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160에 소재한 서산 조비산 부석사(浮石寺). 우리는 흔히 부석사라고 하면 경상북도 영주시에 소재한 부석사를 먼저 생각한다. 하지만 서산 부석사도 영주 부석사와 같이 한자로도 사찰명이 일치한다. 서산 부석사는 신라 때 의상대사가 창건 한 절로 전해진다.

 

부석시 일원은 도비산의 강무지로 알려져 있다. 강무지란 임금이 직접 참여하여 군사훈련을 한 곳임을 말한다. 조선조 제3대 태종이 14162163남인 충령대군(후 세종)과 함께 군사 7,000명을 이끌고 이곳에서 사냥몰이를 하였다. 임금이 직접 참여한 이러한 군사훈련을 강무(講武)’라 칭한다.

 

훈련이 끝난 후 태종과 충령은 해미현에서 숙박을 한다. 원래 이 강무일정은 28일에 서산에 도착하였으나, 비가 내리는 바람에 210일까지 서산에서 머물고, 11일에 태안 순성에 이르러 15일까지 굴포의 개착상황과 여러 곳을 거쳐 도비산에서 강무를 연 것이다. 태종이 이곳을 강무지로 택한 곳은 도비산 일원이 왜구의 침입이 잦았기 때문이다.

 

 

큰 돌이 허공에 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부석(浮石)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4년인 650년에 복흥사라는 절에 의상이라는 승려가 있었다. 의상은 큰 뜻을 품고 당으로 가서 지엄법사 밑에서 공부를 했다. 의상이 있던 지장사 아랫마을에는 젊고 예쁜 <선묘낭자>가 살고 있었는데, 이 낭자가 의상스님에게 반하고 만 것. 그래서 문무왕 1년인 661년에 의상이 신라로 돌아가려하자, 선묘낭자는 자신의 마음을 의상에게 밝혔다. 하지만 의상은 스님이기 때문에 허락을 할 수 없다고 거절했다는 것이다.

 

의상이 배를 타고 떠나려하자 선묘낭자는 스님의 복색을 하고 의상을 따라가 평생 시종을 들 것이라고 부탁을 했다. 하지만 그도 물리치자 선묘낭자는 바다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것이다. 그 뒤 선묘낭자는 용이 되어 의상을 따라 해동 조선으로 나왔다고 한다. 의상은 자신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선묘낭자를 위해, 절을 세워주기로 하고 절터를 찾던 중 서산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로 하였다.

 

 

문무왕 10년인 670년에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 시작하자 마을 사람들이 심하게 반대를 했다. 마을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도 무릅쓰고 절을 계속 짓자,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 절에 불을 지르려고 하였다. 그 때 큰 바위 하나가 허공에 둥둥 떠 오더니 공중에서 큰 소리가 났다. “너희들이 절 짓는 것을 방해한다면 이 큰 바위로 너희들의 머리를 다 부수어놓겠다. 지금 당장 물러가라고 꾸짖었다. 사람들은 혼비백산 달아나버렸다.

 

이렇게 허공에서 소리를 친 것은 바로 선묘낭자의 화신인 용이었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이 절 이름은 도비산 부석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 부석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이유이다. 결국 이 부석사는 큰 바위가 하늘에 둥둥 떠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새로 조성한 마애불, 장관입니다

 

법당 좌측으로 올라가면 산신각이 자리하고 있다. 산신각에는 중앙에 산신님, 우측에 선묘낭자. 좌측에 용왕을 모셨다. 산신각의 좌측으로 돌아가면 산신각이 올라가도 남을 만큼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거북바위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바위에 전에는 보지 못하던 마애불이 조성되어 있다.

 

높이가 7m 정도는 될 만한 큰 바위의 면에 조성한 이 마애불은 기계를 이용해 조각을 한 듯하다. 널찍한 바위 면에 부조로 조성한 마애불은 두광을 파고 그 안에 조성하였다. 얼굴은 네모나게 조형했는데 귀가 어깨까지 느려져 있다. 입은 두툼하고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수인은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어 올렸으며, 왼손은 가슴께로 올렸다. 법의는 양편으로 걸쳤으며 가슴에는 U자 주름이 접혀있다. 발가락은 모두 법의 밑으로 나와 있으며, 연화대는 겹 앙화를 조각했다. 요즈음에 들어 조성한 마애불치고는 상당히 균형감이 있게 조성을 하였다.

 

마애불을 조성한 앞은 시원하게 트여있어 멀리 아래쪽 길가를 지나는 차들이 조그맣게 보인다. 천혜의 조건에 조성한 부석사 마애불. 언젠가는 이 마애불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서원을 하지 않을까? 새로 조성한 마애불 앞에서 머리를 조아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