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대부도 고찰 쌍계사를 찾아 오솔길을 거닐다

 

안산시 대부북동 1058에 소재한 쌍계사, 사찰에 보관된 <정수암성조기(淨水庵成造記)>에 의하면 1689년 죽헌비구가 정수암을 중창하여 없어진 후, 1745년 그 자리에 다시 사찰을 세워 1750년부터 쌍계사라 불렸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찰 내에서 만력4(萬曆四年 : 1576)에 제작된 기와가 발견되어, 16세기 후반부터 이 지역에 사찰이 운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쌍계사 극락보전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인 쌍계사목조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92cm로 좁은 어깨에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모양의 나발이 촘촘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높이 솟아 있다.

 

이 목조여래좌상은 이마 위에는 타원형의 중앙계주와 정수리에 원통형의 정상계주가 있다. 타원형의 얼굴은 이마가 넓고 귀가 어깨 위까지 내려올 정도로 길게 늘어져 있으며, 눈두덩이와 양미간이 각이 져 조선후기 제작된 불상의 전형적인 얼굴을 하고 있다.

 

 

 

고개를 숙이고 있는 여래좌상

 

두터운 법의자락은 오른쪽 어깨에 짧게 늘어져 반전하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일부 대의자락이 왼쪽 어깨로 넘어가게 조형하였다. 왼쪽 어깨의 법의자락은 수직으로 내려와 반대쪽 법의자락과 겹쳐져 유려한 U자형을 이룬다. 하반신을 덮은 법의자락은 중앙의 S자형 주름을 중심으로 좌우로 짧게 늘어져 있다.

 

법의 안쪽에는 복견의를 입고, 가슴을 가린 승각기를 끈으로 묶어 윗부분에 5개의 앙연형 주름이 있다. 불상의 뒷면은 법의자락이 목 주위와 등을 V자형으로 덮어 조선후기 불상의 후면에 나타난 표현과 차이를 가진다. 따로 제작한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수인이지만, 이와 같은 손의 자세는 조선후기 제작된 아미타불을 비롯한 약사불과 지장보살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대좌는 연꽃이 위를 향한 앙연의 연화좌와 삼단을 이룬 팔각대좌가 한 쌍을 이루고, 팔각대좌 중단에 하늘을 날고 있는 용과 천인이 화려하게 투각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목조여래좌상은 고개를 앞으로 숙인 모습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 아마도 바세계의 중생을 돌보기 위해 내려다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

 

 

 

4년 만에 달라진 쌍계사를 찾아가다

 

201435일 이곳을 들렸으니 벌써 4년이 훌쩍 지났다. 연일 폭염주의보와 경보가 내리고 온열환자들이 사고를 당한다고 하는 날 찾아간 안산 대부도 쌍계사. 처음 이곳을 찾았을 때와는 판이하게 달라진 절의 모습에 눈이 크게 떠진다. 그동안 보지 못하던 전각이 세 채나 새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새로 지은 명부전과 용왕각, 극락보전, 삼성각을 둘러 전통사찰 자연학습장이라 쓴 숲으로 들어선다. 우거진 송림사이로 작은 오솔길 하나가 보인다. 곳곳에 인생살이에 도움이 될 만한 글들아 걸려있다. 그 길을 읽으면서 걷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폭염이라는데 숲속 오솔길엔 그래도 시원한 바람 한 점 스치고 지나간다.

 

애착을 없애는 일에 게으르지 말며

벙어리도 되지말라

학문을 닦고 마음을 안정시켜

이치를 분명히 알며 자제하고 노력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숏타니파타에 나오는 글귀이다. 이런 글귀 하나를 오솔길에서 만났다는 것만으로도 신선하다. 좋은 글은 늘 마음속에 새겨두는 버릇이 있어서인가? 한 잔 사진으로 남겨놓는다. 산다는 것이 어디 마음먹은 대로 될 것인가? 하지만 난 이 폭염이라는 무더위를 이렇게 조용한 사찰을 찾아 그곳의 바람으로 잠재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