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택굿보존회 고성주 명인의 열린 굿판을 가다

 

굿은 열린 축제라고 한다. 빈부귀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주구나 그곳에서 울고 웃을 수 있다. 그런 열린 축제인 굿이 산속으로 숨어들면서(지금은 모든 굿이 전문 굿당이라는 곳으로 숨어들었다) 굿의 본 형태인 열린 축제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 초복축사 등의 기능만 남아있을 뿐이다.

 

그런 열린 축제의 기능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판이 바로 경기도안택굿보존회 고성주 명인의 맞이굿이다. 고성주 명인은 43년 동안 음력 37일과 107일 두 차례 맞이굿을 지동소재 271~124 자택에서 열면서 누구에게나 문을 열고 들어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그야말로 열린 축제의 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고성주 명인의 맞이굿이 더 대단한 것은 우리 전통의 맞이굿이 선사시대부터 갖고 있는 하늘에 감사하고 수족상응(手足相應)하고 답지저앙(踏地低昻)하는옛 모습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2(음력 37) 고성주 명인의 전안에서 열린 맞이굿판에서는 경기재인청의 춤과 판소리 공연까지 이어져 굿판에 모인 사람들의 흥을 고조시켰다.

 

저는 굿을 할 때 밖으로 나가지 않아요. 집안에 신령을 모셔놓고 밖에 나가서 맞이굿을 한다는 것은 아치에 맞지 않잖아요. 2~3백 명이 찾아와도 일일이 집에서 대접을 하고 그들에게 우리 춤과 소리를 들려주죠. 굿판은 즐거워야 하니까요

 

 

경기재인청 춤과 판소리 등 흥겨워

 

고성주 명인은 어려서부터 춤과 소리를 배웠다. 경기재인청 춤꾼들이 추던 많은 춤은 고 운학 이동안 선생에게서 사사 받았으며 그 외에 많은 소리꾼들에게서 소리를 익혔다. 경기도의 춤과 소리는 지역적 특징이 있기 때문에 경기안택굿을 윤택하게 만들기도 했다. 경기재인청의 화랭이들과 강신무들의 굿에서 불리는 소리가 다른 것도 경기도의 전통예술을 다양하게 살찌운 것이다.

 

오후 5시 경이되자, 굿을 하는 도중 무용복을 입은 무희들이 전안으로 들어섰다. 고성주 명인의 굿판이 즐거운 것은 바로 이렇게 춤을 추고 소리를 하기 때문이다. 고성주 명인의 문하생들이 노들강변(박경순), 엇중모리 신칼대신무(서금자), 교방무(윤혜선) 등을 추고 난 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석사학위 취득자인 이승은의 경기살풀이로 이어졌다,

 

이승은은 전 중양대학교 무용과 강사를 역임할 정도의 실력을 갖춘 재원으로 경기재인청춤을 고성주 명인에게서 교습받고 있는 중에 이날 춤판에 오른 것이다. 전문춤꾼의 실력은 남달랐다. 맺고 풀어가는 춤 태가 뛰어나 구경을 하던 사람들의 입에서 역시 전문춤꾼은 다르다는 말이 흘러나오고 박수소리도 더 요란했다.

 

 

판소리까지 곁들인 맞이굿판

 

춤 공연을 마친 후에는 판소리를 하는 조진숙이 춘향가 중 - 뺑덕어미 행실을 스승인 김승의(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춘향가, 적벽가 이수자)의 장단에 맞추어 불렀으며 판소리 한 대목을 양용자, 조진숙, 이정은, 강현미, 김도영 등 5명이 멋들어지게 불렀다. 맞이굿판에서 만날 수 있는 이런 공연이 있기 때문에 고성주 명인의 맞이굿은 늘 흥청거린다.

 

오늘 정말 좋은 구경을 했어요. 그동안 굿이라는 것에 대해 편협 된 사고를 갖고 있었는데 오늘 이렇게 와서 직접 보니 굿판이 정말 우리 전통의 모든 것을 다 함축해 갖고 있네요. 경기안택굿도 그렇지만 춤과 소리까지 곁들인 이런 굿판이라면 언제라도 찾아와 즐겁게 관람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맞이굿 관람을 하고 있던 이아무개(, 53)씨는 그동안 굿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하면서 앞으로 굿에 대해 잘못된 시각들을 바로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한다. 먹고 마시고 춤추고 소리하는 경기도의 전통 굿 한마당. 고성주 명인의 맞이굿 판에는 그런 경기도의 멋이 그대로 녹아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