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문화재 제697호인 구 소화초등학교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大韓民國 登錄文化財)는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다고 느껴 문화재로 지정 등록한 문화재를 말한다. 등록문화재는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에 생성·건축된 유물 및 유적이 중점적으로 등재되어 있다.

 

우리 수원에는 모두 6점의 등록문화재가 있다. 등록문화재 제597호인 팔달구 교동 741에 소재한 구 수원문화원 건물과, 등록문화재 제598호로 지정되어 있는 팔달구 매산로 119(교동, 가족여성회관)에 소재한 구 수원시청사, 등록문화재 제688호인 팔달구 효원로 1(매산로3, 경기도청)에 소재한 경기도청사 구관, 그리고 등록문화재 제689호인 팔달구 고화로130번길 21(화서동, 경기도청어린이집)에 소재한 경기도지사 구 관사이다.

 

 

이 외에 등록문화재 제697호로 20171023일자로 지정된 팔달구 정조로 842(북수동, 북수동 천주교회)에 소재한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와 등록문화재 제698호로 같은 날 지정된 팔달구 향교로 130(교동)에 소재한 수원 구 부국원 건물 등이다. 결국 수원시의 등록문화재 6점은 모두 팔달구에 자리하고 있다.

 

이렇듯 등록문화재가 팔달구에 소재하고 있는 이유는 현 팔달구가 과거 수원화성 팔달문을 중심으로 모든 상권 등이 밀집되어 있었고, 이곳에 일제의 금융기관 등과 관청 등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 수원시에 지정된 등록문화재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에 축조된 건물들이기 때문이다.

 

 

현 북수원성당 뽈리화랑이 등록문화재

 

아마 북수원성당 입구에 구 소화초등학교 건물이 등록문화재로 20171023일자로 지정되었다는 안내 현수막이 붙어있지 않다고 하면 이 성당 안에 문화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문화재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그저 무심히 화랑건물만 보고 돌아갈 수도 있을 것이다.

 

성당 정문을 들어서면 옛날 건물 한 채가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건물의 외곽을 돌로 마감처리 한 이 건물이 바로 1954년 미국 가톨릭복지협의회가 수원에 최초로 건립한 초등학교 교사로 축조한 구 소화초등학교 건물이다. 지금은 북수원성당에서 뽈리화랑이라는 전시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3일 찾아간 북수원성당. 이 건물은 과거 북수원성당의 부속학교로서 성당 경내의 북쪽에 남향으로 길게 자리한다. 자를 이루면서 본 건물과 교육관이 이어져 있는 이 건물은 학교를 지을 때가 한국전쟁 중이라 자재가 부족하여 외벽을 돌로 쌓고 내부는 주변의 목재를 조달해서 지었다고 한다.

 

 

내부를 자세히 살필 수 없어 아쉽게 돌아서다

 

구 소화초등학교 건물은 그 전에 이곳에서 전시를 할 대 한 두 번 들린 적이 있다. 그 당시는 등록문화재로 지정이 되기 전이라 그렇게 눈여겨보지 않았던 건물이다. 3일 찾아간 뽈리화랑 1층 입구는 문이 닫혀있다. 2층 박공지붕으로 지어진 건물은 길게(긴 면 30,550m, 짧은 면 9,200m) 조성된 건물로 각 층에 3개 교실이 나란히 이어져 총 6개 교실이 있으며 편복도 형식이고 복도 한쪽 끝에 계단실이 있는 전형적인 학교 건물이다.

 

안을 들어갈 수 없어 건물의 외곽을 둘러보다보니 한편에 돌 가운데 구멍이 나 있는 석물 하나가 보인다. ‘수원성지 돌형구라는 설명이 붙어있는 이 돌은 수원화성 안 골동품 가게에서 발견이 된 것으로 정조대왕 시후 천주교 대박해가 시작되었을 때 수원화성 안으로 연행된 천주교인들을 심문하던 돌형구라는 것이다.

 

이 구멍이 난 돌을 이용해 어떻게 천주교인들을 고문했는지는 자세한 설명이 없어 알 수 없지만 당시 각종 형구를 이용해 천주교도들을 박해했기 때문에 이 돌형구로 인해 많은 천주교인들이 목숨을 잃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우리 문화재를 찾아갔다가 만난 돌형구 한 점. 이런 돌 한 점이라도 우리역사의 한 부분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그 또한 소중한 문화적 자원이란 생각이다. 다음에 구 소화초등학교를 찾아가면 그 안까지 꼼꼼하게 살펴보아야겠다. 우리 문화재는 소중하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