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백가반을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옛 풍속을 답습한 것이라 하였으며 오곡밥(, 보리, , , 좁쌀을 넣어 지은 밥)5라는 길수(吉數)가 무한대의 긴 것을 나타내고, 밥이 인간의 수명을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양식인 만큼 여러 집의 밥을 먹음으로써 여러 사람의 명을 빌려 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염원에서 생긴 행위로 본다.

 

지난 11일은 정유년 정월 대보름이다. 음력 정월 보름을 대보름이라고 한다. 정월 14일을 우리는 작은 명절이라고 했다. 정월 초사흘부터 시작한 각종 놀이 등이 이날 최고조에 달하기 때문이다. 농촌에서는 이때부터 농사가 시작된다. 사실 이날까지 연희되는 많은 놀이들을 보면, 겨우내 움츠려들었던 몸을 다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만드는데 치중한다. 뛰고, 달리고, 힘쓰는 그런 놀이가 정월 대보름에 모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정월 열나흘날 밤에는 마을마다 동제를 지낸다. 어느 마을은 산에 올라가 산신제를 지내는가 하면, 어느 마을은 마을 동구에 있는 커다란 동구나무에서 목신제를 지내기도 했다. 장승이 마을 입구에 있는 마을은 장승제를 지내고, 서낭당이 마을 안에 있으면 서낭제를 올리면서 일 년 간의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했다.

 

 

달집태우기15일이 아닌 14일에 하는 대동놀이

 

그리고 대동놀이로 행해지던 달집태우기 역시 정월 작은 설날인 14일 밤에 이루어진다. 달집태우기는 소나무나 참나무가지 등으로 높다랗게 단을 만들고, 그 단을 만들 때 생대를 이용한다. 이는 달집에 타면서 대나무가 탁탁하고 소리를 내면서 터지면 잡귀가 놀라서 도망을 간다는 속설 때문이다.

 

작은 설날이라는 정월 열나흘날 밤에 사람들은 짚으로 만든 홰를 들고 있다가 달이 뜨면 망월(望月)이여를 외치면서 달집으로 달려가 불을 붙이게 된다. 그 해에 달이 뜨는 것을 보고 망월이여를 먼저 외친 사람이 처녀면 시집을 가고 총각이면 장가를 간다고 한다. 환자가 보면 병이 낫고, 임산부가 보면 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다리밟기라는 답교놀이, 석전, 줄다리기 등도 모두 작은 명절 밤에 이루어지던 행사였다.

 

 

백가반(百家飯)’ 200그릇을 준비하는 정성

 

보름날 아침이면 아이들이 조리나 작은 소쿠리를 들고 이웃집을 돌아다니며 오곡밥을 한 숟갈씩 얻는다. 속설에 타성 백 집의 밥을 먹어야 좋다고 하기 때문이다. 백 집 밥을 먹지 않으면 어린아이가 봄에 발병하고 몸이 마른다고 한다. <동국세시기>에도 봄을 타서 살빛이 검어지고 야위는 아이는 백가반을 빌어다가 절구에 올라타 개와 마주앉아 개에게 한 숟갈 먹인 다음에 자기도 한 숟갈 먹으면 다시는 그런 병이 도지지 않는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다양한 속설을 갖고 있는 대보름 오곡밥과 나물을 곁들여 40년 가까운 세월을 이웃에게 나누는 사람이 있다. 수원시 팔달구 지동 271-124에 거주하는 고성주(. 63)씨가 장본인이다. 고성주씨는 매년 정월 대보름이 되면 찹쌀과 쌀, 보리, 좁쌀, , 팥 등을 넣어 오곡밥을 시루에 찌고 무나물, 고구마줄기, 취나물, 고사리, 도라지 등 15가지나 되는 나물을 준비해 도시락 통에 담아 이웃들에게 나누어준다.

 

3일 동안 정성들여 마련한 오곡밥과 나물을 이웃의 어른들에게 매년 빠트리지 않고 나누는 정성. 고성주씨의 이렇게 나눌 줄 아는 아름다운 마음이 있어 아직은 우리사회에 따듯함이 있다는 생각이다. “백가반의 나눔은 예부터 전해진 미덕이라는 고성주씨의 이런 마음이 우리사회도 따듯하게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