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린(1738(영조14)~1802(순조 2))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원덕(元德), 호는 영호(潁湖) 교리 효수의 아들이다. 영조 42년인 1766년에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1768년 부교리를 거처 도승지, 충청도 관찰사에 이어 대사헌을 지냈다. 1781년에는 호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정조 12년인 1788년에는 공시당상으로 국경무역을 관장하고, 1790년에는 왕의 명령으로 <증수무언록>을 번역했다. 그 뒤 선혜청 당상과 판의금 부사, 한성판윤, 수원부 유수 등을 지냈다. 순조 1년인 1801년에 집권한 벽파에 의해 경흥에 유배되어 이듬해에 유배지에서 죽었다.

 

화성박물관 앞에 늘어선 선정비

 

선정비란 백성들을 위한 좋은 정치를 베푼 지방 수령의 공덕을 기리는 비석으로, 송덕비 혹은 불망비라고 부른다.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에 소재한 수원화성박물관 경내에는 10여기의 선정비가 서 있다. 리 선정비는 중동 사거리를 비롯한 수원시내 곳곳에 서 있던 것을 이곳에 모아 놓은 것이다.

 

그런데 리 선정비를 보면 이상한 비가 하나 서 있다. 바로 화성 유수 서유린의 선정비이다. 1831년에 건립된 이 선정비는 1797년부터 1800년까지 화성 유수를 재임할 때 선정을 베푼 것을 기리는 비이다. 그런데 이 선정비의 받침돌에는 무수한 성혈이 보인다. 왜 이 비에만 성혈을 이렇게 파 놓은 것일까?

 

 

서유린의 선정비는 무엇인가 특별한 것이 있다?

 

서유린의 선정비 받침돌에는 사방으로 돌려 크고 작은 성혈이 20여 개나 보인다. 어떤 것은 깊게 파여져 있고, 또 어떤 것은 조금 파다가 만 것도 있다. 성혈이란 선사시대부터 전해오는 것으로 자신이 서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파놓은 기원성 표시라고 한다. 성혈은 커다란 바위나 선돌 등 다양한 곳에 나타나고 있다.

 

수원의 대문격인 장안문의 기단석에도 무수한 성혈이 보인다. 아마도 한양으로 향하는 관문인 장안문에 성혈을 파는 것으로 많은 기원을 한 것 같다. 하지만 왜 유독 많은 선정비 중에서 화성 유수 서유린의 선정비에만 많은 성혈을 판 것일까? 역사의 기록에서 서유린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았다. 정조와의 관계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정조와 서유린의 기록을 살펴보니

 

정조 17년인 1793년 수원을 화성으로 개칭하고, 수원부사를 유수 겸 장용외사 행궁정리사로 겸직을 시키고 채제공을 화성유수로 임명한다. 정조는 1794년에는 화성 성역을 착공하고, 정조 22년인 1798년에는 당시 화성유수인 서유린이 조세를 면죄해 줄 것을 아뢰자 이를 승낙한다.

 

1797924일 화성유수 서유린은 정조에게 시흥과 과천도 화성유수부에 속해야 한다고 건의를 한다. 용인과 진위, 안산은 화성에 속읍으로 있었기 때문에, 군사들이 화성 장용외영에 속해 있고 세금도 화성유수부로 납입됐다. 하지만 시흥과 과천은 총융청에 속해 있어 모든 세금을 총융청이 다스리는 남양부로 세금을 내야 했다.

 

 

지금의 화성시 남양동이 당시는 남양도호부라고 하는 화성유수부로부터 독립된 지방 고을이었다. 정조는 상대권력이 장악하고 있는 총융청의 병사들을 서유린의 주청에 의해 화성유수부로 편입을 시킨다. 이로써 화성 인근 5읍인 용인, 진위, 안산, 시흥, 과천이 화성유수부에 속하면서 이곳에 있는 부대 역시 장용외영으로 모두 속하게 됐다.

 

특히 용인과 진위, 안산의 3읍 협수군 12, 새로 이속된 시흥, 과천 속오군 5, 안산과 시흥 장초군 2, 용인, 진위, 안산 수어아병 8초 등, 도합 27초 병력을 확보해 기존의 화성유수부의 25초와 합쳐져 42초로 조선 최대의 정예부대가 됐다. 당시는 군제는 1초에 125명으로 이뤄졌으니 화성을 지키는 군사가 무려 5,250명에 이르는 막강한 병력을 갖게 된 것이다.

 

정조는 마지막으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현륭원에 참배를 하고자 화성 행궁으로 행어를 한다. 그리고 그가 세상을 뜨기 28일 전에 화성 유수 서유린을 부른다. 정조는 서유린에게 화성을 건설한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서유린이 대답을 하지 못하자 정조는 화성을 만든 목적을 설명한다.

 

정조는 농업의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들을 화성에서 만들어서, 실험하고 성공시켜 전국 8도에 보급해서 새로운 조선을 만들겠다고 생각을 말한다. 하지만 환궁을 한 정조는 28일 후에 세상을 떠나고 만다. 이렇게 정조는 화성 유수인 서유린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음을 알 수 있다.

 

 

벽파의 눈에는 가시 같았을 서유린

 

이 외에도 사초에는 서유린과 정조의 대화가 상당수가 기록되어 있다. 이런 서유린이 정조가 세상을 떠난 후 순조가 등극을 하자 벽파에 의해 귀향길에 올랐다. 화성유수는 정조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측근을 임명했을 것이다. 그런 점으로 보면 벽파의 눈에는 서유린이 가시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1800년 정조가 화성 행궁에서 환궁을 한 뒤 세상을 뜨자, 순조 2년인 1802년 집권 벽파는 시파의 군사기반인 장용영 외영의 군제를 없애고, 대신 규모가 훨씬 축소된 총리영을 둔다. 이로써 정조와 함께 강한 국권의 상징인 장용외영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서유린의 선정비에 많은 성혈이 있음은 결코 우연히 아니란 생각이다.

 

1800년 정조가 죽고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자 벽파가 정국을 주도하면서 시파가 큰 탄압을 받았다. 벽파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인 은언군과 혜경궁 홍씨의 동생인 홍낙임, 정조의 측근이었던 윤행임 등을 처형하였다.

 

하지만 시파의 김조순의 딸이 순조의 비로 간택이 되자 시파 탄압의 선봉이었던 이안묵을 유배시키는 것을 필두로, 김조순의 딸과 순조의 혼인을 반대했던 권유, 김노충 등 벽파 쪽의 수많은 선비들을 모조리 처형, 유배시켰다. 이로 인해 1807년 이경신의 옥사를 계기로 벽파는 지방으로 흩어져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화성유수 서유린의 선정비는 딴 비가 유수를 마친 이듬해나 수년 내에 조성을 한데 비해, 30년이란 세월이 지난 후에 선정비를 세운 것도 벽파의 눈치를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서유린의 선정비 받침돌에 무수히 새겨진 성혈. 사람들은 서유린의 선정비를 세우고 정조가 드나들던 장안문에 많은 성혈을 판 것처럼, 정조가 운명을 할 때까지 화성유수로서 선정을 베푼 화성유수 서유린을 남다르게 생각하고 성혈을 판 것은 아니었을까?

 

아마도 무수히 많은 성혈을 그에 비 받침돌에 새기면서 화성유수 서유린의 충정을 기억하고자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백성을 사랑한 정조와 그에게 신임을 받고 백성에게 선정을 베푼 서유린의 마음을 기억해 내고자 한 것이나 아니었을까? 말없는 선정비가 아쉽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