허물을 조금이라도 가실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 것인가. 그저 이런 절에서 며칠만 살 수만 있다고 해도 세상 시름을 다 놓을 것만 같다.

 

이유 없습니다.

그저 근처 5일 장에 가서 나 한 마리 사갖고 와서

앞으로 이야기나 쓰렵니다. 

날도 무지 더운데 돌아다닐 필요 없고

더구나 경비 들일 필요도 없고

길거리에 있는 는 주인있으면 골치 아프고

5일장에 나가 한 마리 사오는 것이 딱일 듯 하네요...

머 그렇다고 를 썩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한 마리 키우고 싶고, 답사 다니는 것보다는 훨 나을 것 같아서요.

 가끔 답사 나갔다가 만나는 이야기를 써보니 그도 재미있고요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 24-4에 소재한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5호인 ‘군포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 현재 남아있는 가옥의 안채는 조선 정조 7년인 1783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며, 사랑채는 그보다 늦은 고종 14년인 1877년에 지은 것이다. 하지만 이 집을 처음으로 지은 시기는 조선조 중기의 문신인 정광보가 마을에 들어온 시기인 1400년대 후반으로 본다.

 

8월 8일 돌아본 동래정씨 종택. 현재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 작은 사랑채, 문간채, 행랑채가 남아 있다. 사랑채는 앞면 5칸으로 왼쪽부터 방 1칸과 사랑방 2칸. 그리고 마루방과 행사청 순으로 되어 있어 평면 분할이 독특하다. 사랑채와 작은 협문을 사이에 두고 있는 작은 사랑채는 앞면 3칸으로 공부방으로 사용하였다.

 

 

 

온기가 느껴지는 집

 

고택답사를 하다가 보면 집이 생기가 도는 집들이 있다. 그런 집은 대개 사람이 실고 있는 집이다. 하지만 사람이 살고 있지 않으면, 아무리 집이 좋아도 무엇인가 부족한 듯하다. 군포 동래정씨 종택은 집안을 여기저기 손을 보았지만 외형적으로는 옛 모습을 그대로 지켜내고 있다.

 

예전에는 사랑마당을 감싸고 있었을 바깥담장은 장 정리가 되어있으며, 안으로 들어가면 작은 연못에 연꽃이 나그네를 맞이한다. 그 실한 연꽃만 보아도 이 종택은 간수가 잘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대문채였을 것으로 보이는 건물은 용도를 변경해, 중앙을 ‘전국귀농운동본부’가 사무실로 사용을 하고 있다.

 

 

 

대문채는 앞면 3칸으로 대문과 창고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후에 5칸을 더 지어 안채의 폐쇄성을 높여 주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문은 보아지 않고 바로 사랑마당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사랑과 작은사랑을 둔 종택

 

안채 앞으로 지은 사랑은 큰사랑과 작은 사랑으로 구분을 하였다. 팔작지붕 5칸으로 지어진 큰 사랑은 왼쪽부터 방 1칸과 사랑방 2칸. 그리고 마루방과 행사청의 순으로 집을 구성했다. 서쪽 맨 끝에는 방의 벽면을 막고 그 앞으로 누정을 한 칸 앞으로 돌출시켜 올렸다. 누정은 삼면이 터지게 누마루를 깔았으며, 장초석 위에 네모난 기둥을 올리고 난간을 둘렀다.

 

 

 

큰 사랑채의 기단을 장대석으로 마감을 한 것에 비해, 작은 사랑은 잘 다듬지 않은 돌을 사용해 2층으로 기단을 쌓았다. 작은 사랑은 모두 세 칸으로 지어졌으며, 공부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이 큰 사랑과 작은 사랑 사이에는 협문을 내어, 안채에서 바로 사랑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랑채를 찍고 열려있는 문으로 안채를 찍으려고 하는데, 갑자기 개 짖는 소리가 들린다. 안을 들여다보니 커다란 개 한 마리가 새끼를 데리고 있다. 아마도 낯선 사람이 새끼라도 해할까봐 걱정스러웠나 보다. 집을 돌아 중문으로 돌아가니 문이 닫혀있다. 귀농본부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 사진을 한잔 찍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

 

 

 

ㄱ 자형의 안채에서 느끼는 종택의 위엄

 

안채는 ㄴ 자 형의 중문을 마주하고 ㄱ자로 꺾어지은 팔작지붕이다. 안채를 바라다보면서 좌측으로는 두 칸의 부엌을 조성한 듯한데, 현재는 그곳을 방으로 꾸민 듯하다. 댓돌 앞에 신이 놓여있다. 꺾인 부분에 대청을 놓고 이어 안방을 드렸다. 안방의 끝에는 작은 툇마루가 있었던 것 같은데, 그곳도 유리벽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인이 없이 커다란 개가 지키고 있어 집안을 이리저리 둘러볼 수 없다는 것이 조금 아쉽기는 했지만, 안채를 보면서 종택의 위엄이 서린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 집을 지은 정광보는 파시조인 동래부원군 정난종의 큰아들로, 맞은편 산 중턱에 조성된 정난종의 묘를 조성하고 이곳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집은 독특한 사랑채의 구성과 작은사랑채의 위치 설정 등이 독자적인 집으로,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의 살림집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집이다. 고택을 돌아보면서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이렇게 모든 고택에 사람들이 온기를 전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고래등 같은 집에 온기가 없이 여기저기 무너져 내리는 것을 볼 때마다, 같이 마음이 무너져 내리는 듯하기 때문이다.

참 어떤 때는 개들을 바라보다가 그냥 웃고 말 때가 있다. 아무래도 여기저기 많이 돌아다니다가 보면, 이런저런 견공들을 만나게 된다. 절집에서도 만나고 산에사도 만난다. 언느 마을의 집 울안에서도 만나고, 그냥 싸돌아 다니는 녀석들도 만난다.

 

그렇게 만난게 되는 녀석들의 이야기를 하자면 참 끝이 없을 듯하다. 하지만 원래 짐승들의 마음을 아직은 헤아리지 못하고 답답한 인사이다보니, 남들처럼 그 녀석들에 대해 그리 살가운 글을 표현할 수가 없다. 그저 보이는 그대로 적는 수 밖에.

 

 

실눈 뜨고 비둘기 감시하는 진돌이

 

안산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마당에 묶인 진돌이(이름은 순전히 내 마음대로) 한 마리를 보았다. 녀석 갑자기 날이 더워서인가 그냥 축 늘어졌다. 아마도 한 여름 '늘어진 개팔자'라는 것이 저런 모양인가 보다. 그런데 녀석의 밥 그릇에 불청객이 찾아들었다. 바로 비둘기 한 마리가 날아 든 것이다.

 

그런데 이녀석 하는 꼴이 웃긴다. 그냥 누워서 죽은 듯 한다. 그리고 슬그머니 실눈을 뜨더니 비둘기를 감시하기 시작했다. 비둘기가 조금 가까이 가도 그대로 있다. 무슨 생각을 하는 것일까?

 


비둘기가 가까이 가도 꿈쩍도 하지 않던 녀석. 막상 밥그릇 쪽으로 비들기가 발길을 옮기자 그때서야 고개를 조금 틀아본다.

 

비둘기는 기척에 놀라 날아가버렸다. 녀석 그래도 나와보지도 않는다. 꿈쩍도 않고 실눈을 뜨고 비들기를 바라보는 녀석. 아마 하도 많이 비들기들에게 밥을 뺐겨, 이제는 거의 도가 퉁한 듯하다.

요즘 하라는 문화재 답사는 하지 않고, 이런 짓만 하고 있다. 그러나 머 문화가 밥 먹여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생각이다.


서천에 있는 월하성이라는 마을이 있다. 달이 떠오른다는 이곳은 서천 동백숲이 있는 곳과 가까운 곳이다. 이곳에 도자기 공방을 하는 아우가 산다. 아주 가까운 지인들과 일 년이면 두 세 차례 이곳에 모여 거나하게 달빛에 술이 취하고는 한다.

그런데 이 공방을 찾아가던 날 정말 작은 강아지 한 마리를 보았다. 옆에는 불과 몇 개월 밖에 안된 강아지가 한 마리가 있는데, 그 녀석의 절반도 안되는 크기니 작기는 어지간히 작다는 생각이다. 아마도 길이가 한 15cm 정도나 됨직하다.


그런데 이 녀석 낯을 가리는지 여기저기 숨어다닌다. 나무 뒤에도 숨고, 독 뒤에는 숨는다. 그런 여석이 차 한 잔을 마시려고 작업실 안으로 들어갔더니, 따라 들어가 문 앞에 앉아있다. 사진을 찍고 보니 세상에 이럴 수가. 이 녀석 발을 두드려가며 박장대소를 하다니. 입을 있는 대로 벌리고 발을 구르는 폼이 장관이다.

옆에 있는 누렁이도 이제 얼마 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 녀석의 절반도 안되는 크기이다. 이렇게 작은 녀석이 눈치를 보며 주위를 겉돈다.

 

주위를 돌며 눈치를 보는 녀석. 아마도 낯을 가리는 듯하다




그러던 녀석이 작업실 안으로 따라 들어와 문 앞에 앉았다. 차를 마시는데 갑자기 이상한 소리를 내길래 쳐다 보았더니, 이런 세상에 이 포즈를 보면 무슨 생각을 할까? 말 그대로 박장대소를 하는 폼이다. 믿거나 말거나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