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오는 날 떠나는 답사 길은 아무래도 힘이 들게 마련이다. 그러나 아무리 힘이 든다고 해도 답사를 멈출 수는 없으니, 내친 김에 몇 곳을 둘러보고는 한다. 충북 증평군 증평읍에 있는 남하리 사지 마애불상군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이 되어 있으며, 남하리 3구 염실마을 뒤편의 남대산을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안내판 없는 문화재 찾기가 힘들어

 

도로변에 적혀있는 남하리 사지 마애불상군의 표지를 보고 마을 안으로 들어갔다. 눈이 쌓인 길을 헤치고 들어가는 것도 힘들지만, 입구에만 안내판이 있는 경우에는 온 마을을 샅샅이 뒤져야만 한다. 한 시간 넘게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찾다가 마을주민들에게 길을 물었다. 우리가 찾는 곳과는 전혀 동떨어진 곳에 마애불상군이 있다는 것이다.

 

 

마을이 끝나는 곳에 차를 놓고 걸어 올라간다. 눈길에 발목까지 빠지고 길도 질척거린다. 그래도 전각이 보이는 곳에 마애불이 있다는 생각에 힘이 드는 것도 모른다. 앞에 전각 안에는 마애불이 있고, 그 옆에는 바위 위에 선 삼층석탑이 보인다. 발걸음을 재촉해 가까이 다가간다. 이렇게 문화재를 찾아가는 길은 늘 가슴이 뛴다. 어떠한 모습으로 나를 반길 것인가가 늘 궁금하기 때문이다.

  

신라 말의 마애불상군에 반하다

 

남하리 사지로 밝혀진 이곳에는 1954년 까지도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그 이후 절은 폐사가 되어 없어지고 충북 유형문화재 제197호인 마애불상군과, 유형문화재 제141호인 삼층석탑만이 이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준다.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마애삼존불. 바위를 바라보고 좌측에는 크게 부처를 새기고, 우측으로 작은 보살을 입상으로 새겼다. 처음에는 이 마애삼존불로만 알았다고 한다. 그 후 정밀 조사를 하면서 삼존불 좌우로 여래입상과 반가사유상이 밝혀졌다.

 

 

모두 두 덩이의 바위에 새겨진 5구의 마애불. 중앙 정면에 삼존불이 있고, 그 우측으로 돌아서 여래입상 1기가 새겨져있다. 그리고 좌측의 떨어진 바위에 반가사유상이 새겨져 있으나, 흐릿해서 구별조차 하기가 어렵다. 중앙 3기의 삼존불은 형태를 알아볼 수 있으나, 좌우에 새긴 반가사유상과 여래입상은 자세히 들여다보아야만 한다.

 

하지만 당당의 체구로 새겨진 점과 목에 삼도가 생략된 것 등으로 보아서는, 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5기의 마애불상군은 거의 같은 시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지방의 장인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여

 

마애불상군이 새겨진 바위 위로는 최근에 새로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전각이 서 있다. 삼존불이 새겨진 뒤로는 작은 통로가 보인다. 통로는 바위를 돌아 나올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삼존불과 반가사유상 앞을 보니 누군가 초를 켰던 흔적이 보인다. 많은 초들이 타다 남은 것으로 보아, 여러 차례 누군가 치성을 드렸음을 알 수 있다.

 

 

삼존불의 아래는 발을 표현하느라 움푹 양편을 파 놓았다. 전체적인 모습은 당당하다. 늘 여기저기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지만, 보는 것마다 다 새로운 느낌이 든다. 증평읍 남하리 사지에서 만난 5기의 마애불상군. 그 당당한 모습이 반갑다. 그리고 눈길에 발을 빠트리며 몇 번인가 미끄러졌지만, 그래서 더욱 소중하다는 생각이다. 지방 장인의 손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남하리 사지의 마애불상군. 오늘 답사 길에 만난 마애불상군은 천년 지난 세월 그렇게 서 있었다. 그 당당함에 반하다.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산139에 소재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4호인 영월무릉리마애여래좌상은 영월군 수주면의 주천강(酒泉江)이 흐르는 곳에 요선정이라는 정자 옆 커다란 바위에 조각을 한 마애불이다. 이 마애불은 요선정 동쪽에 있는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높이 3.5m의 여래좌상이다.

 

마애불 옆에 지은 요선정(邀僊亭)은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1915년에 무릉리에 거주하는 요선계 회원들이 지은 이 정자는, 앞으로는 저 아래 계곡으로 남한강의 지류인 주천강이 흐르고 있다. 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정자 앞 바위에는 마애불이 새겨져 있고, 석탑 1기가 있어 이 정자가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박진감이 넘치는 마애여래좌상

 

하나의 바위에 부조로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은, 타원형의 얼굴에 양감이 풍부하여 박진감이 넘치고 있다. 법의는 묵직하게 표현을 하였는데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으며, 간략한 옷 주름을 선각으로 표현을 하고 있다. 두 손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는데, 가슴까지 올린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펴서 손등을 보이고, 왼손은 오른손과 평행하게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있다.

 

바위에 3.5m나 되는 크기로 돋을새김과 선각으로 처리를 한 마애여래좌상은 주천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형태로 새겨져 있다. , , 입 등이 큼직하게 표현이 되어, 상당히 힘이 넘치지만 균형이 제대로 맞지 않아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새겨진 머리광배와, 두줄의 선으로 표현된 몸 광배를 갖추고 있다. 하체는 지나치게 크게 표현하여 전체적인 균형을 잃고 있으며, 불상이 앉아 있는 좌대에는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새겨져 있다. 상체의 표현이 사실적이고 박진감이 넘쳐나지만, 지나치게 커진 무릎이 균형이 잘 맞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무릉리마애여래좌상은 고려시대 영월지방의 대표적인 마애불상으로 보인다.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한 요선정

 

어제시란 임금님의 시를 말한다. 조선조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한 정자인 요선정.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는 커다란 바위 하나가 주천강이 흐르는 절벽 위에 자리를 잡고 있고, 작은 정자에는 요선정이란 현판과 함께, 모성헌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아마도 임금을 그린다는 뜻인가 보다.

 

 

요선정은 조선 19대 숙종임금이 쓴 어제시를 봉안하고 있다는 것이, 역사적 가치를 갖게 만든다. 그래서 이 작은 정자가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요선정에 걸린 어제시는 숙종 임금이 직접 하사한 것이다. 원래는 주천면 서북쪽으로 흐르는 주천강 북쪽 언덕에 위치하였던 청허루(淸虛樓)’에 봉안하였으나,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청허루가 붕괴되었다.

그 후 숙종의 어제시 현판을 일본인 주천면 경찰지소장이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요선계 회원들은 일본인이 숙종대왕의 어제시 현판을 소유하였다는데 거부감을 느끼고, 많은 대금을 지불하고 매입하였고, 이를 봉안하기 위하여 요선정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일개 촌부들이라고 하지만, 그만큼 나라사랑과 역사의식이 강했던 것이다. 자칫 일본으로 건너갈 뻔한 소중한 어제시 현판이, 수주면에 거주하는 원씨(元氏이씨(李氏곽씨(郭氏)3성이 조직한 요선계원들에 의해 지켜진 것이다.

충북 괴산군 불정면에 있는 마애불을 찾기 위해 삼방리를 찾았다. 삼층석탑과는 달리 같은 삼방리인데도 그 거리가 한참이나 떨어져 있다. 중간에 마땅한 안내판이 서 있지를 않으면, 문화재를 찾는다는 것이 무척이나 힘이 든다. 삼방리 마애불을 찾을 때도 몇 번이고 이리저리 길을 찾아다녔다.

 

마을에서 안내를 받을 수도 없는 것이 시골이다. 문화재에 대한 관심도 없지만, 정확한 위치를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물어물어 찾아간 삼방리 마애불. 밑에다가 차를 대고 올라가라는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길이 보이기에 그냥 따라갔던 것이 화근이다. 올라가니 길도 없고, 차를 돌릴 만한 곳도 없다. 산길이라 눈은 쌓였는데 후진으로 내려오려니, 가슴이 다 서늘하다. 자칫 조금만 실수만 있어도 계곡으로 처박을 판이니. 

 

바위에 새간 마애여래좌상   

  

엷은 부조로 조각한 마야여래좌상.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알아볼 수가 없을 정도다.

측면에서 바라보면 엷은 부조로 조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거의 선각수준이다.


삼방리 마애여래좌상은 높이 3.7m, 폭 4.1m, 두께 2.4m 정도의 바위의 한쪽 면에 새긴, 높이 3.5m의 마애여래불이다. 낮은 연꽃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앉아있는 이 마애불은, 앞에 선 안내판이 없다면 주의 깊게 보아야만 한다. 그냥 지나치면서 이 마애불을 보면 거의 윤곽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왜 이 깊은 산속에 이런 마애불을 새겼을까? 전국을 다니면서 만나는 마애불마다 궁금증이 일어난다. 왜 옛 선인들은 아주 오랜 옛날 이렇게 산중에 있는 바위만 보면, 마애불을 새기고 싶었던 것일까? 아니면 누군가 여기저기 다니면서, 수도 없이 많은 마애불을 조성한 것일까? 길도 없고, 사람의 왕래도 거의 없는, 이런 깊은 산중 암벽에 새긴 마애불을 보면서 늘 갖는 의문이다.

 

고려시대에 조각을 한 수많은 마애불들을 보면서, 당시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불교에 심취했던가를 가늠할 수 있다. 부처를 새길 만한 바위만 보이면 어김없이 새겨진 마애불들. 이렇게 수많은 마애불을 조성하면서 무엇을 기원했던 것일까? 아마 고구려의 후손들이기에 잃어버린 북녘 땅을 되찾으려는 간절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삼방리마애불

 

소발의 머리에 큼직한 육계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어깨는 당당하게 표현을 하였다.

수인이나 법의는 희미하게 남아있어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가 힘이 들 정도다.

 낮은 연꽃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이다.


충북지역의 마애불을 보면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들이 상당수가 있다. 이 마애불들은 모두가 거대마애불로 조성이 되어있으며, 비교적 간결한 선각으로 처리가 되어있다. 삼방리 마애여래좌상은 통견의 법의를 걸치고 있는데, 왼손은 무릎 위에 얹고 오른손은 가슴 앞에 놓은 독특한 수인을 보이고 있다.

 

신체는 굴곡이 거의 없는 사각형이다. 수인이나 법의는 희미하게 남아있어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가 힘이 들 정도다. 몇 가닥으로 간략하게 표현한 옷 주름의 선과, 도식적인 꽃잎의 형태에서는 조각기술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이곳의 마애불들의 대체적인 모습들이 이런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점은 이 지역의 장인에 의해 조성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단아한 체구와 소발의 머리에 큼직한 육계는 어딘가 조금은 어울리지 않는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어깨는 당당하게 표현을 하였다. 고려 초기 지방의 마애불치고는 수준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얼굴부분은 대체로 양각이라기보다는 선각에 가깝다. 앞에서 보기에는 선각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조금 도드라지게 조각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슴에는 군의대의 매듭이 보인다.

 

전각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렇게 방치가 되어 비바람에 씻긴다면, 이런 형태도 보존하기가 어려울 것만 같다. 마애불을 뒤로하고 떠나면서 마음속으로 고마움을 전한다. '덕분에 얼음판에 미끄러지지는 않았으니 고맙습니다.'라고. 

충북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 산27번지 내동 안골마을에는 햇골산이라고 하는 산이 있다. 이 산 기슭에서 약30m되는 중턱의 깎아지른 듯한 벼랑에는, 동쪽을 향해 바라다보이는 곳에 보물 제1401호인 봉황리마애불상군이 자리하고 있다. 5년 전에 찾아깄을 때는 보수 공사중이라 제대로 보지 못하고 뒤돌아 섰던 곳이다.

 

지난 48일 다시 이곳을 찾았을 때는 말끔히 정비가 되어 있었다. 이곳에는 암벽의 높이 약 1.7m 정도 너비 5m 정도 되는 넓다란 바위암벽에 일렬로 불좌상 1구와 공양상, 반가상을 중심으로 5구의 보살상 등 모두 8구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이 마애불상군의 형태는 육안으로 쉽게 판별이 되지 않는다.

 

 

마애여래불과 화불을 알현하다

 

삼국시대 마애불의 특징을 잘 나타내 보이고 있는 이 불상군은 육안으로 정확히 식별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만큼 많이 훼손이 되어있다. 암벽의 석질이 약한 것인지 곳곳에 균열이 가고, 돋을새김을 한 마애불상군은 정확한 모습을 찾을 수가 없다. 옆에 자세한 설명을 한 그림이라도 한 장 붙여 놓았으면 좋았을 것을.

 

이곳 마애불상군으로부터 남쪽으로 벼랑을 따라 50m쯤 가면, 또 하나의 마애여래좌상이 동쪽을 향한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높이 3.5m, 8m의 바위면에, 높이 2m정도 되게 돋을새김한 주존불인 마애여래좌상은 상호가 원만하고 어깨가 당당하다. 무릎도 큼직하게 표현을 해 안정감이 있고, 전체적으로 고식을 보이고 있다.

 

 

이 불상의 두광에는 높이 34cm 정도의 화불 5구가 둘러서 조각이 되어있어 돋보인다. 앞으로는 한강의 지류인 큰 내가 흐르고 있어,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경치가 일품이다. 이곳에서는 목조 가구의 흔적과 와편과 자기편 등이 발견이 되어, 어느 시기엔가 이곳에 전각을 세운 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강을 따라 조형문화가 전파되다

 

이 봉황리 마애불상군이 자리한 위치의 선택은, 강을 따라 조형문화의 전파를 알리는 귀중한 자료로 가치가 높다. 봉황리 마애불상군은 1978121일에 발견된 것으로, 지방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다가 200433일 보물 제1401호로 조정이 되었다.

 

 

현재는 마애불상군이 있는 암벽으로 오르는 철계단을 조성하여 놓았다. 계단을 올라 먼저 만날 수 있는 마애불상군은 비바람에 의한 마멸로 윤곽이 뚜렷하지 않다. 각각의 크기는 1m 안팎의 이 불상군은, 공양상에서 보이는 고리장식과 띠 등은 삼국시대 마애불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이 마애불상들은 많은 마애불상 중 비교적 초기의 예로, 한강유역과 낙동강유역을 연결하는 중간지역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지정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성이 되었다. 이 마애불상군은 신라시대 불상조각의 흐름은 물론 고구려 불상의 경향까지도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강을 따라 조형문화가 발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귀한 자료이다.

 

 

이곳에서 멀지 않은 한강변에도 창동 마애불이 흐르는 강을 내려다보며 절벽에 조각이 되어 있어, 그러한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낙동강 정비사업 때 훼손이 된 마애불의 경우도, 불교의 조형미술이 강을 따라 발전이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어, 강변에 위치한 문화재들을 좀 더 심도있게 조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경북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에 소재한 흑석사. 흑석사는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사찰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흑석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찰로 내려오다가, 1945년부터 새롭게 중창을 하고 있다. 흑석사는 국보인 목조아미타불 좌상, 보물인 석조여래좌상, 그리고 문화재자료인 마애삼존불 등이 있는 절이다.

 

현재 불사 중에 있는 흑석사는 극락전에는 목조아미타불이, 그리고 경내의 가장 높은 곳에는 마애삼존불과 그 앞에 석조여래좌상이 자리하고 있다. 절 안에 모셔진 부처님들이 모두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다.

 


부처님이 답답하시겠네

 

흑석사 경내를 들어서면 마애불로 오르기 전 좌측에 극락전이 있다. 이 극락전 주위에는 석물들이 있고, 극락전 안에는 국보 제282호인 목조아미타불이 유리 안에 모셔져 있다. 이 목조아미타불의 안에서 발견된 복장유물과 함께 국보로 지정된 아미타불은, 조선조 세조 4년인 1458년에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불 중 한분임이 밝혀졌다. 이 목조아미타불이 처음 있었던 사찰도 흑석사가 아니고, 정암사 법천사라는 것도 복장유물로 인해 알게 되었다.

 

  
극락전에 모셔진 국보 제282호 목조아미타불. 1458년에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불 중 한분이다.


국보를 만나는 마음은 조금은 다른 것 같다. 전문가가 아니니 국보와 보물의 차이점을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복장유물, 보존상태, 전체적인 형태의 생김새, 희귀성 등을 고려한다면 이 석조아미타불은 그 모든 조건을 다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목조불상의 하나로 평가를 받는 이 목조아미타불은, 높이 72cm, 어깨 폭이 29cm, 무릎 폭 50cm이다. 바라다만 보아도 저절로 마음이 경건해짐을 느낀다.

 

조금은 수척한 듯한 안면과 단아한 모습에서, 그저 알기 쉬운 부처님의 미소를 찾기란 쉽지가 않다. 그러나 앞에 서서 손을 모으고 절을 한 후 올려다본 석조아미타불의 모습은 무엇인가 알 수 없는 따듯함이 배어나오게 만든다. 한참이나 앞에 앉아 마음속으로 간구를 하다가 문득 부처님이 답답하실 것이란 생각을 한다. 소중한 문화재를 보호하는 것은 좋지만, 꼭 저렇게 유리 상자 안에 가두어 놓았어야 할까? 조금은 마음이 편치가 않다.

 

  
보물인 석조여래좌상과 문화재자료인 마애삼존불을 모셔놓은 전각

 

높은 곳에서 중생을 바라보는 석불과 마애불

 

극락전을 나와 조금 위에 있는 전각으로 향한다. 축대를 쌓고 높다라니 모셔진 마애불과 석불이 함께 좌정하고 계시다. 보물 제681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본다. 흑석사 주변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마애불 잎에 모셔놓았다고 한다. 앞에 문화재 안내판이 없었다면, 아마 이 석불이 근자에 조성된 것으로 착각을 했을 것이다. 그 정도로 상태가 양호하다. 그래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공부는 끝이 없는 것인지. 아무리 열심히 답사를 하고 배워보지만, 그저 답답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전문적으로 공부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 늘 아쉬운 부분이다.

 

  
보물 제681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본다


석조여래좌상은 높이 160cm, 어깨 폭 80cm, 무릎 폭 90cm로 전체적인 표현이 안정감이 있다. 이 좌상의 뒤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로 지정된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커다란 자연 바위에 새긴 이 마애삼존불은 입상으로, 중앙의 본존불과 앙편에 협시불을 모셨다. 그런데 이 삼존불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한다. 본존불은 가슴 이하, 협시불은 목 부분 이하를 조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불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자연바위에 조각한 마애불의 앞에는 석조여래좌상이 자리한다

  
마애불의 상단부분.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불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마애불을 제외하고는 제 자리를 벗어난 부처님들. 세상에는 '처처불상 사사불공(處處佛像 事事佛供)'이라 했던가? 어디에나 부처님이 계시고, 어느 때나 불공을 드리라는 소리인지. 이 흑석사에 모셔진 부처님들이 모두 문화재라고 해서 세상이 달라질 것은 하나도 없다. 다만 그 믿음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그리고 얼마나 인간적인 삶을 사느냐에 따라 세상이 달라질 뿐이다.

 

높은 곳에서 인간들을 내려다보고 있는 흑석사의 부처님들은, 오늘도 세상을 자기 아집으로 살아가는 인간들을 측은함으로 보고 있지나 않을까? 흑석사를 떠나면서 몇 번이고 뒤를 돌아다보게 한다. 난 과연 인간답게 살았는가를 생각하면서.

최신 댓글