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아까운 문화재들이 제 자리를 떠나, 먼 이국으로 건너가 버렸다. 그리고 돌아올 줄을 모른다. 그 중 일부가 돌아오긴 했지만, 찬탈당한 수많은 문화재 중 극히 일부일 뿐이다. 그런데 자칫 일본으로 건너갈 뻔한 아까운 문화재 한 점이, 비록 제자리는 떠났지만 그래도 우리 땅에 남아있어 안도의 숨을 쉬게 만든다.

 

우리나라에 전하는 수많은 석등 중에서 유일하게 간주석에 조각을 한 석등이 있다. 바로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에 소재한 발산초등학교 교정 뒤뜰에 서 있는, 보물 제234호 발산리 석등이다. 이 석등은 이곳에 대규모 농장을 가지고 있던 시마타니 야소야, 일본으로 갖고 가기 위해 전북 완주에 있는 석등을 자신의 농장으로 옮겨 온 것이다.

 

뛰어난 석등, 절로 안도의 숨을 쉬다.

 

높이 2.5m의 이 석등은 통일신라 때의 작품이다. 원래는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봉림사 터에 있던 이 석등을, 시마타니가 이곳으로 옮겨 일본으로 반출을 시도했던 걸작품이다. 석등은 그리 크지는 않지만, 그동안 보아왔던 것들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조형이 되었다. 만일 이것이 시마타니에 의해 일본으로 건너갔더라면, 우리는 또 하나의 소중한 우리 문화재를 잃을 뻔했다.

 

 

 

 

 

이 석등은 색다르다. 우선 불을 켜는 화사석의 창이 사각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조성을 하였다. 팔각으로 꾸민 화사석에는 사방에 타원형의 창을 내고, 폭이 좁은 남은 네 곳의 기둥에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양각으로 조각한 사천왕상의 발밑에도 밟힌 사악한 무리들을 표현한 뛰어난 작품이다.

 

사천왕은 사왕, 혹은 호세사왕이라고도 한다. ‘호세사왕(護世四王)’이란 세상을 지킨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서는 7세기경에 사천왕상이 나타나기 시작해, 통일신라시대에 크게 유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석등이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고 보면, 단순히 불을 밝히는 목적만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즉 이 석등은 세상을 밝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간주석에 용틀임, 뛰어난 작품

 

일반적인 석등의 간주석은 각이 지게 조성을 한다. 그러나 발산리 석등의 간주석은 원형으로 조성을 하였다. 그리고 그 기둥 돌에는 용을 조각하였다. 구름 속에서 요동치는 용은 비늘 하나하나까지 섬세하게 조각을 하였다. 금방이라도 하늘로 승천을 할 것만 같은 뛰어난 조각술이다.

 

이런 석등을 조성한 봉림사라는 절은, 아마도 통일신라시대에는 꽤나 번창한 절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용을 새긴 간주석 밑으로는 여덟 개의 연꽃을 새긴 받침돌이 자리한다. 사각형의 기단돌 위에 모서리를 둥글게 마감한 받침돌에, 연꽃잎을 크게 조각하였는데 일석으로 조성을 하였다.

 

 

 

 

 

지붕돌 역시 팔각으로 꾸몄는데, 처마 밑에 서까래까지 세세하게 표현을 하였다. 지붕돌 위에 올리는 보주 등은 사라져버렸다. 통일신라 사대에 조성한 발산리 석등. 엄밀하게 따지자면 발산리 석등이기보다는 봉림사지 석등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일본으로 밀반출을 하기 위해 자리까지 옮겨진 석등이, 이름까지 변해버렸다는 것에 또 한 번 마음이 아프다. 그래도 이렇게 남아 우리 땅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주변에 늘어서 있는 석조물들과 함께 자리를 지켜주고 있음이 정말로 고맙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