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외산면 반교리는 요즈음 찾아드는 발길들이 잦아졌다고 한다. 커다란 카메라를 둘러메고 사람들이 삼삼오오 몰려든다는 것이다. 마을이 생긴 지가 오래되었지만, 요즈음처럼 사람들의 발길이 잦은 적이 없다는 것이다. 겨울철이라 좀 뜸한 편이지만, 봄부터 가을까지 주말이 되면 꽤 몰려온다고 이야기를 한다.

 

반교마을에 이렇게 사람들이 찾아드는 것은, 바로 마을 집들이 쌓아놓은 돌담장 때문이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집집마다 길가에 쌓은 돌 축대며 담장이 보인다. 조선조에 쌓았다고 하니, 그 역사가 꽤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일 추운 날 돌담장을 만나러 가다니

 

갑자기 날이 추워졌다. 움츠리고 밖으로 나가기도 싫은 날씨지만, 부여군의 많은 문화재들이 눈에 아른거린다. 몸살기운이 영 가시지를 않아 병원신세를 진 몸이지만, 그 역마살은 이런 날씨에도 사람을 밖으로 몰아내는가 보다. 참 세상에 이런 팔자도 드물 것이라고 투덜거리면서도, 발길은 어느새 반교마을을 향하고 있다.

 

부여를 출발하여 40번 도로를 이용해,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를 찾아가다가 만날 수 있는 반교마을. 도로에서 마을 입구에 있는 다리를 건너면 돌담이 길을 따라 늘어서 있다. 등록문화재 제28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부여 반교마을 옛 담장이다. 이 담장들은 조선조에 축조가 되었다고 하니, 세월이 연륜이 묻어있는 담장이다.

 

물론 그 동안에 많은 보수를 하였겠으나, 그래도 옛 모습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모습에서 반가움을 느낀다. 수많은 석탑과 석불을 만나러 다니는 것도 부족해, 이젠 돌담까지 이 추운 날 만나러 가느냐고 어느 분이 우스갯소리를 하신다. 정말 돌에 무엇이라도 홀린 것이 아니고서야, 이 추운 날 사서고생을 하다니.

 

 

 

 

 

호박돌로 쌓은 돌담장을 만나다

 

반교마을 옛 돌담장은 특별한 것은 아니다. 마을의 밭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막돌인 호박돌을 이용해 쌓은 담장이다. 호박돌이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돌을 말한다. 이런 호박돌은 마을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돌을 이용해 길을 따라 늘어선 담장이 아름다운 경치를 만든다.

 

담장은 밑의 폭이 90cm 정도이고, 위는 60cm 정도의 폭으로 위가 좁아져 안정감이 있다. 초입에는 옛 돌 축대가 무너질 것을 대비했는지, 시멘트로 발라 놓은 곳도 있다. 그 축대 역시 막돌을 이용해 쌓은 것이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돌로만 담을 쌓았다. 흙 한 덩이 이용하지 않고 돌로만 쌓아 올린 담이, 이렇게 견고하게 오랜 세월을 버틸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소통을 할 수 있는 높이의 담장

 

담장의 높이는 약간씩 다르지만, 길가에 쌓은 담장은 어른 키보다 조금 낮다. 담장 너머로 울안이 들여다보일 정도이다. 이렇게 담장을 어른들이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한 것은, 소통을 하기 위함이다. 양반가의 담장들이 폐쇄적이라면, 민초들의 담장은 누구나 얼굴을 마주할 수 있도록 낮게 만들었다. 그것이 바로 우리 민가의 담장이 갖고 있는 멋이기도 하다.

 

손이 곱을 정도로 매서운 날씨다. 그래도 마을 안을 이리저리 돌아본다. 돌이 참 많이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괜한 걱정을 해본다. 그저 척척 올려놓은 듯한 돌들이 이렇게 오랜 시간을 버티고 있다니. 반교마을을 한 바퀴 돌아 나오면서, 저 담장에 넝쿨 꽃이라도 타고 올라가는 날, 다시 한 번 찾아오리라 마음을 먹는다. 겨울철 담장은 너무 차게만 느껴지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