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소재한 사적 제150호인 미륵사지. 뒤편으로는 미륵산이 자리하고, 그 남쪽 기슭에 자리한 백제시대의 절터이다. 『삼국유사』권2 무왕조에 따르면, 백제 무왕(600~641)이 왕비와 함께 사자사(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소재 사자암)로 향하고 있을 때, 큰 연못 속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무왕과 함께 거동을 하던 왕비가 이곳에 절을 세우기를 간청하자, 무왕은 못을 메우고 탑과 법상, 미륵삼회전, 낭무 등의 전각을 건립하고 ‘미륵사’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미륵사가 언제 사라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7세기경에 이미 폐사가 되었다고는 하지만 백제의 멸망이 나당연합군에 의해서 이었다고 보면, 그 당시 전쟁 통에 이미 사라진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세 개의 화려한 탑이 서 있던 미륵사

현재 미륵사지에는 반쯤 파손되어 있는 국보 제11호인 서탑을 해체 복원중이다. 1980년대에 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본격적인 발굴조사의 결과로는, 동탑과 서탑 사이에 목탑을 세워서 일직선상에 탑 3개를 배열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2011년 1월 25일 찾아간 미륵사지에는 날이 추운 탓인지, 사람들이 보이지를 않는다. 아직도 눈이 많이 쌓여 있는 미륵사지에는, 찬바람만이 스산하게 불어댄다.

해체를 한지 수년이 지났지만 국보인 미륵사지 서탑은 아직도 해체된 그대로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건너편에 화려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중원 9층 석탑으로 발길을 돌린다. 장중한 모습으로 복원이 된 동탑은 몇 개의 돌만이 당시의 석재이다. 1974년 동원 탑지를 발굴 조사한 결과, 기단의 형태 및 발굴 유물 등으로 보아 이 동원 탑지에도 서탑과 같은 백제시대의 석탑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복원된 미륵사지 동원 9층 석탑은 백제 때의 기단석재 등을 사용하였다

복원된 동탑의 아름다움

동원 9층 석탑은 동탑지에 1991년부터 복원을 시작하여, 1992년에 복원을 완성하였다. 이 9층 석탑의 복원에 따른 고증자료는 서탑과 동원 동탑의 기단부 및, 1980년 이후 동탑지 부근에서 발굴조사 때 발굴된 노반석 등을 비롯한 탑의 석재를 이용하였다. 현재 이 동원 9층 석탑의 기단부에는 발굴 당시 발견이 된 석재 일부가 사용이 되었다.

이중 기단위로는 높은 1층 탑신이 서 있다. 1층 탑신은 사방에 계단을 놓았으며, 계단 위에는 철문이 있다. 이 문을 통해 탑신 안으로 들어서면, 十 자 모양으로 통로가 사방으로 나 있다. 하지만 이층부터는 위가 막혀있다. 9층 석탑과 상륜부까지의 총 높이는 27.8m나 되는 거대한 탑이다.



일층 탑신 안에는 사방으로 통로가 나 있다

금이 가고 있는 복원된 탑, 방치하면 안 돼

이 동원 9층 석탑을 재현하는 데는 익산 황등에서 캐낸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총 2,000여개의 석재는, 그 무게만도 2,700여 톤이나 되는 양이다. 이 탑을 복원하는 데는 백제시대의 기단석과 탑신석 35개가 사용이 되었다. 탑의 지붕돌인 옥개석과 상륜부에 달린 풍탁은 동탑지에서 발견이 된, 백제시대의 금동풍탁을 복제한 것이다.


금이 가고 있는 미륵사지 동원 9층 석탑

동원 9층 석탑을 한 바퀴 돌아본다. 탑 안까지 살피고 난 후 밖으로 나왔다. 건너편에는 서탑을 복원하느라 커다란 구조물을 세워놓았는데, 밖으로 나와 9층 석탑으로 바라보니 무엇인가 이상하다. 일층 탑신석 철문 위쪽에 금이 가 있다. 그러고 보니 그 위에도 금이 보인다. 문 위 석재에 금은 그 끝이 약간 어긋나 보일 정도이다.

1992년에 복원이 되었다고 하면, 이제 복원된 지가 20년째다. 익산 황등 화강암은 단단하기로는 전국에서 명성이 자자하다. 그런 석재가 금이 가고 있다니. 괜한 걱정이 앞선다. 요즈음 광화문 현판을 비롯한 문화재 복원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데. 이곳도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닐까? 더 이상 금이 가는 것을 방치하면 안 될 것 같다. 아무리 복원이 된 탑이라고 하지만, 그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